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복지론 “외도와 가족복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외도에 대한 이해
1) 포괄적 정의
2) 결혼을 해야만 할 수 있는 것이 외도
3) 배우자의 허락이 없어야 외도

2. 외도의 원인
1) 남여의 차이
2) 개인과 가족적 원인
3) 사회 구조적 요인

3. 외도와 결혼 (현황부분은 토론주제와 함께 따로 올리겠음)
1) 배우자 외도에 대한 반응
2) 상대방의 외도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
3) 외도가 결혼에 미치는 영향

4. 외도가족을 위한 가족복지 대책
1) 외도를 알고 난 후 고통을 다루는 방법
2) 부부관계 회복을 위한 방법

본문내용

비 난 대신 카타르시스를 이용한다. 가장 두려운 정서인 분노, 죄책감, 공포, 두려움과 같 은 것들을 표현함으로써 이들을 마음속에서 지워버리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 과정에서 신뢰가 매우 중요하다.
- 확인
* 부부관계를 회복하는 과정에서 아동기에 무엇이 각인되어 외도를 발생시켰는지 알아 보 고 또한 자기의 어떠한 파괴적 행동유형이 외도로 이끌도록 했는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 취약성과 공동 참여
* 취약성의 시작은 부부간에 솔직하게 자신을 드러내는 것이다. 자기를 드러내 보이는 것 은 다른 사람에게 공격당하기 쉽기 때문에 위험하다고 하지만 사적인 관계에서 자기를 드러내 보이는 취약성은 오히려 강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취약성은 상대방을 무장하도 록 하지 않아 자신에 대하여 진실을 말할 수 있는 용기를 주며 배우자도 그것을 인정 하기 때문이다.
* 공동참여는 취약성의 상태에서 둘이 함께 나누는 생활을 하는 것이다. 서로에 대해 진 실된 자신을 드러내고 공동으로 기쁨과 슬픔, 즐거운 때와 즐겁지 못한 때 그리고 친구 와 자녀를 함께 나눌 때 평등한 관계에서 서로를 존경하게 된다.
- 수용과 재결합
* 수용단계에서는 외도도 수용하고 상대방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 안정된 관계에 접 어든 부부는 지금 누리는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부부가 서로 공동 촉진제가 되도록 노 력 해야 한다. 공동촉진이란 서로가 쉽게 개방적이고 정직하게 되도록 해 주는 것을 의 미하며, 그리하여 배우자가 부정적인 행동에 빠져드는 것을 알 때 이를 바로 잡아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대방의 정서적인 변화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2.18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53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