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西宮日記(癸丑日記․西宮錄)
작품의 서사단락
「서궁일기」(또는 「癸丑日記」)는 17세기 궁중소설의 대표작이라 할만하다.
「서궁일기」의 문학적 가치
작품의 서사단락
「서궁일기」(또는 「癸丑日記」)는 17세기 궁중소설의 대표작이라 할만하다.
「서궁일기」의 문학적 가치
본문내용
문이 열리며 10년 유폐에서 벗어남으로써 대비의 비극이 종식된다.
5. 이런 비극적 구성을 통하여 역사적 실제의 사건과 인물을 소재모델로 하여 작품을 기술하면서 작자는 선이 승리하고 악이 패망한다는 고소설의 전형적인 주제의식, 勸善懲惡 思想을 고취하였다.
6. 작품의 흥미와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작자는 이야기를 서술하면서 사건을 시간의 순서대로 기술하지 않고, 이따금 이를 뒤바꿔 기술하고 있음을 밝혔다. ‘과거 - 현재- 미래’의 순서를 역전시켜 기술함으로써 독자들에게 과거를 회상하게도, 또 때에 따라서는 미래를 미리 알 수 있도록 배려하여 이야기에 보다 흥미를 가지고 임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과거의 회상을 통해 현재 상황에 합리성을 부여하면서 현재의 사건을 쉽게 이해하도록 했으며, 미래를 미리 보여줌으로써 긴장감을 고조시키기도 또 적당히 긴장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시간의 역전기법을 통하여 수준 높은 작자의 소설화 역량을 발휘한 우수한 소설임이 밝혀졌다.
서궁일기의 문학적 가치
첫째, 우리 고소설사에서 보았을 때, 비교적 초기계열에 속하는 작품이다. 그러면서도 작자는 소설적 구성 - 발단전개절정대단원 - 에 맞게, 사실과 허구를 잘 조화하여 새로운 창작물로 만들었고, 또 우리 고소설의 전형처럼 인식하는 권선징악이라는 주제의식을 보여주면서 독자들에게 깨우침을 주었고, 역사적 사실을 허구화한 작품이라는 점이다.
둘째, 일반인들이 알기 쉽지 않았던 궁중 안팎에서 일어났던 정치상황과 깊이 관련한 사건을 왕실중심의 인물을 등장시켜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하여 특수계층의 삶이기는 하지만 현실의 삶을 소설화했다는 점이다. 황당무계한 비현실적인 내용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사실성을 견지한 작품이며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했으면서도 사실대로의 기술이 아닌 허구화된 작품으로 남겼다는 점이다.
셋째, 전 시대의 소설 - 김시습의 金鰲新話신광한의 企齋記異임제의 愁城誌권필의 周生傳허균의 洪吉童傳조위한의 崔陟傳 등 - 은 주로 사대부 지식인들에 의해 창작향유발전해왔음이 사실이다. 그런데 서궁일기(癸丑日記)는 특수계층인 궁인들, 또는 궁중과 깊은 관련을 가졌던 인물들에 의해 한글소설로 만들어져 발전했다는 점이다. 특히 작자인 내인 자신이 실제 체험하면서 보고들은 사실을 바탕으로 하여 우아하고 생생한 필치로 작품화했다는 것이다.
넷째, 배경등장인물사건 등이 작자의 상상력에 의한 가공적인, 비현실적인 황당무계한 것이 아니고 현실성 있는 작품이라는 점이다.
다섯째, 조선시대의 궁중을 배경으로 하여 역사적 사실을 소설화한 작품으로 우리 소설사에서 寫實系小說의 한 양식으로, 궁중소설이란 유형으로 분류하여 정착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서궁일기는 우리 소설사상 이른 시기에 나타났으면서도 한글로 지어진 작품으로, 궁중의 여인 또는 궁중과 깊은 관련이 있는 사람들에 의하여 창작되었으며, 작자는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허구성이 매우 강한 소설 - 實事의 小說化 - 을 창작향유발전시켜왔다는 점이 본 작품의 문학사적 가치라고 볼 수 있다.
5. 이런 비극적 구성을 통하여 역사적 실제의 사건과 인물을 소재모델로 하여 작품을 기술하면서 작자는 선이 승리하고 악이 패망한다는 고소설의 전형적인 주제의식, 勸善懲惡 思想을 고취하였다.
6. 작품의 흥미와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작자는 이야기를 서술하면서 사건을 시간의 순서대로 기술하지 않고, 이따금 이를 뒤바꿔 기술하고 있음을 밝혔다. ‘과거 - 현재- 미래’의 순서를 역전시켜 기술함으로써 독자들에게 과거를 회상하게도, 또 때에 따라서는 미래를 미리 알 수 있도록 배려하여 이야기에 보다 흥미를 가지고 임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과거의 회상을 통해 현재 상황에 합리성을 부여하면서 현재의 사건을 쉽게 이해하도록 했으며, 미래를 미리 보여줌으로써 긴장감을 고조시키기도 또 적당히 긴장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시간의 역전기법을 통하여 수준 높은 작자의 소설화 역량을 발휘한 우수한 소설임이 밝혀졌다.
서궁일기의 문학적 가치
첫째, 우리 고소설사에서 보았을 때, 비교적 초기계열에 속하는 작품이다. 그러면서도 작자는 소설적 구성 - 발단전개절정대단원 - 에 맞게, 사실과 허구를 잘 조화하여 새로운 창작물로 만들었고, 또 우리 고소설의 전형처럼 인식하는 권선징악이라는 주제의식을 보여주면서 독자들에게 깨우침을 주었고, 역사적 사실을 허구화한 작품이라는 점이다.
둘째, 일반인들이 알기 쉽지 않았던 궁중 안팎에서 일어났던 정치상황과 깊이 관련한 사건을 왕실중심의 인물을 등장시켜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하여 특수계층의 삶이기는 하지만 현실의 삶을 소설화했다는 점이다. 황당무계한 비현실적인 내용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사실성을 견지한 작품이며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했으면서도 사실대로의 기술이 아닌 허구화된 작품으로 남겼다는 점이다.
셋째, 전 시대의 소설 - 김시습의 金鰲新話신광한의 企齋記異임제의 愁城誌권필의 周生傳허균의 洪吉童傳조위한의 崔陟傳 등 - 은 주로 사대부 지식인들에 의해 창작향유발전해왔음이 사실이다. 그런데 서궁일기(癸丑日記)는 특수계층인 궁인들, 또는 궁중과 깊은 관련을 가졌던 인물들에 의해 한글소설로 만들어져 발전했다는 점이다. 특히 작자인 내인 자신이 실제 체험하면서 보고들은 사실을 바탕으로 하여 우아하고 생생한 필치로 작품화했다는 것이다.
넷째, 배경등장인물사건 등이 작자의 상상력에 의한 가공적인, 비현실적인 황당무계한 것이 아니고 현실성 있는 작품이라는 점이다.
다섯째, 조선시대의 궁중을 배경으로 하여 역사적 사실을 소설화한 작품으로 우리 소설사에서 寫實系小說의 한 양식으로, 궁중소설이란 유형으로 분류하여 정착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서궁일기는 우리 소설사상 이른 시기에 나타났으면서도 한글로 지어진 작품으로, 궁중의 여인 또는 궁중과 깊은 관련이 있는 사람들에 의하여 창작되었으며, 작자는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허구성이 매우 강한 소설 - 實事의 小說化 - 을 창작향유발전시켜왔다는 점이 본 작품의 문학사적 가치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