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기평가의 의의
가. 실기평가의 개념
나. 실기평가의 목적과 유형
다. 실기평가의 원리
2. 실기평가의 영역
가. 인지적 영역의 평가
나. 심동적 영역의 평가
다. 정의적 영역의 평가
3. 실기평가의 절차
가. 평가내용의 결정
나. 평가장면의 선정
다. 평가도구의 제작
라. 평가의 실시, 해석 및 활용
가. 실기평가의 개념
나. 실기평가의 목적과 유형
다. 실기평가의 원리
2. 실기평가의 영역
가. 인지적 영역의 평가
나. 심동적 영역의 평가
다. 정의적 영역의 평가
3. 실기평가의 절차
가. 평가내용의 결정
나. 평가장면의 선정
다. 평가도구의 제작
라. 평가의 실시, 해석 및 활용
본문내용
가. 실기 평가의 의의
실기평가에서 강조하는 점
1. 심근 운동적인 영역을 크게 강조해서 평가를 실시
2. 일반적 학습 경험들이 학습되는 것과는 다른 독특한 과정을 거쳐서 학습됨을 염두에 두고 평가
3. 실기 지도를 이끌어 나가고 여러 가지 자료 기구들을 선택하고 수업 전략을 택하고 지도 방법들을 선택할 때 일반적인 수업과는 다른 독특한 면 발생
4. 학생의 실험 실습 과정과 더불어 실습하는 태도, 실습이 끝난 다음에 학생들이 만들어 낸 작품들을 평가하는 방법에 많이 쓰임
.
.
.(2) 평가의 목적
1. 학생들이 학습 목표에 어느 정도 도달했는지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2. 교사 자신이 반성의 자료로 삼기 위해
3. 학생들의 학습 의욕을 촉구하기 위해
4. 지도를 위한 자료를 얻기 위해
5. 교육과정 혹은 실습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
.
.
2) 실기평가의 유형
(1) 시간적인 흐름에 따른 평가의 유형
- 진단 평가, 형성 평가, 총괄 평가 순
(2) 평가 대상에 따른 평가의 유형
- 지식 평가, 기능 평가, 태도 평가 등
(3) 평가자에 따른 평가 유형
- 교사 평가, 학생 평가, 자원 인사에 의한 평가, 협동 평가 등
(4) 평가대상의 내용의 크기에 따른 평가 유형
- 대단위 프로그램, 큰 기능의 습득, 단위기능에서의 평가 등
(5) 검사 방법에 따른 평가의 유형
- 구두 질문, 필기 시험, 실제 실연, 관찰에 의한 평가 등
.
.
.
가. 인지적 영역의 평가
(1) 제1단계 : 평가되어야 할 인지적인 영역 속에서의 학습 목표가 어떤 수준의 것인가를 검토
(2) 제2단계 : 어떤 평가 기법을 사용할 것인지를 검토
(3) 제3단계 : 평가를 위한 도구(검사형태)를 어떤 것으로 할 것인지를 검토
(4) 제4단계 : 검사형태에 따른 평가 방법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검토
실기평가에서 강조하는 점
1. 심근 운동적인 영역을 크게 강조해서 평가를 실시
2. 일반적 학습 경험들이 학습되는 것과는 다른 독특한 과정을 거쳐서 학습됨을 염두에 두고 평가
3. 실기 지도를 이끌어 나가고 여러 가지 자료 기구들을 선택하고 수업 전략을 택하고 지도 방법들을 선택할 때 일반적인 수업과는 다른 독특한 면 발생
4. 학생의 실험 실습 과정과 더불어 실습하는 태도, 실습이 끝난 다음에 학생들이 만들어 낸 작품들을 평가하는 방법에 많이 쓰임
.
.
.(2) 평가의 목적
1. 학생들이 학습 목표에 어느 정도 도달했는지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2. 교사 자신이 반성의 자료로 삼기 위해
3. 학생들의 학습 의욕을 촉구하기 위해
4. 지도를 위한 자료를 얻기 위해
5. 교육과정 혹은 실습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
.
.
2) 실기평가의 유형
(1) 시간적인 흐름에 따른 평가의 유형
- 진단 평가, 형성 평가, 총괄 평가 순
(2) 평가 대상에 따른 평가의 유형
- 지식 평가, 기능 평가, 태도 평가 등
(3) 평가자에 따른 평가 유형
- 교사 평가, 학생 평가, 자원 인사에 의한 평가, 협동 평가 등
(4) 평가대상의 내용의 크기에 따른 평가 유형
- 대단위 프로그램, 큰 기능의 습득, 단위기능에서의 평가 등
(5) 검사 방법에 따른 평가의 유형
- 구두 질문, 필기 시험, 실제 실연, 관찰에 의한 평가 등
.
.
.
가. 인지적 영역의 평가
(1) 제1단계 : 평가되어야 할 인지적인 영역 속에서의 학습 목표가 어떤 수준의 것인가를 검토
(2) 제2단계 : 어떤 평가 기법을 사용할 것인지를 검토
(3) 제3단계 : 평가를 위한 도구(검사형태)를 어떤 것으로 할 것인지를 검토
(4) 제4단계 : 검사형태에 따른 평가 방법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검토
추천자료
[다중지능][다중지능이론][복합지능이론][중다지능이론]다중지능(다중지능이론)의 개념, 다중...
총체적언어접근법(총체적언어교육)의 정의와 특성, 총체적언어접근법(총체적언어교육)의 기본...
고등학교 국사과(국사교육) 특성과 목적, 고등학교 국사과(국사교육) 기본방향과 영역별내용,...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목표와 성격,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필요성, 초등학교 ...
재량활동(재량활동교육과정)의 배경과 영역, 재량활동(재량활동교육과정)의 교육적 의의와 기...
수학교구 퀴즈네어막대(퀴즈네르막대)의 정의와 유래, 수학교구 퀴즈네어막대(퀴즈네르막대)...
재량활동(재량활동교육과정)의 원칙과 특징, 재량활동(재량활동교육과정)의 의의와 영역, 재...
특별활동(특별활동교육과정)의 개념과 영역, 특별활동(특별활동교육과정)의 필요성과 편성절...
[의사소통능력][의사소통능력 신장 사례]의사소통능력의 정의, 의사소통능력의 요소, 의사소...
특별활동(특별활동교육과정)의 의의와 교육적 위치, 특별활동(특별활동교육과정)의 실태와 시...
창의적 재량활동의 필요성, 창의적 재량활동의 교육과정과 편성, 창의적 재량활동의 영역별 ...
음악과(음악과교육) 특성, 음악과(음악과교육) 목표, 음악과(음악과교육) 내용영역, 음악과(...
유치원교육과정(유아교육과정)의 기본방향과 목표, 유치원교육과정(유아교육과정)의 추구하는...
미술과(미술교육, 미술학습)의 특성과 목적, 미술과(미술교육, 미술학습)의 영역과 내용, 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