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정의
Ⅱ. 원인
Ⅲ. 발생빈도
Ⅳ. 증상
Ⅴ. 진단
Ⅵ. 치료
Ⅶ. 간호
Ⅰ. 정의
Ⅱ. 원인
Ⅲ. 발생빈도
Ⅳ. 증상
Ⅴ. 진단
Ⅵ. 치료
Ⅶ. 간호
본문내용
지 못함과 관련된 자긍심 저하
③잠재적인/실재적인 임신상실과 관련된 비효율적 대응
④잠재적인/실제적인 임신상실 이후의 출산계획 변화와 관련된 변형된 가족기능장애
⑤경관 무력증 및 치료지시와 관련된 지식부족
⑥경관무력증에 의한 잠재적인 태아상실과 관련된 예상되는 슬픔
3. 기대되는 결과
간호계획은 산모와 간호사가 함께 계획하며 대상자의 생리신체적, 정신심리적 사정을 기초로 하여 간호진단과 관련된 계획을 세운다. 간호목표는 다음과 같이 기술할 수 있다.
①임부는 두려움과 관심을 표현한다.
②상황에 적응하기 위해 효과적인 대처기전을 사용한다.
③합병증이 없거나, 합병증이 나타나도 즉각 적절한 치료를 받아 후유증이 없다.
④자신의 상태와 치료를 이해한다고 표현한다.
⑤임신을 유지하기 위해 자가간호행위를 보인다.
4. 계획과 수행
①환자의 자아개념, 임신상실에 대처하는 능력, 치료에 대한 이해능력 등에 초점을 맞춘다.
②경관 무력증 교정술을 한 이후에 양막파열, 자궁수축, 태아심음을 관찰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해 침상안정 및 자궁이완제를 투여한다.
③축이 사라지거나 감염징후가 없어질 때까지 임부는 병원에 머물면서 계속 모니터를 받도록 한다.
④가정에 돌아가서도 계속적인 추후관리를 위해 적절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⑤퇴원교육은 조산, 조기파막, 감염의 증상과 징후에 초점을 둔다.
⑥성교, 장시간 서 있기(90분 이상), 무거운 물건 들기 등을 삼가도록 한다.
⑦활동 제한과 보고해야 할 위험한 징후(조기분만, 파막, 감염)를 알려주고 처방된 구강 자궁근 이완제를 복용하도록 하며 그에 대한 효과와 부작용도 설명해준다.
⑧가정에서 자궁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방법을 알려주고 모니터 결과를 병원에 알리도록 지시한다.
⑨위험증상(5분 미만 간격의 강한 자궁수축, 파막, 심한 회음부 압박감, 힘이 주어지는 것)을 주지시킨다.
5. 평가
설정한 목적이 효과적으로 성취되었는지 확인한다.
-출처-
여성건강간호학Ⅱ - 여성건강 간호교과 연구회 편
여성건강간호학Ⅱ (최연순, 장춘사 외) - 수문사
여성건강간호학 하 (이경혜, 박영주 외) - 현문사
파이낸셜뉴스 (2005.11.23)
http://www.doereport.com
http://www.henryfordhealth.org
http://www.medivisuals.com
목차>
Ⅰ. 정의
Ⅱ. 원인
Ⅲ. 발생빈도
Ⅳ. 증상
Ⅴ. 진단
Ⅵ. 치료
Ⅶ. 간호
③잠재적인/실재적인 임신상실과 관련된 비효율적 대응
④잠재적인/실제적인 임신상실 이후의 출산계획 변화와 관련된 변형된 가족기능장애
⑤경관 무력증 및 치료지시와 관련된 지식부족
⑥경관무력증에 의한 잠재적인 태아상실과 관련된 예상되는 슬픔
3. 기대되는 결과
간호계획은 산모와 간호사가 함께 계획하며 대상자의 생리신체적, 정신심리적 사정을 기초로 하여 간호진단과 관련된 계획을 세운다. 간호목표는 다음과 같이 기술할 수 있다.
①임부는 두려움과 관심을 표현한다.
②상황에 적응하기 위해 효과적인 대처기전을 사용한다.
③합병증이 없거나, 합병증이 나타나도 즉각 적절한 치료를 받아 후유증이 없다.
④자신의 상태와 치료를 이해한다고 표현한다.
⑤임신을 유지하기 위해 자가간호행위를 보인다.
4. 계획과 수행
①환자의 자아개념, 임신상실에 대처하는 능력, 치료에 대한 이해능력 등에 초점을 맞춘다.
②경관 무력증 교정술을 한 이후에 양막파열, 자궁수축, 태아심음을 관찰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해 침상안정 및 자궁이완제를 투여한다.
③축이 사라지거나 감염징후가 없어질 때까지 임부는 병원에 머물면서 계속 모니터를 받도록 한다.
④가정에 돌아가서도 계속적인 추후관리를 위해 적절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⑤퇴원교육은 조산, 조기파막, 감염의 증상과 징후에 초점을 둔다.
⑥성교, 장시간 서 있기(90분 이상), 무거운 물건 들기 등을 삼가도록 한다.
⑦활동 제한과 보고해야 할 위험한 징후(조기분만, 파막, 감염)를 알려주고 처방된 구강 자궁근 이완제를 복용하도록 하며 그에 대한 효과와 부작용도 설명해준다.
⑧가정에서 자궁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방법을 알려주고 모니터 결과를 병원에 알리도록 지시한다.
⑨위험증상(5분 미만 간격의 강한 자궁수축, 파막, 심한 회음부 압박감, 힘이 주어지는 것)을 주지시킨다.
5. 평가
설정한 목적이 효과적으로 성취되었는지 확인한다.
-출처-
여성건강간호학Ⅱ - 여성건강 간호교과 연구회 편
여성건강간호학Ⅱ (최연순, 장춘사 외) - 수문사
여성건강간호학 하 (이경혜, 박영주 외) - 현문사
파이낸셜뉴스 (2005.11.23)
http://www.doereport.com
http://www.henryfordhealth.org
http://www.medivisuals.com
목차>
Ⅰ. 정의
Ⅱ. 원인
Ⅲ. 발생빈도
Ⅳ. 증상
Ⅴ. 진단
Ⅵ. 치료
Ⅶ.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