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능의 정의
2. 지능이론발달의 역사
3. 지능이론-지능요인설 , 지능유형론
4. 지능검사 활용상의 유의점
5. 지능과 학업성취도
6. 지능,창의성,학업성취와의 관계
7. 지능: 유전 대 환경
2. 지능이론발달의 역사
3. 지능이론-지능요인설 , 지능유형론
4. 지능검사 활용상의 유의점
5. 지능과 학업성취도
6. 지능,창의성,학업성취와의 관계
7. 지능: 유전 대 환경
본문내용
- 지능(知能; intelligence)
<표>로 설명
지능의 본질
<표>로 설명
- 지능이론의 발달 역사
<표>로 설명
- Binet 지능검사
<차트>로 설명
- Wechsler 지능검사
<표>로 설명
- Spearman의 이요인설
<표>로 설명
- Thurstone의 군집요인설 -7개의 특수요인이 기본정신능력
<표>로 설명
- Guilford의 지능구조 이론
<표>로 설명
-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표>로 설명
- 유동적 지능과 결정적 지능
서로 다른 일반적 지적 능력이기 때문에 유동적 지능이 높은 사람과 결정적 지능이 높은 사람이 능력을 발휘하는 영역이 다르다.
<표>로 설명
- 스텐버그 삼원이론
<표>로 설명
- 지능검사 활용상의 유의점
1) IQ를 개인의 지적 기능의 한 가지 지표로 생각할 것.
2) 과잉해석을 피할 것. (IQ점수는 유용하지만,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3) 지능검사의 하위 검사는 그 자체로는 의미가 적다. 즉 타당도와 신뢰도가 떨어진다.
4) IQ 점수를 점수대(띠)로 생각할 것.
5) IQ를 다른 예측 요소와 함께 사용할 것.
6) 지능검사는 한정된 학업적 지능을 진단하는 데 그칠 뿐이다. (학업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7) 아이큐는 반드시 성공과 관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8) IQ는 평생 변한다.
9) 합리적이되 융통성을 가질 것.
10) 지능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문제이다.
11) 지능검사의 결과에 대한 해석과 활용은 사려 깊게 이루어져야 한다.
- 지능과 학업성취도
<표>로 설명
- 지능과 학업성취도
상관계수는 r=0.70정도(변량계수환산하면 0.49)
지능은 학업성취의 약 50% 정도 설명
이는 공부를 잘하거나 못하는 이유의 약 반은 지능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킴 지능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교과목과 연령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음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은 지능이 상급학교에 진학하는 확률을 결정하는 주요 변인이라는 것 의미 아이큐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학업 성취도가 높은 것은 아니다. 절대적인 관계는 아니다.
<표>로 설명
지능의 본질
<표>로 설명
- 지능이론의 발달 역사
<표>로 설명
- Binet 지능검사
<차트>로 설명
- Wechsler 지능검사
<표>로 설명
- Spearman의 이요인설
<표>로 설명
- Thurstone의 군집요인설 -7개의 특수요인이 기본정신능력
<표>로 설명
- Guilford의 지능구조 이론
<표>로 설명
-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표>로 설명
- 유동적 지능과 결정적 지능
서로 다른 일반적 지적 능력이기 때문에 유동적 지능이 높은 사람과 결정적 지능이 높은 사람이 능력을 발휘하는 영역이 다르다.
<표>로 설명
- 스텐버그 삼원이론
<표>로 설명
- 지능검사 활용상의 유의점
1) IQ를 개인의 지적 기능의 한 가지 지표로 생각할 것.
2) 과잉해석을 피할 것. (IQ점수는 유용하지만,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3) 지능검사의 하위 검사는 그 자체로는 의미가 적다. 즉 타당도와 신뢰도가 떨어진다.
4) IQ 점수를 점수대(띠)로 생각할 것.
5) IQ를 다른 예측 요소와 함께 사용할 것.
6) 지능검사는 한정된 학업적 지능을 진단하는 데 그칠 뿐이다. (학업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7) 아이큐는 반드시 성공과 관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8) IQ는 평생 변한다.
9) 합리적이되 융통성을 가질 것.
10) 지능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문제이다.
11) 지능검사의 결과에 대한 해석과 활용은 사려 깊게 이루어져야 한다.
- 지능과 학업성취도
<표>로 설명
- 지능과 학업성취도
상관계수는 r=0.70정도(변량계수환산하면 0.49)
지능은 학업성취의 약 50% 정도 설명
이는 공부를 잘하거나 못하는 이유의 약 반은 지능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킴 지능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교과목과 연령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음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은 지능이 상급학교에 진학하는 확률을 결정하는 주요 변인이라는 것 의미 아이큐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학업 성취도가 높은 것은 아니다. 절대적인 관계는 아니다.
추천자료
지능이론, 최근의 지능검사와 특수지능검사
다중지능이론의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에 대한 고찰
지능이론과 학습
다중지능이론에 비추어 자신이 갖고 있는 우세한 지능과 계발해야 될 지능을 기술하시오
2012년 2학기 교육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가드너 중다지능이론,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A+ 레포트, 교육심리학)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다중지능이론에 대해
(교육심리학 2015)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2. 에...
[교육과정] 다음 중 두 문항을 선택하여 그 특징을 설명하시오. - 다중지능이론과 교육과정,...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8가지
(A+ 레포트, 교육심리학)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다중지능이론은 유아의 성장발달을 이해하는데 어떠한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 논하시오
인지적 구성주의, 표상이론, 사회문화적구성주의, 다중지능이론과 수학교육의 관련성과 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