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 현재 핸드폰 단말기 시장의 규모와 시장경쟁상황
- 제품수명주기이론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적용 시 유의점
본 론
1. 개괄적으로 제품수명주기이론 비추어본 핸드폰 시장
2. 삼 성
․ 삼성 애니콜의 수명주기 단계별 광고 컨셉의 변화
․ 삼성 애니콜의 수명주기에 따른 마케팅 전략
3. L G
․ LG 싸이언의 수명주기 단계별 광고 컨셉의 변화
․ LG 싸이언의 수명주기에 따른 마케팅 전략
4. SK SKY
․ SK 스카이의 수명주기 단계별 광고 컨셉의 변화
․ SK 스카이의 수명주기에 따른 마케팅 전략
결 론
- 제품 수명주기 이론의 의의와 제품 개발 시 적용방안
- 현재 핸드폰 단말기 시장의 규모와 시장경쟁상황
- 제품수명주기이론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적용 시 유의점
본 론
1. 개괄적으로 제품수명주기이론 비추어본 핸드폰 시장
2. 삼 성
․ 삼성 애니콜의 수명주기 단계별 광고 컨셉의 변화
․ 삼성 애니콜의 수명주기에 따른 마케팅 전략
3. L G
․ LG 싸이언의 수명주기 단계별 광고 컨셉의 변화
․ LG 싸이언의 수명주기에 따른 마케팅 전략
4. SK SKY
․ SK 스카이의 수명주기 단계별 광고 컨셉의 변화
․ SK 스카이의 수명주기에 따른 마케팅 전략
결 론
- 제품 수명주기 이론의 의의와 제품 개발 시 적용방안
본문내용
튬이온 배터리채용으로 국내 최장통화시간(대기 40시간, 통화 190분, TAC-5000은 대기 30시간, 통화120분)구현, 자동분리 플립채용으로 무장한 SH-800을 이겨내지 못했다. 여기에 \'한국지형에 강하다\'라는 성공적인 캠페인으로 애니콜은 국내 휴대폰시장에서 세계 선두업체인 노키아나 모토로라를 제치고 8년 이상 우뚝 설 수 있었다.
2) 성장기
도입기에서 한국지형에 강한 단말기라는 인식을 강하게 심어놓은 삼성전자의 광고 컨셉은 점차 소비자에게 식상해지기 시작했다. 이로써 삼성은 한국지형에 강하다는 기본 컨셉은 유지한 채 ‘작은 소리에 강하다’라는 별도의 컨셉을 동시에 진행시키게 된다.
또한 성장기에 이르자 여러 경쟁사와 차별성을 강조하기 위해 광고의 중심 컨셉이 단말기 기능과 이미지를 심는 쪽으로 변화되었다. 경쟁사와의 차별화 전략과 고급스러운 전략이 삼성전자 애니콜의 성장기 단계의 대표 전략이었다.
다음으로 애니콜의 광고 컨셉은 PCS와 CDMA의 브랜드 이원화 전략을 재통합하는데 주력을 맞춘 ‘언제 어디서나 한국인은 애니콜’이다. 이 광고 컨셉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는 시장 내 1위 브랜드로서의 강한 자신감이었다.
그밖에 애니콜의 광고는 고급스러우면서도 제품의 특징을 잘 반영하는데 한 예로, 듀얼폴더의 광고인 경우 폴더에 창을 내어 열지 않고도 볼 수 있다는 점을 부각하여 젊은 층에 크게 어필하였다. 그리고 애니콜의 주력 제품은 언제나 값비싸고 선도적인 제품이었기 때문에 소비자의 차별화되고 싶은 욕구를 고급스러움으로 충족시켜 주었다.
3) 성숙기
삼성전자는 기존의 세계 1위 반도체 업체인 점과 전 계열사가 재무구조가 우량하고 컴퓨터 사업등 최신 멀티미디어 사업과 동기식 네트워크 장비에 세계 1위라는 점을 부각하여 애니콜의 이미지 변신을 꾀하고 있다.
CDMA 2000 서비스에 맞춰 진행되는 애니콜의 새로운 광고컨셉인 디지털 익사이팅 애니콜이 바로 첨단 디지털 브랜드로 태어나기 위한 새로운 마케팅 전략이다.
현재 휴대 단말기 시장은 포화 상태로 단순한 기능으로는 더 이상 차별화하기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브랜드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 구축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삼성전자는 애니콜을 앞세워 cdma2000에서 IMT-2000으로 대변되는 이동 통신 환경의 변화에 발맞춰 소비자 욕구에 맞는 첨단 디지털 이미지로의 새로운 변화를 시도했다. 애니콜 브랜드 전략의 핵심은 첨단 디지털과 함께 이에 동반되는 즐거움, 인간미, 세련미를 새로운 시대에 어울리는 애니콜의 이미지로 쌓아 간다는 것이다.
생활 필수품이 돼버린 휴대폰의 가치를 모바일 엔터테인먼트 기기 및 개성 표출 수단으로서 새롭게 이미지화하고 여기에 신기술과 기능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첨단 디지털기기로서 포지셔닝해 나간다는 것이다.
* 삼성 애니콜의 수명주기에 따른 마케팅 전략
1) 도입기
삼성전자가 처음 휴대폰사업에 진입할 당시 시장은 글로벌 브랜드인 모토로라가 70%를 육박하는 시장점유율로 독점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삼성이 선택할 수 있는 마케팅 방법은 정면승부를 위해 공격적으로 시장침투를 수행하는 일이었다. 따라서 삼성은 강력한 캠페인과 품질우위를 바탕으로 시장 공략에 나섰다. 덕분에 약간의 시장점유율을 높일 수는 있었지만 외제 브랜드에 대항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래서 삼성은 전형적인 2위 전략을 사용하기에 이른다. 즉 당시 휴대전화의 첫 번째 구매조건인 통화 성공률을 적절하게 반영하면서 당시 시장 내 선두였던 외제 휴대폰의 약점을 파고든 ‘한국지형에 강하다’는 슬로건이 바로 그것이다. 이후 삼성은 국내 휴대전화 단말기 시장에서는 최고의 입지를 자리매김 할 수 있게 되었다.
2) 성장기
도입기에 시장 입지를 다지는데 큰 공헌을 한 우리 지형에 맞는 우리 휴대폰의 이미지는 점차 식상해지기 시작했다. 도입기의 경쟁자가 외국 브랜드였단 점을 감안했을 때 이러한 마케팅 전략은 매우 효과적인 것이었으나 이제 성장기에 진입한 휴대전화 시장은 더 이상 국산과 외제의 싸움이 아니었다. 국내산 브랜드간의 치열한 경쟁이 된 것이다.
같은 조건의 국내 브랜드와의 경쟁을 위해 삼성이 택한 마케팅 전략은 기술적 우위와 차별화를 통해 소비자에게 어필하는 것이다. 시장 성장기 단계에 PCS라는 새로운 개념의 이동 통신 서비스가 등장하자 삼성은 PCS계열에는 애니콜PCS로, CDMA계열에는 애니콜 디지털로 브랜드를 이원화하며 브랜드 파워확장에 주력하기 시작했다. 이와 동시에 CDMA 기기에는 디지털이라는 첨단 제품의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심어주어 기술 선도 브랜드로서의 애니콜을 만들어 나갔다. CDMA와 PCS의 브랜드 이원화 전략 이후에 애니콜은 다시 통합브랜드 캠페인을 펼치게 된다. 이 때 새롭게 등장한 슬로건이 바로 대표 브랜드로서의 자신감을 표출한 ‘언제 어디서나 한국인은 애니콜’이다. 한국지형에 강하다는 브랜드 슬로건은 시장 도입기 애니콜의 시장점유율 높인 주역이었으나 첫째, 95년부터 사용해 소비자 및 삼성전자 내부에서도 식상하게 느끼기 시작하였다는 점, 둘째, 시장에서 2위로서 1위를 공략하기 위하여 전개한 브랜드 슬로건이라 1위 자리를 차지한 지금 적절하지 않다는 점, 셋째, 브랜드 이원화 과정으로 이미지가 많이 분산되었다는 점 때문에 새로운 슬로건을 도입하기에 이른다.
3) 성숙기
삼성전자는 애니콜을 앞세워 cdma2000에서 IMT-2000으로 대변되는 이동 통신 환경의 변화에 발맞춰 소비자 욕구에 맞는 첨단 디지털 이미지로의 새로운 변화를 시도했다. 애니콜 브랜드 전략의 핵심은 첨단 디지털과 함께 이에 동반되는 즐거움, 인간미, 세련미를 새로운 시대에 어울리는 애니콜의 이미지로 쌓아 간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미지 변화를 위해 삼성이 택한 대표적 마케팅 전략은 영화 속 PPL(Product Placement;제품삽입광고) 마케팅이다.
삼성전자는 2003년 5월 23일 국내 개봉하는 매트릭스 속편 영화 `매트릭스 리로디드(The Matrix Reloaded)`를 활용한 국내 마케팅활동을 다양하게 계획 중이다. 자사 휴대전화인 일명 `매트릭스폰(모델 SCH-V330
2) 성장기
도입기에서 한국지형에 강한 단말기라는 인식을 강하게 심어놓은 삼성전자의 광고 컨셉은 점차 소비자에게 식상해지기 시작했다. 이로써 삼성은 한국지형에 강하다는 기본 컨셉은 유지한 채 ‘작은 소리에 강하다’라는 별도의 컨셉을 동시에 진행시키게 된다.
또한 성장기에 이르자 여러 경쟁사와 차별성을 강조하기 위해 광고의 중심 컨셉이 단말기 기능과 이미지를 심는 쪽으로 변화되었다. 경쟁사와의 차별화 전략과 고급스러운 전략이 삼성전자 애니콜의 성장기 단계의 대표 전략이었다.
다음으로 애니콜의 광고 컨셉은 PCS와 CDMA의 브랜드 이원화 전략을 재통합하는데 주력을 맞춘 ‘언제 어디서나 한국인은 애니콜’이다. 이 광고 컨셉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는 시장 내 1위 브랜드로서의 강한 자신감이었다.
그밖에 애니콜의 광고는 고급스러우면서도 제품의 특징을 잘 반영하는데 한 예로, 듀얼폴더의 광고인 경우 폴더에 창을 내어 열지 않고도 볼 수 있다는 점을 부각하여 젊은 층에 크게 어필하였다. 그리고 애니콜의 주력 제품은 언제나 값비싸고 선도적인 제품이었기 때문에 소비자의 차별화되고 싶은 욕구를 고급스러움으로 충족시켜 주었다.
3) 성숙기
삼성전자는 기존의 세계 1위 반도체 업체인 점과 전 계열사가 재무구조가 우량하고 컴퓨터 사업등 최신 멀티미디어 사업과 동기식 네트워크 장비에 세계 1위라는 점을 부각하여 애니콜의 이미지 변신을 꾀하고 있다.
CDMA 2000 서비스에 맞춰 진행되는 애니콜의 새로운 광고컨셉인 디지털 익사이팅 애니콜이 바로 첨단 디지털 브랜드로 태어나기 위한 새로운 마케팅 전략이다.
현재 휴대 단말기 시장은 포화 상태로 단순한 기능으로는 더 이상 차별화하기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브랜드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 구축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삼성전자는 애니콜을 앞세워 cdma2000에서 IMT-2000으로 대변되는 이동 통신 환경의 변화에 발맞춰 소비자 욕구에 맞는 첨단 디지털 이미지로의 새로운 변화를 시도했다. 애니콜 브랜드 전략의 핵심은 첨단 디지털과 함께 이에 동반되는 즐거움, 인간미, 세련미를 새로운 시대에 어울리는 애니콜의 이미지로 쌓아 간다는 것이다.
생활 필수품이 돼버린 휴대폰의 가치를 모바일 엔터테인먼트 기기 및 개성 표출 수단으로서 새롭게 이미지화하고 여기에 신기술과 기능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첨단 디지털기기로서 포지셔닝해 나간다는 것이다.
* 삼성 애니콜의 수명주기에 따른 마케팅 전략
1) 도입기
삼성전자가 처음 휴대폰사업에 진입할 당시 시장은 글로벌 브랜드인 모토로라가 70%를 육박하는 시장점유율로 독점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삼성이 선택할 수 있는 마케팅 방법은 정면승부를 위해 공격적으로 시장침투를 수행하는 일이었다. 따라서 삼성은 강력한 캠페인과 품질우위를 바탕으로 시장 공략에 나섰다. 덕분에 약간의 시장점유율을 높일 수는 있었지만 외제 브랜드에 대항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래서 삼성은 전형적인 2위 전략을 사용하기에 이른다. 즉 당시 휴대전화의 첫 번째 구매조건인 통화 성공률을 적절하게 반영하면서 당시 시장 내 선두였던 외제 휴대폰의 약점을 파고든 ‘한국지형에 강하다’는 슬로건이 바로 그것이다. 이후 삼성은 국내 휴대전화 단말기 시장에서는 최고의 입지를 자리매김 할 수 있게 되었다.
2) 성장기
도입기에 시장 입지를 다지는데 큰 공헌을 한 우리 지형에 맞는 우리 휴대폰의 이미지는 점차 식상해지기 시작했다. 도입기의 경쟁자가 외국 브랜드였단 점을 감안했을 때 이러한 마케팅 전략은 매우 효과적인 것이었으나 이제 성장기에 진입한 휴대전화 시장은 더 이상 국산과 외제의 싸움이 아니었다. 국내산 브랜드간의 치열한 경쟁이 된 것이다.
같은 조건의 국내 브랜드와의 경쟁을 위해 삼성이 택한 마케팅 전략은 기술적 우위와 차별화를 통해 소비자에게 어필하는 것이다. 시장 성장기 단계에 PCS라는 새로운 개념의 이동 통신 서비스가 등장하자 삼성은 PCS계열에는 애니콜PCS로, CDMA계열에는 애니콜 디지털로 브랜드를 이원화하며 브랜드 파워확장에 주력하기 시작했다. 이와 동시에 CDMA 기기에는 디지털이라는 첨단 제품의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심어주어 기술 선도 브랜드로서의 애니콜을 만들어 나갔다. CDMA와 PCS의 브랜드 이원화 전략 이후에 애니콜은 다시 통합브랜드 캠페인을 펼치게 된다. 이 때 새롭게 등장한 슬로건이 바로 대표 브랜드로서의 자신감을 표출한 ‘언제 어디서나 한국인은 애니콜’이다. 한국지형에 강하다는 브랜드 슬로건은 시장 도입기 애니콜의 시장점유율 높인 주역이었으나 첫째, 95년부터 사용해 소비자 및 삼성전자 내부에서도 식상하게 느끼기 시작하였다는 점, 둘째, 시장에서 2위로서 1위를 공략하기 위하여 전개한 브랜드 슬로건이라 1위 자리를 차지한 지금 적절하지 않다는 점, 셋째, 브랜드 이원화 과정으로 이미지가 많이 분산되었다는 점 때문에 새로운 슬로건을 도입하기에 이른다.
3) 성숙기
삼성전자는 애니콜을 앞세워 cdma2000에서 IMT-2000으로 대변되는 이동 통신 환경의 변화에 발맞춰 소비자 욕구에 맞는 첨단 디지털 이미지로의 새로운 변화를 시도했다. 애니콜 브랜드 전략의 핵심은 첨단 디지털과 함께 이에 동반되는 즐거움, 인간미, 세련미를 새로운 시대에 어울리는 애니콜의 이미지로 쌓아 간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미지 변화를 위해 삼성이 택한 대표적 마케팅 전략은 영화 속 PPL(Product Placement;제품삽입광고) 마케팅이다.
삼성전자는 2003년 5월 23일 국내 개봉하는 매트릭스 속편 영화 `매트릭스 리로디드(The Matrix Reloaded)`를 활용한 국내 마케팅활동을 다양하게 계획 중이다. 자사 휴대전화인 일명 `매트릭스폰(모델 SCH-V330
추천자료
휴대폰 & 기업의 마케팅전략
이동전화 3사의 고객 만족의 마케팅전략
[광고학]Cyon 마케팅 강화를 위한 광고전략
노키아(Nokia)의 마케팅 전략 분석
소비자 행동에 관한 마케팅 과 TBJ JEANS 의 사례
삼성 애니콜과 LG엘라스틴 제품의 마케팅전략
KTF SHOW(쇼) 마케팅사례분석
애니콜의 유럽시장 진출 전략-국내기업의 해외마케팅 성공사례(4P,SWOT분석)
노키아(NOKIA)기업분석과 마케팅전략분석
IPHONE 아이폰 한국진출위한 마케팅전략사례분석
중국시장 진출시의 유의점 -중국 마케팅 10계명
애플(APPLE) 마케팅 SWOT,STP,4P사례분석및 개선방향,시사점
아이폰(iPhone)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 및 성공요인분석과 앞으로의전략 (삼성 갤럭시S...
NOKIA 노키아 국내진출 마케팅실패 사례분석(4P,STP분석위주)및 새로운 전략제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