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념 및 정의
2. 철학적 배경과 역사
3.이론적 원리
4. 무용/동작 치료 선구자들의 방법론
5. 무용/동작 치료의 목표 및 치료과정
6. 무용/동작 치료에서의 신체 부분 은유 기법
7. 무용/동작 치료의 실제
2. 철학적 배경과 역사
3.이론적 원리
4. 무용/동작 치료 선구자들의 방법론
5. 무용/동작 치료의 목표 및 치료과정
6. 무용/동작 치료에서의 신체 부분 은유 기법
7. 무용/동작 치료의 실제
본문내용
n) 과정을 성취한다. 개성화 과정은 적극적 상상 (active imagination)에 기초를 둔 것으로 아동의 창조적 발달과정과 동일하다고 보았다.
Jung이 사용했던 심리치료의 주요방법은 적극적 상상과 꿈 분석이였으며, 꿈 분석에 적극적 상상의 방법을 기본적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적극적 상상기법은 분석치료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 그래서 그는 적극적 상상을 자기지식(self-knowledge)과 개성화 과정과 관련시키고 있다 (Jung, 1963, Chodorow, 1991, 재인용).
융이외의 다른 인본주의 학자들도 인간을 본성적으로 창조적인 존재로 보았다. Assagioli도 핵심자기(the code self)로부터 나오는 창조적 충동이 있다고 언급하였다. 이러한 견해는 자아실현의 경험 및 창조적 표현의 경험을 뒷받침하는 타당성을 주는 인간견해이다.
Khalighi(1989)는 창조적 표현 방법을 위해서 인식과 반응의 3가지 수준과 창조적 표현의 5가지 과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모든 사람에게 본래부터 타고난 창조적 표현의 방출구를 확인하는 3가지 수준은 다음과 같다.
1) 신체적/근육운동 감각적 차원 : 감각기관에 의한 감각, 공간이동, 신체자세, 신체동작
2) 정서적 차원 : 불안, 기쁨, 분노, 슬픔 등의 감정 표현 및 반응
3) 심리적 차원 : 계획하기, 문제해결, 기억하기, 상상하기, 연상 및 환상하기
창조적 표현 과정으로 확인, 직면, 해소, 변화, 성장의 5가지 과정을 들고 있다. 이 과정 은 생활 과정상에서 일어나는 게슈랄트적 경험이 표현동작과 상호 작용하도록 하는 목 표를 위해서 필요한 과정이다. 다시 말하면 생활상의 게슈랄트적 경험은 신체적/근육운 동 감각적, 정서적, 심리적 차원에서 통합되어 상호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 거치는 단계 들을 말한다.
1) 확인 : 관심의 초점이 되는 어떤 주제를 발견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도구가 정신신체적 시각화(psychokinetic visualization)이다.
2) 직면 : 이 단계에서는 표현동작과 역할 놀이를 통해 발견된 주제에 집중하고 직면하 고 그리고 반응한다. 달리 말하면 표현활동을 통해 나오는 심리적 갈등부분과 상호 작용 한다.
3) 해소 : 움직임, 감정, 이미지 또는 생각 등을 완전히 표현된 충동을 통해 밖으로 내보 내도록 한다.
4) 변화 : 다시 새로운 충동이 일어날 때 장소의 변화 또는 상태의 변화를 일으키는 움 직임들을 말한다.
5) 성장 : 4단계까지 배운 것들을 자신의 일상생활 경험에서 적용해 보는 능력을 말한 다.
7.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의 실례
다음 프로그램은 Halprin(2000)의 동작과 이미지에 의한 프로그램의 첫 회기를 소개한다. 정신신체적 시각화 과정과 동작표현의 과정을 잘 보여주는 프로그램이다.
1) 경청단계 : 원으로 둘러앉아 참가자들의 문제 및 질병에 관해서 그리고 집단 참가에서 얻기를 기대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 나눈다. 경청의 방법으로 두 사람의 짝을 이루어 이야기를 나누고 경청을 한 짝이 집단전체에게 말해 줄 수 있다. 말한 것 이외에 말하는 모습, 이미지, 제스쳐 등을 간단한 문장과 함께 반영해 보여 줄 수 있다.
2) 감각인식관계 : 두 발을 어깨 넓이로 벌리고 선 다음 눈을 감고 머리, 어깨, 등, 다리까지 차례에 이완시킨다. 세 번정도 되풀이한다.
3) 호흡인식단계 : 바닥에 편안히 누워서 눈을 감은채 4 인터벌 호흡을 한다. 들숨, 들숨의 정상에서 휴식, 날숨, 날숨의 밑바닥에서 비움(텅빔)을 통해 리듬과 신체 움직임에 집중한다. 예를 들면 윗 가슴에 두 손바닥을 대고 호흡의 움직임을 느끼기 및 가슴을 두드리거나 가슴에서 갈비뼈 양쪽으로 쓰다듬거나 해본다. 호흡에 따라 골반과 척추를 말아보고 다시 펴기도 해 본다.
4) 맥박인식 : 두 발로 서서 이완하고 맥박치는 리듬에 따라 무릎으로부터 나오는 움직임이 온몸에 퍼지도록 한다. 맥박치는 속도를 변화시켜 본다. 심장박동 또는 맥박 움직임을 관찰하고 이 리듬에 따라 걸어본다. 맥박율동들이 노력없이 이루어짐에 따라 조그마한 동작 및 즉흥동작들을 만들어 즉흥 춤을 추도록 인도한다.
5) 자화상 그리고 춤추기 : 4 단계까지의 연습을 통해 자신과의 깊이 있는 접촉을 하고 그 반응을 이끌기 위한 과정을 거친 다음, 자기에 대한 그림을 그린다. 나는 누구이며 나를 긍정 할 수 있는 부분들, 변화시키기 위한 부분들이 어떤 것인지 발견하여 그린다.
자화상을 그리기 위한 예비운동을 할 수도 있다. 자화상을 다 그린 다음에는 신체(외형)적, 정서(감정)적, 또는 연상적 이미지 수준에서 단어들을 써본다. 자기짝이 이 단어들을 연결해서 읽어 줄 때 이 단어들을 적절한 움직임으로 표현 해 본다. 그리고 이 동작들을 춤으로 연결한다.
6) 마무리 단계 : 자화상 춤을 끝낸 후 원으로 둘러앉아 자기 자화상이 주는 메시지와 자기 문제와의 관련성을 숙고하고 나눈다. 그림을 가져다가 자기 방에 일주일간 붙여두고 더 많은 통찰을 얻어낸다.
참고문헌
노안영 역(1996). 펄스의 게슈탈트적 자기치료. 서울: 학지사
류분순(1994). 무용치료입문.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류분순(2000). 무용동작치료학. 서울: 학지사.
임용자(2004). 표현예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문음사.
임용자, 나해숙 역(2003). 춤동작치료와 심층심리학-융분석심리학적 접근에 의한 동작상상. 서울: 물병자리.
Chodorow,J.(1991). Dance therapy & depth psychology- the moving imagination. New York: Routledge.
Halprin, A(1979). Movement ritual. Kentfield, CA: Tomalpa Institute.
Halprin, A(2000). Dance as a healing art. Mendocino CA: LifeRhythm.
Feitis, R(1978)(ed). Ida Rolf talks: about Rolfing and physical reality. New York: Harpar & Row Publishers, Inc.
Jung이 사용했던 심리치료의 주요방법은 적극적 상상과 꿈 분석이였으며, 꿈 분석에 적극적 상상의 방법을 기본적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적극적 상상기법은 분석치료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 그래서 그는 적극적 상상을 자기지식(self-knowledge)과 개성화 과정과 관련시키고 있다 (Jung, 1963, Chodorow, 1991, 재인용).
융이외의 다른 인본주의 학자들도 인간을 본성적으로 창조적인 존재로 보았다. Assagioli도 핵심자기(the code self)로부터 나오는 창조적 충동이 있다고 언급하였다. 이러한 견해는 자아실현의 경험 및 창조적 표현의 경험을 뒷받침하는 타당성을 주는 인간견해이다.
Khalighi(1989)는 창조적 표현 방법을 위해서 인식과 반응의 3가지 수준과 창조적 표현의 5가지 과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모든 사람에게 본래부터 타고난 창조적 표현의 방출구를 확인하는 3가지 수준은 다음과 같다.
1) 신체적/근육운동 감각적 차원 : 감각기관에 의한 감각, 공간이동, 신체자세, 신체동작
2) 정서적 차원 : 불안, 기쁨, 분노, 슬픔 등의 감정 표현 및 반응
3) 심리적 차원 : 계획하기, 문제해결, 기억하기, 상상하기, 연상 및 환상하기
창조적 표현 과정으로 확인, 직면, 해소, 변화, 성장의 5가지 과정을 들고 있다. 이 과정 은 생활 과정상에서 일어나는 게슈랄트적 경험이 표현동작과 상호 작용하도록 하는 목 표를 위해서 필요한 과정이다. 다시 말하면 생활상의 게슈랄트적 경험은 신체적/근육운 동 감각적, 정서적, 심리적 차원에서 통합되어 상호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 거치는 단계 들을 말한다.
1) 확인 : 관심의 초점이 되는 어떤 주제를 발견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도구가 정신신체적 시각화(psychokinetic visualization)이다.
2) 직면 : 이 단계에서는 표현동작과 역할 놀이를 통해 발견된 주제에 집중하고 직면하 고 그리고 반응한다. 달리 말하면 표현활동을 통해 나오는 심리적 갈등부분과 상호 작용 한다.
3) 해소 : 움직임, 감정, 이미지 또는 생각 등을 완전히 표현된 충동을 통해 밖으로 내보 내도록 한다.
4) 변화 : 다시 새로운 충동이 일어날 때 장소의 변화 또는 상태의 변화를 일으키는 움 직임들을 말한다.
5) 성장 : 4단계까지 배운 것들을 자신의 일상생활 경험에서 적용해 보는 능력을 말한 다.
7.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의 실례
다음 프로그램은 Halprin(2000)의 동작과 이미지에 의한 프로그램의 첫 회기를 소개한다. 정신신체적 시각화 과정과 동작표현의 과정을 잘 보여주는 프로그램이다.
1) 경청단계 : 원으로 둘러앉아 참가자들의 문제 및 질병에 관해서 그리고 집단 참가에서 얻기를 기대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 나눈다. 경청의 방법으로 두 사람의 짝을 이루어 이야기를 나누고 경청을 한 짝이 집단전체에게 말해 줄 수 있다. 말한 것 이외에 말하는 모습, 이미지, 제스쳐 등을 간단한 문장과 함께 반영해 보여 줄 수 있다.
2) 감각인식관계 : 두 발을 어깨 넓이로 벌리고 선 다음 눈을 감고 머리, 어깨, 등, 다리까지 차례에 이완시킨다. 세 번정도 되풀이한다.
3) 호흡인식단계 : 바닥에 편안히 누워서 눈을 감은채 4 인터벌 호흡을 한다. 들숨, 들숨의 정상에서 휴식, 날숨, 날숨의 밑바닥에서 비움(텅빔)을 통해 리듬과 신체 움직임에 집중한다. 예를 들면 윗 가슴에 두 손바닥을 대고 호흡의 움직임을 느끼기 및 가슴을 두드리거나 가슴에서 갈비뼈 양쪽으로 쓰다듬거나 해본다. 호흡에 따라 골반과 척추를 말아보고 다시 펴기도 해 본다.
4) 맥박인식 : 두 발로 서서 이완하고 맥박치는 리듬에 따라 무릎으로부터 나오는 움직임이 온몸에 퍼지도록 한다. 맥박치는 속도를 변화시켜 본다. 심장박동 또는 맥박 움직임을 관찰하고 이 리듬에 따라 걸어본다. 맥박율동들이 노력없이 이루어짐에 따라 조그마한 동작 및 즉흥동작들을 만들어 즉흥 춤을 추도록 인도한다.
5) 자화상 그리고 춤추기 : 4 단계까지의 연습을 통해 자신과의 깊이 있는 접촉을 하고 그 반응을 이끌기 위한 과정을 거친 다음, 자기에 대한 그림을 그린다. 나는 누구이며 나를 긍정 할 수 있는 부분들, 변화시키기 위한 부분들이 어떤 것인지 발견하여 그린다.
자화상을 그리기 위한 예비운동을 할 수도 있다. 자화상을 다 그린 다음에는 신체(외형)적, 정서(감정)적, 또는 연상적 이미지 수준에서 단어들을 써본다. 자기짝이 이 단어들을 연결해서 읽어 줄 때 이 단어들을 적절한 움직임으로 표현 해 본다. 그리고 이 동작들을 춤으로 연결한다.
6) 마무리 단계 : 자화상 춤을 끝낸 후 원으로 둘러앉아 자기 자화상이 주는 메시지와 자기 문제와의 관련성을 숙고하고 나눈다. 그림을 가져다가 자기 방에 일주일간 붙여두고 더 많은 통찰을 얻어낸다.
참고문헌
노안영 역(1996). 펄스의 게슈탈트적 자기치료. 서울: 학지사
류분순(1994). 무용치료입문.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류분순(2000). 무용동작치료학. 서울: 학지사.
임용자(2004). 표현예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문음사.
임용자, 나해숙 역(2003). 춤동작치료와 심층심리학-융분석심리학적 접근에 의한 동작상상. 서울: 물병자리.
Chodorow,J.(1991). Dance therapy & depth psychology- the moving imagination. New York: Routledge.
Halprin, A(1979). Movement ritual. Kentfield, CA: Tomalpa Institute.
Halprin, A(2000). Dance as a healing art. Mendocino CA: LifeRhythm.
Feitis, R(1978)(ed). Ida Rolf talks: about Rolfing and physical reality. New York: Harpar & Row Publishers, Inc.
추천자료
문화예술을 특화로 하는 공공도서관을 가상으로 설계해 보시오.
[공격행동][공격성][문제행동]공격성(공격적 행동)의 개념, 공격성(공격적 행동)의 원인, 공...
순수예술[純粹藝術 fine art]과 일반(상업)예술의 경계에 대한 나의 견해
표준보육과정 6개 영역중 예술경험에 대한 만2세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보고 ‘예술감상’에 대...
[자폐증, 자폐아동, 전반적 발달장애]자폐증(자폐아동, 전반적 발달장애) 언어특성, 행동특성...
[러시아, 기원, 인구, 기후, 자연대, 예술, 대중교통, 루터교회, 문학가]러시아의 기원, 러시...
루돌프 아른하임의 예술심리학저서《예술심리학》중 제 2 부 시각 중심
루돌프 아른하임의 예술심리학저서《예술심리학》중 제 2 부 시각 중심
게슈탈트 (Gestalt) 상담의 배경, 개념, 게슈탈트 (Gestalt) 상담의 인간관, 치료방법, 상담...
[자폐증] 자폐증 특징, 자폐증 의사소통, 자폐증 원인 (심인성이론, 유적영향, 후천영향), 자...
★ 독후감 - 예술사회학 ( 순수예술에서 대중예술까지 )
★ 요약발제 - 예술사회학 ( 순수예술에서 대중예술까지 )
[식품알레르기] 식품알레르기의 종류와 증상 ; 식품알레르기의 진단과 치료 방법
공연예술의 이해와 감상 고대 그리스의 비극을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적 정리에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