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서사무가「바리공주」의 당대 사회 비판 의식
3. 서사무가의 변형을 통한 비판
3.1. 디지털 세계로 재구성된 불라국의 현실
3.2. 영웅으로서가 아닌 탐색자로서의 바리를 통해 알 수 있는 비판의식
4. 잉여존재인 석금을 통해 나타나는 비판의식
4.1. 불라국의 잉여존재인 석금의 특징
4.2. 석금의 직접적인 현실 비판
5. 바리와 석금이 떠나는 여행의 의미
6. 결론
2. 서사무가「바리공주」의 당대 사회 비판 의식
3. 서사무가의 변형을 통한 비판
3.1. 디지털 세계로 재구성된 불라국의 현실
3.2. 영웅으로서가 아닌 탐색자로서의 바리를 통해 알 수 있는 비판의식
4. 잉여존재인 석금을 통해 나타나는 비판의식
4.1. 불라국의 잉여존재인 석금의 특징
4.2. 석금의 직접적인 현실 비판
5. 바리와 석금이 떠나는 여행의 의미
6. 결론
본문내용
이기 때문에 명확한 사회적인 위치가 없다. 이러한 특징은 석금을 불라국에서 주변적인 인물로 존재하게 한다. 석금은 불완전하기 때문에 자아 정체성을 상실하지 않고 있으며 이로써 불라국을 비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리와 석금이 떠나는 여행은 자기 내면에 대한 성찰로 해석될 수 있으며, 그 여행이 가지는 불확실성은 우리에게 현대사회에서는 자기 정체성을 찾아 끊임없이 탐구해야 하는 탐색자적 자세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이처럼 「소설바리」는 「무가바리」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무가바리」를 구연했던 여성들의 비판의식을 계승하였으며, 나아가 비판의 범위를 넓힘으로써 한층 더 발전시켰다.
한편, 「무가바리」는 원래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자주 해석이 되는 작품인데, 본 연구에서는「소설바리」에서 이를 어떻게 계승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본다면 「소설바리」에서는 그 비판의식이 축소된 측면도 있다. 석금이는 비판의식을 보여주고 있는 독립적인 주체로 해석할 수 있는 반면, 바리의 여행에 석금이 동행하게 됨으로써 양성인 석금이 여린 바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해주고 있다. 이전 서사무가에서는 바리 혼자서 충분히 할 수 있었던 임무를 석금이라는 양성적인 인물이 보호하고 있다는 것은 여성주의적 측면에서는 오히려 퇴보한 것으로 볼 수도 있는 것이다. 이것은 「소설바리」가 사회비판의식을 계승했다는 본 연구의 주장에 대한 한계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설바리」를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보면 퇴보했다는 해석도 가능하나, 「소설바리」의 참신성과 새로운 비판의식은 오늘날 큰 의미를 가진다. 여성주의적 시각이 투영된 문학이 과거 남성중심의 가부장적 사회에서 사회 비판기능을 담당했다면, 오늘날의 사회는 과거의 사회와는 그 성격이 매우 판이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송경아가 비판하고 있는 인간의 자아정체성을 잃어버린 사회현실은 과거 사회에서 소외받았던 여성에 대한 문제를 대신할 만큼 심각해져버린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인간의 자아정체성’을 되찾는 과정은 ‘여성의 자아정체성’을 되찾는 과정도 부분적으로 포함하기에 이 작품은 보다 보편적인 인간의 문제에 초점을 맞췄다고 볼 수도 있는 것이다.
당대 사회에서 소외되고 억압받는 주체에 의해 실현되는 비판적 견지는 문학이 가지는 사회비판 기능과 맥락을 같이 한다. 이와 같은 접근과 해석은「바리-길 위에서」가 서사무가「바리공주」에 내포된 지배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의식을 현대적으로 참신하게 재구성한 작품임을 보여준다.
《 참고문헌 》
1. 1차 자료
송경아,「바리-길 위에서」,『책』, 서울: 민음사, 1996.
2. 단행본
송경아,「바리 - 돌아오다」,『엘리베이터』, 서울 : 문학동네, 1998.
송경아,『소설 나는 이렇게 썼다』(이호철 편), 서울 : 평민사, 1999.
홍태한,『서사무가 바리공주 연구』, 서울 : 민속원, 1998.
황도경,『우리 시대의 여성작가』, 서울 : 문학과 지성사, 1999.
3. 논문
김영숙,「여성중심 시각에서 본 바리공주」, 『페미니즘문학론』, 서울 : 한국문화사, 1996.
노성숙,「신화를 통해 본 여성 주체의 형성: ‘바리공주’ 텍스트분석을 중심으로」,『한국여 성학』제21권 2호, 한국여성학회, 2005.
민병인,「1990년대 문학의 해체적 상상력」, 『문학과 현실의 삶』, 서울: 국학자료원, 1999.
이경하,「바리공주에 나타난 여성의식의 특징에 관한 비교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997.
장미영,「실재와 허구의 환상적 넘나들기 -송경아의 「엘리베이터」와 「바리-」 연작을 중심으로-」, 『한성어문학』 21호, 한성어문학회, 2002.
이처럼 「소설바리」는 「무가바리」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무가바리」를 구연했던 여성들의 비판의식을 계승하였으며, 나아가 비판의 범위를 넓힘으로써 한층 더 발전시켰다.
한편, 「무가바리」는 원래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자주 해석이 되는 작품인데, 본 연구에서는「소설바리」에서 이를 어떻게 계승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본다면 「소설바리」에서는 그 비판의식이 축소된 측면도 있다. 석금이는 비판의식을 보여주고 있는 독립적인 주체로 해석할 수 있는 반면, 바리의 여행에 석금이 동행하게 됨으로써 양성인 석금이 여린 바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해주고 있다. 이전 서사무가에서는 바리 혼자서 충분히 할 수 있었던 임무를 석금이라는 양성적인 인물이 보호하고 있다는 것은 여성주의적 측면에서는 오히려 퇴보한 것으로 볼 수도 있는 것이다. 이것은 「소설바리」가 사회비판의식을 계승했다는 본 연구의 주장에 대한 한계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설바리」를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보면 퇴보했다는 해석도 가능하나, 「소설바리」의 참신성과 새로운 비판의식은 오늘날 큰 의미를 가진다. 여성주의적 시각이 투영된 문학이 과거 남성중심의 가부장적 사회에서 사회 비판기능을 담당했다면, 오늘날의 사회는 과거의 사회와는 그 성격이 매우 판이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송경아가 비판하고 있는 인간의 자아정체성을 잃어버린 사회현실은 과거 사회에서 소외받았던 여성에 대한 문제를 대신할 만큼 심각해져버린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인간의 자아정체성’을 되찾는 과정은 ‘여성의 자아정체성’을 되찾는 과정도 부분적으로 포함하기에 이 작품은 보다 보편적인 인간의 문제에 초점을 맞췄다고 볼 수도 있는 것이다.
당대 사회에서 소외되고 억압받는 주체에 의해 실현되는 비판적 견지는 문학이 가지는 사회비판 기능과 맥락을 같이 한다. 이와 같은 접근과 해석은「바리-길 위에서」가 서사무가「바리공주」에 내포된 지배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의식을 현대적으로 참신하게 재구성한 작품임을 보여준다.
《 참고문헌 》
1. 1차 자료
송경아,「바리-길 위에서」,『책』, 서울: 민음사, 1996.
2. 단행본
송경아,「바리 - 돌아오다」,『엘리베이터』, 서울 : 문학동네, 1998.
송경아,『소설 나는 이렇게 썼다』(이호철 편), 서울 : 평민사, 1999.
홍태한,『서사무가 바리공주 연구』, 서울 : 민속원, 1998.
황도경,『우리 시대의 여성작가』, 서울 : 문학과 지성사, 1999.
3. 논문
김영숙,「여성중심 시각에서 본 바리공주」, 『페미니즘문학론』, 서울 : 한국문화사, 1996.
노성숙,「신화를 통해 본 여성 주체의 형성: ‘바리공주’ 텍스트분석을 중심으로」,『한국여 성학』제21권 2호, 한국여성학회, 2005.
민병인,「1990년대 문학의 해체적 상상력」, 『문학과 현실의 삶』, 서울: 국학자료원, 1999.
이경하,「바리공주에 나타난 여성의식의 특징에 관한 비교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997.
장미영,「실재와 허구의 환상적 넘나들기 -송경아의 「엘리베이터」와 「바리-」 연작을 중심으로-」, 『한성어문학』 21호, 한성어문학회, 2002.
추천자료
공무원 시험 문학요점정리
가야불교
별자리별 전설조사
삼국시대 탑의 종류와 변천과정에 대하여
영웅 소설 전반과 홍길동전. 조웅전에 관해서
구운몽의 소설적 구조와 사상 분석
종교와 유럽문화 정리
자신이 지금까지 읽은 동화나 설화, 영화 중에서 A Midsummer Night's Dream과 작품의 배경이...
현대시의 주제별 종류 (시의 갈래, 시기별 주제)
바리데기 독후감
민담의 기능과 <지하국 대적 퇴치설화>, <이반왕자와 불새>
그리스로마 족보 중간고사 요약정리 (01~07주차)
스타벅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나타난 비극 소설의 기원과 문학(향가)과 권력의 관계 - 초기서사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