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 평화대등 통일과 우리 사회 구성원들 사이의 화합, 국제 사회에서의 한국 사회의 역할 이 모두를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바탕으로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정치적으로나 사회경제적으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에서도 우리는 저자가 제시한 것과 같은 인류 역사의 방향과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그 기준으로 삼는다면 발전과 퇴보의 갈림길에서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결국 저자는 역사학의 존재 가치인 과거를 통해 미래로 발전해 나감을 21세기 한국 사회의 당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는 동시에, 이러한 역사학적 방법론은 요즘에 거론되는 인문학의 위기를 극복하고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추천자료
20세기형 세계화와 21세기형 세계화의 비교 분석
21세기에 적합한 교수. 학습 방법
21세기 아동, 청소년 문학의 발전방향
21세기 인재되기, 셀프리더되기
21세기 한국교육을 위한 교원인사정책 개혁방안
21세기의 에너지 - 플라스마·핵
21세기 산업파트너 프랑스
21세기를 내다본 여성의 역할과 지위
[윤리][윤리관][21세기가치관][전문직업주의][자기이익][돈의 논리]윤리의 개념, 윤리의 중요...
20세기 인류 문화의 공과와 21세기 인류문화의 지향해야 할 것을 예단하시오
[독후감/서평/요약] 21세기 속의 1세기 신앙 _ 찰스 W. 드위즈 저
[A+] ‘시대적 흐름’과 ‘국내 시장의 소비 특성’을 ‘의료’에 적용 - 21세기의 산업 패러다임, ...
(중국공연예술 A형) 교재 제14장과 제15장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20세기 초부터 21세기 초에 ...
중국공연예술_20세기 초부터 21세기 초에 이르는 중국영화의 발달과정에 대해 논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