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용어설명
※ 디지털 시대 (그 공습의 현장.)
∘ 디지털 시대의 인터넷이 낳은 주요 신인류의 유형
∘ 인터넷은 폐인들 천국?
∘ 얼짱 신드롬, 어떻게 보아야하나?
∘ 디지털 시대 ‘아날로그 문화코드’ 인기
※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조화
※ 디지털 시대 (그 공습의 현장.)
∘ 디지털 시대의 인터넷이 낳은 주요 신인류의 유형
∘ 인터넷은 폐인들 천국?
∘ 얼짱 신드롬, 어떻게 보아야하나?
∘ 디지털 시대 ‘아날로그 문화코드’ 인기
※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조화
본문내용
직까지 아날로그가 중심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사이버 스페이스는 현실세계의 덤일 뿐이고 아톰없는 비트는 존재가 불가능하며 비트의 실체도 따지고 보면 아톰이다”라고 말한다.
※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조화
- 너나 할 것 없이 모두가 디지털의 세계로 진군하는 지금의 상황이 바람직한 것인가? 우리들이 수 십년 혹은 수 백년을 두고 쌓아 왔던 아날로그의 정신과 유산은 초개같이 버려도 괜찮은 것일까?
흔히 디지털의 속성은 통합성과 광속(光速)성이라고 한다. 문자, 영상, 음향 등 모든 형태의 정보를 디지털이라는 단일한 언어로 표현할 수 있고, 이를 빛의 속도에 버금가는 빠른 속도로 세계 어느 곳이든지 보낼 수 있다. 이것이 디지털의 유일무이한 잠재력이다. 그러나 다른 측면에서 보면 디지털 부호로 전환하기 이전의 문자, 영상, 음향은 누가 어떻게 만들 것인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은 없다. 바로 이 디지털화 이전의 창작물이 곧 아날로그의 영역이다. 아날로그는 속도에 크게 연연하지 않는다. 깊은 사색과 창의력이 아날로그 시대의 가장 큰 무기이다. 이런 점에서 보면 속도와 유연성이 중시되는 디지털 시대에서 아날로그는 철저하게 구식으로 비춰질 수 있다. 그러나 아날로그 시대가 축적한 지식과 창의력이 없이는 디지털의 발전도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음악이 있고 난 후, 디지털 음악이 있고, 영화가 있고 난 후 디지털 비디오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의 현실은 모두가 아날로그의 정신을 버려야 할 낡은 유산쯤으로 생각하고 있는 듯하다. 디지털 기술, 디지털 사업, 디지털 기업, 디지털 사회가 하나같이 각광 받고, 기초 과학과 학문, 재래 기업, 전통적인 인간 관계는 환영받지 못한다. 그러나 디지털의 시대에도 아날로그는 여전히 디지털과 더불어 기업이 성장하고 사회가 굴러가는 다른 한 축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개인의 입장에서도 디지털이 갖는 테크닉을 빨리 습득하는 것 못지 않게, 스스로의 창의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디지털과 아날로그는 하나의 짝이 되어야 하며, 양자간에 균형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에서 다음 몇 가지를 유념해야 한다.
첫째, 디지털과 아날로그가 상호 배타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 보완적인 관계임을 새삼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은 흰색과 검은색만을 표현한다면 아날로그는 그 사이 온갖 가지의 색상을 모두 표현할 수 있다. 디지털이 띄엄띄엄 가는 정수(定數)의 세계라면 아날로그는 촘촘하게 연결되어 있는 실수(實數)의 세계이다.
둘째,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부조화와 마찰 부분을 간파하고 이를 해결해야 한다. 양자의 연결이 부적절하면 디지털화의 이익을 제대로 얻기 힘들다. 간단한 예를 든다면, 전자상거래에서 주문은 빛의 속도로 이루어지지만, 제품의 배달에 3·4일이 소요된다면 디지털화는 순전히 사회적 낭비로 전락할 뿐이다.
셋째, 교육 부문에서의 심각한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교육 부문의 불균형은 장기간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한번 정착되면 쉽게 교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심각하다. 따라서 디지털 관련 분야의 지나친 비대화를 막고, 창의력을 강화하는 기초 기술과 학문을 습득할 수 있는 분야에 대한 육성책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출처 ; http://blog.naver.com/clicksix.do?Redirect=Log&logNo=20000697082
http://newsmaker.kyunghyang.com/entertainment/n404f01.htm
현대경제연구소/발간물/지식경제리포트 제2000-04호 / 2000. 4. 3.
( http://www.hri.co.kr/m3/sel3_frm.htm)
※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조화
- 너나 할 것 없이 모두가 디지털의 세계로 진군하는 지금의 상황이 바람직한 것인가? 우리들이 수 십년 혹은 수 백년을 두고 쌓아 왔던 아날로그의 정신과 유산은 초개같이 버려도 괜찮은 것일까?
흔히 디지털의 속성은 통합성과 광속(光速)성이라고 한다. 문자, 영상, 음향 등 모든 형태의 정보를 디지털이라는 단일한 언어로 표현할 수 있고, 이를 빛의 속도에 버금가는 빠른 속도로 세계 어느 곳이든지 보낼 수 있다. 이것이 디지털의 유일무이한 잠재력이다. 그러나 다른 측면에서 보면 디지털 부호로 전환하기 이전의 문자, 영상, 음향은 누가 어떻게 만들 것인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은 없다. 바로 이 디지털화 이전의 창작물이 곧 아날로그의 영역이다. 아날로그는 속도에 크게 연연하지 않는다. 깊은 사색과 창의력이 아날로그 시대의 가장 큰 무기이다. 이런 점에서 보면 속도와 유연성이 중시되는 디지털 시대에서 아날로그는 철저하게 구식으로 비춰질 수 있다. 그러나 아날로그 시대가 축적한 지식과 창의력이 없이는 디지털의 발전도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음악이 있고 난 후, 디지털 음악이 있고, 영화가 있고 난 후 디지털 비디오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의 현실은 모두가 아날로그의 정신을 버려야 할 낡은 유산쯤으로 생각하고 있는 듯하다. 디지털 기술, 디지털 사업, 디지털 기업, 디지털 사회가 하나같이 각광 받고, 기초 과학과 학문, 재래 기업, 전통적인 인간 관계는 환영받지 못한다. 그러나 디지털의 시대에도 아날로그는 여전히 디지털과 더불어 기업이 성장하고 사회가 굴러가는 다른 한 축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개인의 입장에서도 디지털이 갖는 테크닉을 빨리 습득하는 것 못지 않게, 스스로의 창의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디지털과 아날로그는 하나의 짝이 되어야 하며, 양자간에 균형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에서 다음 몇 가지를 유념해야 한다.
첫째, 디지털과 아날로그가 상호 배타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 보완적인 관계임을 새삼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은 흰색과 검은색만을 표현한다면 아날로그는 그 사이 온갖 가지의 색상을 모두 표현할 수 있다. 디지털이 띄엄띄엄 가는 정수(定數)의 세계라면 아날로그는 촘촘하게 연결되어 있는 실수(實數)의 세계이다.
둘째,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부조화와 마찰 부분을 간파하고 이를 해결해야 한다. 양자의 연결이 부적절하면 디지털화의 이익을 제대로 얻기 힘들다. 간단한 예를 든다면, 전자상거래에서 주문은 빛의 속도로 이루어지지만, 제품의 배달에 3·4일이 소요된다면 디지털화는 순전히 사회적 낭비로 전락할 뿐이다.
셋째, 교육 부문에서의 심각한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교육 부문의 불균형은 장기간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한번 정착되면 쉽게 교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심각하다. 따라서 디지털 관련 분야의 지나친 비대화를 막고, 창의력을 강화하는 기초 기술과 학문을 습득할 수 있는 분야에 대한 육성책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출처 ; http://blog.naver.com/clicksix.do?Redirect=Log&logNo=20000697082
http://newsmaker.kyunghyang.com/entertainment/n404f01.htm
현대경제연구소/발간물/지식경제리포트 제2000-04호 / 2000. 4. 3.
( http://www.hri.co.kr/m3/sel3_frm.htm)
추천자료
인터넷 저작권법에 대한 연구분석
디지털 방송에 대하여
디지털 TV 설문조사 결과분석 국내외 디지털 TV 시장 현황과 전망
세대변화와 조직관리에 관하여
[소비자행동론]한국야쿠르트-헬리코박터 프로젝트 윌
[디지털컨텐츠][디지털음반][디지털미디어][디지털미디어교육][디지털방송]디지털컨텐츠(디지...
[공영방송]공영방송의 의미, 공영방송의 목표, 공영방송의 가치, 공영방송의 논리적 기반, 공...
위성방송(위성방송사업)의 배경, 위성방송(위성방송사업)의 특징, 위성방송(위성방송사업)의 ...
연상연하 커플의 급증과 사회적 인식 변화의 요구
디지로그란?
[저작권법][프랑스의 저작권법 사례]저작권법의 연혁, 저작권법의 목표, 저작권법의 개정 내...
드라마 별순검을 통해 본 『증수무원록』
[지상파방송 사업다각화][지상파방송 사업다각화 유형][지상파방송 사업다각화 투자]지상파방...
개발독재의 허와 실 - 개발독재에 반대하는 입장(경제성장 정책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