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관 삽관과 간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위장관의 삽관
2. 간호
3. 영양보조
◈ 경장영양(enteral nutrition)
◈ 총 비경구 영양 (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참고문헌』

본문내용

n alimentation) : 고장액의 수액을 장기간 주입하기 위해 서는 중심혈관 영양이 선택된다.
-중심관 삽입(Central line placemant) : 흉부의 상부를 씻고 면도한 다음 멸균 용액 으로 소독한 후 국소마취하에 관을 삽입한다. 관의 위치는 X-ray로 확인하며 비경 구 영양용액을 주입하지 않을 때는 막아놓고 관이 막히지 않도록 헤파린을 주입해 둔다.
-총 비경구 영양(TPN) : TPN 주입 첫날은 총 요구 열량의 일부만을 주입하고 환자가 식이에 적응할 수 있도록 며칠에 걸쳐 용량을 증가시킨다. TPN을 주입한 첫 1주일 동안 에는 정기적으로 전해질, 당, 요소질소(urea nitrogen), 단백질을 검사하여 주입 시작 후 영양소의 농축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한다.
『참고문헌』
서문자외 공저(2004), 성인간호학上-2, p802-809 , 수문사, 서울
이은옥외 공저(2002), 성인간호학(2권) -호흡위장관계 간호-, p387-403, 신광출판사, 서울
임난영외 공저(2002), 기본간호중재와 수기, p193-195, p249-260, 수문사, 서울
송경애외 공저(2001), 기본간호의 실제, p394-397, 현문사, 서울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1.29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11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