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농업용수의 정의
2. 농업용수의 종류와 이용
Ⅱ. 본론
1. 농업용수 수량
1.1 농업용수 수요량
1.2 농업용수 공급량
2. 농업용수 수질
2.1수질기준
2.2수질현황
Ⅲ. 결론
1. 결론적인 총 현황(수량, 수질)
1. 농업용수의 정의
2. 농업용수의 종류와 이용
Ⅱ. 본론
1. 농업용수 수량
1.1 농업용수 수요량
1.2 농업용수 공급량
2. 농업용수 수질
2.1수질기준
2.2수질현황
Ⅲ. 결론
1. 결론적인 총 현황(수량, 수질)
본문내용
2 농업용수 수질현황
- 농림부는 농업용수 수질오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주요 농업용 저수지 및 담수호에 대하여 농업용수 수질측정망(492개소)을 구성하여 수질조사를 실시하고 그 외 시설은 격년제로 수질실태 일제조사를 시행하고 있음.
- 조사내용
현장조사 5개 항목 및 물시료 채취, 분석시험 9개 항목, 오염원 조사 등
<최근 3년간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492개소의 수질을 조사한 결과>
(단위 : ㎎/L,개소)
등급별
연도,관리주체별
계
기준치 이내
기준치 초과
소계
Ⅰ등급
(1이하)
Ⅱ등급
(3이하)
Ⅲ등급
(6이하)
Ⅳ등급
(8이하)
소계
Ⅴ등급
(10이하)
등급외
(10초과)
2003년
계
492
414
-
107
224
83
78
38
40
시군
6
3
-
-
3
-
3
2
1
농촌공사
486
411
-
107
221
83
75
36
39
2004년
계
492
412
-
89
231
92
80
46
34
시군
6
3
-
1
1
1
3
1
2
농촌공사
486
409
-
88
230
91
77
45
32
2005년
계
492
411
-
110
219
82
81
36
45
시군
6
3
-
-
2
1
3
1
2
농촌공사
486
408
-
110
217
81
78
35
43
※ 2005년도 수질기준 초과시설 81개소(공사관리 78개소, 시군 관리 3개소)
※ 2006년도는 현재 조사 중임.
Ⅲ. 결론
1.총 현황
1.1 수량 현황
- 우리나라의 농업용수 수요량은 총 160억㎥/년으로 우리나라 전체 수자원의 48%를 차지한다. 자연공급을 제외한 수리시설로 공급해야하는 공급량은 총 100억㎥/년이다.
1.2 수질 현황과 대책
- 농업용수 수질기준은 따로 정해져 있지 않고 수질환경 기준의 이용목적별 대상에 4등급으로 설정되어 있다. 하천에는 11가지 호소에는 13가지 지하수에는 14가지의 항목으로 관리되고 있다. 환경부의 수질측정망 492곳 가운데 기준치 이내인 곳은 411곳, 기준치 초과인 곳은 81곳 이다.
- 환경부에서는 초과한곳에 대한 대책으로 축산폐수, 생활하수 등의 오염물질 유입원을 차단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 주민들의 참여와 관심속에서 사회적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쓰레기 줍기와 같은 단순한 운동을 시작으로 생활하수 관리등을 실천하는 사례가 늘어난다.
- 환경농업과 자연정화공법을 이용해 농업용수 수질개선 사업을 시행중이다.
※참고문헌
국회전자도서관
아시아 몬순기후대에 속하는 국가들의 농업용수 수질기준 소개 - 최선화
농업용수의 효율적 이용 및 관리방안- 김성기-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농업용수 수질현황과 대책- 이성홍 - 농업기반공사 (2002.5.6)
효율적인 농업용수 수질관리를 위한 다각적인 접근방법 소개 및 제안-이태호/농어촌과환경-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농림부 홈페이지 (http://www.maf.go.kr)
농촌진흥청 홈페이지 (http://www.rda.go.kr)
농촌경제연구원 홈페이지(http://www.krei.re.kr)
한국 수자원공사(http://www.kwater.or.kr)
- 농림부는 농업용수 수질오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주요 농업용 저수지 및 담수호에 대하여 농업용수 수질측정망(492개소)을 구성하여 수질조사를 실시하고 그 외 시설은 격년제로 수질실태 일제조사를 시행하고 있음.
- 조사내용
현장조사 5개 항목 및 물시료 채취, 분석시험 9개 항목, 오염원 조사 등
<최근 3년간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492개소의 수질을 조사한 결과>
(단위 : ㎎/L,개소)
등급별
연도,관리주체별
계
기준치 이내
기준치 초과
소계
Ⅰ등급
(1이하)
Ⅱ등급
(3이하)
Ⅲ등급
(6이하)
Ⅳ등급
(8이하)
소계
Ⅴ등급
(10이하)
등급외
(10초과)
2003년
계
492
414
-
107
224
83
78
38
40
시군
6
3
-
-
3
-
3
2
1
농촌공사
486
411
-
107
221
83
75
36
39
2004년
계
492
412
-
89
231
92
80
46
34
시군
6
3
-
1
1
1
3
1
2
농촌공사
486
409
-
88
230
91
77
45
32
2005년
계
492
411
-
110
219
82
81
36
45
시군
6
3
-
-
2
1
3
1
2
농촌공사
486
408
-
110
217
81
78
35
43
※ 2005년도 수질기준 초과시설 81개소(공사관리 78개소, 시군 관리 3개소)
※ 2006년도는 현재 조사 중임.
Ⅲ. 결론
1.총 현황
1.1 수량 현황
- 우리나라의 농업용수 수요량은 총 160억㎥/년으로 우리나라 전체 수자원의 48%를 차지한다. 자연공급을 제외한 수리시설로 공급해야하는 공급량은 총 100억㎥/년이다.
1.2 수질 현황과 대책
- 농업용수 수질기준은 따로 정해져 있지 않고 수질환경 기준의 이용목적별 대상에 4등급으로 설정되어 있다. 하천에는 11가지 호소에는 13가지 지하수에는 14가지의 항목으로 관리되고 있다. 환경부의 수질측정망 492곳 가운데 기준치 이내인 곳은 411곳, 기준치 초과인 곳은 81곳 이다.
- 환경부에서는 초과한곳에 대한 대책으로 축산폐수, 생활하수 등의 오염물질 유입원을 차단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 주민들의 참여와 관심속에서 사회적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쓰레기 줍기와 같은 단순한 운동을 시작으로 생활하수 관리등을 실천하는 사례가 늘어난다.
- 환경농업과 자연정화공법을 이용해 농업용수 수질개선 사업을 시행중이다.
※참고문헌
국회전자도서관
아시아 몬순기후대에 속하는 국가들의 농업용수 수질기준 소개 - 최선화
농업용수의 효율적 이용 및 관리방안- 김성기-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농업용수 수질현황과 대책- 이성홍 - 농업기반공사 (2002.5.6)
효율적인 농업용수 수질관리를 위한 다각적인 접근방법 소개 및 제안-이태호/농어촌과환경-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농림부 홈페이지 (http://www.maf.go.kr)
농촌진흥청 홈페이지 (http://www.rda.go.kr)
농촌경제연구원 홈페이지(http://www.krei.re.kr)
한국 수자원공사(http://www.kwater.or.kr)
추천자료
농업 유통구조의 개선
지하수 오염의 실태와 해결방안(졸업논문)
금호강의 현실태 및 개선방향
먹는물에 대하여
[시화호][간척사업][간석지개발]시화호 간척사업과 간척사업 국내․외 사례 및 간석지 개발 찬...
중수도 설비
[환경문제][환경오염][환경문제]환경문제에 따른 각종 환경오염과 그에 따른 대책(환경문제 ...
수도권저수지가썩어들어가고있다.
지하수 오염 사례 분석, 지하수 오염에 대한 대응 방안, 지하수 세균의 종류 분석, 지하수 이...
북한 농업생산기반의 여건과 농업동향
전남의 환경오염에 대한 레프트(영산강의 환경오염)
[A+] 대청호 환경친화적 관광개발구상 - 관광환경분석 관광환경특징 지역특화발전특구 육성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