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습의 정의
2.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3. 주요 개념
4. Bandura 관찰학습의 4단계
5. Bandura의 사회학습 이론이 주는 시사점 및 사례
6. 암묵적 학습(Implicit learning)과 암묵적 기억 및 사례
2.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3. 주요 개념
4. Bandura 관찰학습의 4단계
5. Bandura의 사회학습 이론이 주는 시사점 및 사례
6. 암묵적 학습(Implicit learning)과 암묵적 기억 및 사례
본문내용
23.4%∼29.8% 인용된 반면 PPL이 없는 장면을 본 집단에서는 7.1%∼11.9%만 인용됐다. 이 같은 결과는 30명의 별도 집단을 대상으로 PPL 장면을 보여준 뒤 해당 브랜드에 대한 기억력을 조사했을 때 세 브랜드 중 하나도 기억하지 못한 응답자가 85%나 됐다는 조사와 비교할 때 PPL이 직접적 기억보다는 간접적 연상에 효과적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이번 실험에서는 또 PPL로 브랜드가 노출된 상품이 해당 프로그램의 사후 광고로 나올경우 다른 광고에 비해 브랜드에 대한 기억력을 높인다는 사실도 입증됐다.
②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백종수, 이도준, 김민식의 논문 “청각적 배경 광고의 암묵 기억 효과”에서는 청각적으로 제시되는 두 음원 중 한 음원에 선택적으로 주의를 기울일 때, 무시된 음원의 정보가 암묵적으로 기억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실험 1에서는 두 남녀의 대화와 상업 광고를 피험자의 한 쪽 귀를 통해 동시에 제시하고, 피험자로 하여금 대화 내용에 주의를 기울여서 광고 내용을 무시하게 하였다. 그 결과, 대화만 청취했던 통제집단에 비해 대화와 광고를 동시에 청취했던 실험집단은 대화 내용에 관한 재인 검사의 수행이 낮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광고에서 제시된 어휘에 관한 지각 식별 검사의 수행은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 결과는 광고의 음량을 실험 1의 절반 수준으로 제시했던 실험 2에서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무시된 청각 정보에 관한 기억이 암묵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암묵적 기억은 청각 정보의 물리적인 강도에 민감하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암묵적 학습 사례
언어학습과 관련하여 학습이 이루어지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다. 하나는 경험론적인 접근방법으로 직접적인 노출과 경험을 통해서 암묵적이고 무의식적으로 배우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의식적이고 명시적인 방법을 통해서 학습하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학습방법에서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은 암묵적인 학습에 강하다. 즉, 의식적으로 교실이라고 하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학습보다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놀이나 일상의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어린이들은 보다 우수한 언어 학습 능력을 보여준다. 만약 그 학습이 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오히려 유치원 또래의 어린이들보다는 인지적 학습능력이 어느 수준에 도달하여 형식적이고 상위-인지적 조작이 가능한 어린이들이나 청소년들이 보다 빠른 학습 성취도를 보여줄 수 있다.
②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백종수, 이도준, 김민식의 논문 “청각적 배경 광고의 암묵 기억 효과”에서는 청각적으로 제시되는 두 음원 중 한 음원에 선택적으로 주의를 기울일 때, 무시된 음원의 정보가 암묵적으로 기억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실험 1에서는 두 남녀의 대화와 상업 광고를 피험자의 한 쪽 귀를 통해 동시에 제시하고, 피험자로 하여금 대화 내용에 주의를 기울여서 광고 내용을 무시하게 하였다. 그 결과, 대화만 청취했던 통제집단에 비해 대화와 광고를 동시에 청취했던 실험집단은 대화 내용에 관한 재인 검사의 수행이 낮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광고에서 제시된 어휘에 관한 지각 식별 검사의 수행은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 결과는 광고의 음량을 실험 1의 절반 수준으로 제시했던 실험 2에서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무시된 청각 정보에 관한 기억이 암묵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암묵적 기억은 청각 정보의 물리적인 강도에 민감하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암묵적 학습 사례
언어학습과 관련하여 학습이 이루어지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다. 하나는 경험론적인 접근방법으로 직접적인 노출과 경험을 통해서 암묵적이고 무의식적으로 배우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의식적이고 명시적인 방법을 통해서 학습하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학습방법에서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은 암묵적인 학습에 강하다. 즉, 의식적으로 교실이라고 하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학습보다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놀이나 일상의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어린이들은 보다 우수한 언어 학습 능력을 보여준다. 만약 그 학습이 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오히려 유치원 또래의 어린이들보다는 인지적 학습능력이 어느 수준에 도달하여 형식적이고 상위-인지적 조작이 가능한 어린이들이나 청소년들이 보다 빠른 학습 성취도를 보여줄 수 있다.
추천자료
발달이론에서 Pavlov와 Skinnerd의 행동주의 학습이론, Chomsky의 생득적 언어발달이론, Band...
사회과학습(교육, 수업)의 기본방향과 형식, 사회과학습(교육, 수업) 수준별교육과정과 교수...
사회과학습(수업, 교육)의 특성, 사회과학습(수업, 교육) 목표, 사회과학습(수업, 교육) 발문...
[사회과교육]사회과(사회과교육, 사회과학습)의 목적과 교육중점, 사회과(사회과교육, 사회과...
[평생학습][평생교육]평생학습(평생교육)의 정의, 평생학습(평생교육)의 중요성, 평생학습(평...
평생교육(평생학습)의 정의와 기본방향, 평생교육(평생학습)의 성격, 지역사회평생교육(지역...
(A+ 레포트) 행동주의 이론과 사회학습 이론 비교 분석하시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학습이론
정서행동 및 학습부진 등의 문제를 나타내는 아동기 학생을 지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행...
사회학습 이론에 대하여 서술하시오(반드시 본인의 경험과 의견이 반영되어야 함)
사회학습이론
사회학습 이론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비교·설명하고 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