본문내용
멍멍
T: 맞아요. 멍멍 소리를 내요.
T:우와~ 오늘 사랑반 친구들 덕분에 세 마리 아기 동물들 모두 무사히 엄마를 찾을 수 있었어요. 아기 동물들이 우리 친구들에게 너무 고맙데요. 이제는 선생님하고 ‘엄마를 찾아주세요. 동화를 들어보았어요. 이 동화에서 맨 처음으로 엄마를 찾아준 닭과 병아리를 가지고 재미있는 활동을 해보도록 할꺼예요. 선생님이 말하는 것을 잘 듣고 묻는 말에 씩씩하게 대답해 보아요. 병아리의 엄마는 누구였었죠?
C:닭이요.
T:네 맞아요. 꼬꼬댁하고 우는 닭이 병아리의 엄마였죠? 선생님이 또 다른 그림을 준비해 보았어요. 그림을 보고 다시 이야기를 나눠 보도록 해요.
C:네
T:어미 닭이 따뜻한 봄날에 4개의 알을 품고 있었어요. 그러자 어느날 하나의 알이 깨지며 알에서 노란 병아리가 나왔어요. “삐약 삐약 우리 엄마를 찾아주세요.” “꼬끼오. 반갑구나. 첫째 아기 병아리야. 내가 너의 엄마란다.”
T:그럼 알이 몇 개가 남아있을까요? 한번 선생님과 세어보도록 할까요?
C:한개, 두 개, 세 개
T:잘해주었어요. 한 개, 두 개, 세 개 세 개가 남아 있어요. 여기서 마지막으로 나온 수가 전체의 개수를 의미하기도 해요.
C:아~
<이렇게 4마리의 병아리를 반복하여 센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마지막에 태어난 병아리에게 첫째언니, 둘째언니, 셋째언니...이런 동일한 방법으로 유아에게 설명한다.>
T:이번에는 왼쪽에 있는 병아리부터 세어보도록 할까요?
C:한마리, 두 마리,세마리, 네 마리 총 4마리가 있죠? 이처럼 어디부터 개수를 세든지 간데 병아리의 개수는 총 4마리예요.
T:네 참 잘해주었어요. 그다음에 선생님이 상자를 준비했어요. 상자안에 넣어 볼테니 상자 속에 들어있는 닭과 병아리의 개수를 마음껏 앞에 놓여진 종이 위에 표현해보도록 해요.
C:네
T: 참 잘해주었어요.
오늘 병아리네 가족이 소풍을 간데요. 우리도 잘 따라가 볼까요?
(잠시 후 병아리 한 마리가 없어졌다. )
길을 잃은 병아리를 한번 빼고 세어 볼까요?
C:네
마무리
T:오늘 선생님과 함께 1-5까지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그리고 우리 친구들이 먼저 태어난 언니 병아리부터 순서대로 놓아주었어요.
이 활동을 하면서 힘들었거나 어려웠던 적이 있었다면 어떤점이 힘들었을까?
T:재미있었던 점은 무엇이 있었나요?
T: 자~ 그럼 이제 사랑반 친구들 화장실에 다녀와서 손을 깨끗이 씻고 맛있는 점심을 먹도록 해요,
C: 네
T: 맞아요. 멍멍 소리를 내요.
T:우와~ 오늘 사랑반 친구들 덕분에 세 마리 아기 동물들 모두 무사히 엄마를 찾을 수 있었어요. 아기 동물들이 우리 친구들에게 너무 고맙데요. 이제는 선생님하고 ‘엄마를 찾아주세요. 동화를 들어보았어요. 이 동화에서 맨 처음으로 엄마를 찾아준 닭과 병아리를 가지고 재미있는 활동을 해보도록 할꺼예요. 선생님이 말하는 것을 잘 듣고 묻는 말에 씩씩하게 대답해 보아요. 병아리의 엄마는 누구였었죠?
C:닭이요.
T:네 맞아요. 꼬꼬댁하고 우는 닭이 병아리의 엄마였죠? 선생님이 또 다른 그림을 준비해 보았어요. 그림을 보고 다시 이야기를 나눠 보도록 해요.
C:네
T:어미 닭이 따뜻한 봄날에 4개의 알을 품고 있었어요. 그러자 어느날 하나의 알이 깨지며 알에서 노란 병아리가 나왔어요. “삐약 삐약 우리 엄마를 찾아주세요.” “꼬끼오. 반갑구나. 첫째 아기 병아리야. 내가 너의 엄마란다.”
T:그럼 알이 몇 개가 남아있을까요? 한번 선생님과 세어보도록 할까요?
C:한개, 두 개, 세 개
T:잘해주었어요. 한 개, 두 개, 세 개 세 개가 남아 있어요. 여기서 마지막으로 나온 수가 전체의 개수를 의미하기도 해요.
C:아~
<이렇게 4마리의 병아리를 반복하여 센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마지막에 태어난 병아리에게 첫째언니, 둘째언니, 셋째언니...이런 동일한 방법으로 유아에게 설명한다.>
T:이번에는 왼쪽에 있는 병아리부터 세어보도록 할까요?
C:한마리, 두 마리,세마리, 네 마리 총 4마리가 있죠? 이처럼 어디부터 개수를 세든지 간데 병아리의 개수는 총 4마리예요.
T:네 참 잘해주었어요. 그다음에 선생님이 상자를 준비했어요. 상자안에 넣어 볼테니 상자 속에 들어있는 닭과 병아리의 개수를 마음껏 앞에 놓여진 종이 위에 표현해보도록 해요.
C:네
T: 참 잘해주었어요.
오늘 병아리네 가족이 소풍을 간데요. 우리도 잘 따라가 볼까요?
(잠시 후 병아리 한 마리가 없어졌다. )
길을 잃은 병아리를 한번 빼고 세어 볼까요?
C:네
마무리
T:오늘 선생님과 함께 1-5까지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그리고 우리 친구들이 먼저 태어난 언니 병아리부터 순서대로 놓아주었어요.
이 활동을 하면서 힘들었거나 어려웠던 적이 있었다면 어떤점이 힘들었을까?
T:재미있었던 점은 무엇이 있었나요?
T: 자~ 그럼 이제 사랑반 친구들 화장실에 다녀와서 손을 깨끗이 씻고 맛있는 점심을 먹도록 해요,
C: 네
키워드
추천자료
Lakatos의 수리 철학과 수학적 발견의 논리
Polya의 수학적 발견술의 역사/ Polya의 교육관
Skemp의 수학적 개념의 이해
수학학습심리학 - 수학적개념의 형성, 스키마, 직관적 지능과 반영적 지능과 지능모델
불교의 우주관과 수학적 해석
슈뢰딩거 파동방정식의 수학적 해결 방안 검토
학습장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전략
전파의 수학적 표현 및 이해
수학교육,수학적사고,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
[아동수학지도] 수학적 측면에서의 비고스키의 사회, 문화적 구성주의 이론을 설명하시오 -...
영유아기 3가지 수학적 개념의 특징과 활동방법
누리과정 내용 중 수학적 탐구하기 내용과 세부내용을 정리하고 브루너의 이론적 관점(지식의...
표준보육과정의 ‘수학적 탐구하기’ 지도 지침 및 유의점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