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김장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김장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1) 김장
2) 김장의 기원
3) 김장 담그는 법
4) 김장 품앗이
5) 지역별 특징
6) 우리주변의 발효식품
7) 세계속의 김치

3. 결 론

본문내용

들은 계속해서 삭고 익는 숙성과정을 겪는다. 드디어 김치의 독특한 향기, 맛, 색깔, 조직감 등이 완성되고 김치가 갖는 최고의 관능적 품질을 지니게 된다. 그래서 우리는 김치를 화려한 발효과정에 의해서 삭고 익는 최고의 발효식품이라고 부를 수 있다.
7) 세계속의 김치
김치가 한국의 대표음식으로 건강과 각종 질병 예방에 효능이 있는 슈퍼음식으로, 특히 조류인플루엔자(AI)와 사스(중증급성 호흡기증후군)예방에 효험이 있을 수 있는 음식으로 소개가 되면서 세계 여러나라의 관심과 판매가 급증하고 있다.
한국 연구팀이 조류독감에 걸린 13마리의 닭에 김치 추출물을 먹인 결과 11마리가 뚜렷한 치료효과를 보인 연구결과를 미 언론에서 발표하면서 2005년 김치파동에도 불구하고 1~10월 김치 수출량은 2만 8천 380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26t이나 증가했다.
10만 마리가 넘는 대규모 실험에서도 김치 유산균 배양액을 먹은 닭은 조류 인플루엔자 때문에 50%까지 떨어졌던 산란율이 85%까지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사욱/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김치유산균 배양액의 어떤 물질이 바이러스를 직접 공격해 죽이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한다. 정확하게 모든 것이 규명된 것은 아니지만 세계의 수많은 음식 중에 김치의 유산균이 월등히 훌륭한 것임엔 틀림없는 것 같다.
3.결론
김장문화를 조사하면서 새로이 알게 된 많은 내용들 있었다. 예를 들면 김장이라는 말의 어원만 해도 긴 역사를 담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옛부터 내려오는 김장 도구들,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 발효식품들의 여러 이야기들을 지면의 제약으로 다 적지 못한 아쉬움이 남는다.
아쉬움을 뒤로하고 마무리를 하자면, 김치는 우리 민족의 생존 속에 이어져 내려온 음식이며 현재도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귀중한 음식중의 하나이다. 그래서 김치를 단순한 김치라는 식품으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전통적인 한국의 맛이 담긴 문화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우리의 할머니, 어머니들은 봄, 여름, 가을, 겨울 뚜렷한 계절의 변화가 있고 특히 춥고 긴 겨울이 있는 우리의 자연환경에서도 항상 자연산물의 살아있는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도록 슬기를 내어 김장를 탄생시켰다. 또한 지역마다의 자연환경과 구할 수 있는 재료의 종류, 특별한 지방문화의 영향을 받으면서 김치는 하나의 특성 있는 김치 문화로 발전되어 왔다.
우리나라 4대명절 외에 하나의 명절이라 할 만큼 큰 행사인 김장은 온 식구뿐만 아니라 가까운 이웃사촌들이 모여 함께 하는 우리만의 독창적이며 상호 협동적인 아름다운 문화이다.
현대에는 핵가족화되고 전자제품의 발달, 소비문화의 변화로 인해 김장이라는 것이 조금은 무색해졌지만, 김장 속에 배어 있는 조상의 슬기로움을 배우고, 김치라는 유일한 세계적인 훌륭한 문화를 지켜가기 위해 박물관이나 여러 행사, 홍보활동 등을 끊임없이 해야 할 것이다.
l참고문헌
-KIMCHI EXPO 2006 (www.kimchi.munhwa.com)
-김치박물관 (www.kimchimuseum.co.kr)
-인터넷 (네이버 검색)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1.18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93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