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학]흡연의 심리적요인과 심리상태 및 행동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흡연행동의 형성
2.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1) 흡연의 건강위해성에 대한 믿음
2) 흡연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기대
3) 사회적 동기
3. 흡연과 정신분석학
1) 자가투여이론 Self-Medication Hypothesis
2) 흡연에 있어 인격이론
3) 가족역동
4. 발달개념
5. 학습이론
1) 사회적 재강화제(secondary social reinforcer)
2) 조건화(conditioning)
6. 인지이론
7. 정신병리와 흡연
8. 흡연과 행동학
9. 흡연과 기분(Mood)
10. 흡연과 스트레스
11. 흡연의 만족(Gratification of Smokings), 스트레스와의 연관성

Ⅲ. 결론: 흡연율 감소 전략을 위한 시사점
1. 청소년 흡연의 모델과 흡연예방전략에 대한 시사점
2. 금연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였다. 또 Heimstra등은 담배가 비흡연자에 비해 흡연자에게 기분을 향상시키거나 진정시키는 것은 아니며, 작업의 효율도 증가시키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그렇다면 흡연자들이 스트레스를 받을 때 담배를 더욱 많이 핀다는 것은 어떻게 설명을 할 수 있을 까? 여기에 대한 설명은 금단(withdrawal)으로 설명이 된다. 즉, 담배에 의존된 삶은 일정한 니코틴의 농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담배를 피운다는 생물학적인 가설로 다시 돌아가게 된다. 결국 심한 흡연자는 담배로부터 아무 것도 얻는 것이 없으며, 오직 금단증상을 막기 위해 흡연을 할뿐이라는 주장이 지배적이다. 이러한 단순한 관점에서 흡연행동이 이해될 수도 있겠지만 이러한 모델에 있어서도 분명한 예외가 존재한다. 흡연자는 니코틴의 양만을 따라 흡연하지 않는다. 비록 혈장의 니코틴 농도는 all or none현상이 적용된다고 알려져 있지만, 흡연자중에는 아침에 맛없는 담배를 찾는 사람들도 있고, 점심을 먹을 때까지 담배에 불을 붙이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또 비록 금단현상이 니코틴 의존모델에 있어 사실상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는 하지만, 정통 유태인 흡연자들은 안식일 동안 담배를 피우지 않으며, 안식일 동안 전혀 불안감이 없이 안식일을 지내다가 다시 담배를 피운다.
한편으로는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담배로부터 얻는 것이 있기는 있되 다만 그 것이 적을 뿐이라는 주장도 있으며,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기분의 변화가 적고, 흡연이 정신운동성(psychomotor) 혹은 정신의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차이는 매우 적은 것이고, 연구결과도 일치되지 않는다. 즉, 흡연 초기에는 흡연은 많은 만족과 효과를 가져다주지만, 흡연자가 이러한 효과에 적응을 해감에 따라서 흡연자는 담배에 의존 되었을 뿐 담배로부터 아무 것도 얻지 못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정신역동을 비롯한 인지이론, 인격이론, 가족문제, 행동학적 이론, 감정, 스트레스와의 연관성 등에서 흡연의 심리에 대하여 대략적인 면을 살펴보았다. 어느 하나의 이론이 명확하게 흡연의 심리를 대변하지 못하는 것이 현재까지의 실정이다. 복잡한 흡연 문제를 접근하는데 있어서는 심리적인 측면 외에도 생물학적, 사회적인 측면 까지를 고려해 접근해야하겠다.
Ⅲ. 결론: 흡연율 감소 전략을 위한 시사점
1. 청소년 흡연의 모델과 흡연예방전략에 대한 시사점
흡연율 감소를 위한 가장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전략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흡연을 시작하지 않도록 하는 예방적 접근으로 이러한 예방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이 흡연을 하게되는 경로와 관련되는 변인들을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위의 모델에 의하면 청소년의 흡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은 흡연의 결과에 대한 인지적 기대, 자기효능감(self-efficacy), 그리고 신체적 건강으로 가족, 흡연모델과 대중 매체의 영향, 사회문화적 영향 등의 요인들은 청소년의 개인적 목표와 욕구를 통하여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간접적으로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다.
청소년의 흡연과 관련되는 여러 요인들 중에서 예방적 개입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것은 일차적으로 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인식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될 것이다. 그리고 보다 근본적으로 청소년들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성숙을 증진시킴으로서 자기개념을 향상시키고 건전한 자기관리를 가능하도록 하는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 등이 중요한 전략이 될 것이다.
2. 금연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
흡연은 장기간에 걸쳐 깊이 자리잡은 습관이므로 이를 중단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우선 대다수의 흡연자들은 흡연의 해로움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경향이 있어 금연의 동기가 낮다. 또한 흡연자들은 자신의 건강을 과신함으로 해서 금연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니코틴 의존으로 인하여 금연 후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금단 증상과 체중 증가도 다시 흡연을 시작하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그리고 스트레스 상황에서 흡연을 통하여 긴장감, 불안 등을 해소하였다면 스트레스 상황에 부딪치면 다시 흡연을 하게된다.
효과적인 금연프로그램에는 이와 같은 다양한 측면에 대처하는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우선 흡연자들에게 금연의 동기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흡연의 건강위해성과 흡연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인 태도를 인식하도록 하는 집중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아울러 금연을 하면 흡연으로 인한 건강문제를 막을 수 있으리라는 믿음, 그리고 자신이 금연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 등이 금연을 할 동기를 갖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참고문헌
김한중 박태규 오경자 지선하 강혜영 남정모 신인순 이기학 강성록 김수정 박수범 (2000). 흡연의 사회경제적 비용분석 및 흡연율 감소전략 개발. 보건복지부 정책과제보고서.
한종철 오경자 이기학 (1995). 한국인의 연령과 사회-심리적 요인에 따른 흡연행동 분석
Galante M., Kleber HD (1994) : Textbook of Substance Abuse treatment(1st ed). American Psychiatric Press.
Glassman A., Helzer j., Covey L., et al (1990) : Smoking, smoking cessation and major depression. JAMA 264 : 1546-1549
Kaplan HI., Sadock BJ (1995) : Comprehensive Textbook of Psychiatry(6th ed). Willams & Wilkins
Lowinson JH., Ruiz P., Millman RB., Langrod JG (1997) : Subatance Abuse(3rd ed). Williams & Wilkins.
Schachter S(1978) : Pharmacological and psychological determinants of smokings. Annals ofInternal Medicine. Vol 88. 104-114
민성길(1998) : 약물남용. 중앙문화사
  • 가격3,2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7.02.07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28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