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근종케이스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궁근종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바꾸어 준다.
-24~48시간 간격으로 정맥주사부위를 바꾼다.
-4시간 간격으로 구강간호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대상자 교육:
ㆍ보호자에게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교육한다.
ㆍ수분 섭취를 권장한다.ㆍ적절한 영양을 섭취하도록 강조하고
고단백 식이를 제공한다.
ㆍ감염악화 요인을 교육한다.
간호수행 (중재)
1.V/S을 체크함
9/7
9/8
9/9
(09:00) 120/80 20 36.8 72
(13:00) 120/80 18 36.8 70
(18:00) 110/80 20 36.6 68
(21:00) 110/70 20 36.7 68
(14:00) 120/80 18 36.8 76
(14:30) 120/80 18 37.1 72
(15:00) 110/80 20 36.7 74
(16:00) 110/70 18 36.7 74
(18:00) 120/80 20 36.8 72
(21:00) 110/70 18 37.1 72
(09:00) 110/70 20 36.8 64
(13:00) 120/70 18 36.8 70
(18:00) 110/80 20 36.6 68
(21:00) 110/70 20 36.7 68
2. 도뇨관의 삽입과 관리, baro-vac 관리,정맥주사, 상처 간호시 철저한 무균술을 적용함.
-foley양과 baro-vac을 비울 때, 출구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알코올 스폰지로 마개와 입구를 청결히 함.
-Drainage bag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함.
-foley cathether가 꼬이지 않게 함.
-Drainage bag를 환자의 방광보다 아래에 두어 역류되지 않게 함.
-Drainage bag을 4시간 마다 비워 줌.
-baro-vac이 음압을 유지 하도록 함.
-p-care 실시함.
3. 매일 수술 부위를 소독하고 드레싱을 바꾸어 준다. 수술 부위의 감염증상(발적, 부종여부, 농성 배액물, 열감 등)을 관찰함.
- 의사 선생님의 dressing 과정 관찰 (배액물이나 출혈은 보이지 않았다)
4. 24~48시간 간격으로 정맥주사부위를 바꿈. 주사부위를 바꿀 때 정맥염의 여부를 관찰함, 수액 교환시 주사부위의 염증과 부종을 관찰.
- 4시간 마다 iv site 부위 관찰함. (이상소견 없음.)
5. 처방된 항생제과 소염제를 투약함.
- 간호사 선생님과 함께 가서 관찰함.
6.영양 상태를 사정하였다.
- COMBIFLEX PERI INJ. 1100ML(BAG) 주입 중
- diet :상식 -NPO -유동식- 연식- 상식
7. 필요시 처방에 따라 혈액검사와 배양검사를 하고 이를 모니터함
-수술전
lympocyte : 37.5% (20~44%)
WBC count : 7.9 103/μL (4~10.5 103/μL)
seg. neutrophil : 55.7 % (40-75%)
-수술후
lympocyte : 39.5% (20~44%)
WBC count : 8.4 103/μL (4~10.5 103/μL)
seg. neutrophil : 55.7 % (40-75%)
▶모두 정상 범위를 나타냄.
8.수술부위 통증양상을 사정함
9/8 PM2:00
9/8 PM:3:00
9/8 PM 4:00
9/8 PM 6:00
9/8 PM 9:00
통증 유무





통증 부위
수술부위
(배꼽 바로 아래)
수술부위
(배꼽 바로 아래)
수술부위
(배꼽 바로 아래)
수술부위
(배꼽 바로 아래)
수술부위
(배꼽 바로 아래)
통증 양상
찌르는듯하다.
찌르는듯하다.
찌르는듯하다
쑤시다
쑤시다
통증 강도
5/10
5/10
5/10
3/10
1/10
통증 빈도
지속적
지속적
지속적
간헐적
간헐적
기타
통증초기평가
PCA달고있음
통증재평가
PCA달고있음
통증재평가
통증재평가
통증재평가
9. 올바른 손 씻기와 감염의 위험을 높이는 요인 과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교육하고 감염증상 발견 시 보고하도록 함.
- 특히나 상처부위, 처치부위를 만질때는 철저하게 손씻을 것을 교육함.
- 수술부위, 주사부위에서 발적, 부종, 열감, 압통, 기능장애가 나타나면 간호사실에 알려 달라고 함.
- 적절한 영양섭취는 수술 후 회복을 돕는다고 설명하고 권장함.
- 소벽의 역류를 막기 위해서, foley catheter가 꼬이지 않도록 주의하시고, Drainage bag이 방광 밑으로위치하도록 교육함.
-움직이실 때 foley catheter는 잠그시고, baro-vac이 당겨지지 않게 환의에 잘 고정해달라고 교육함.
-상처 분비물, 소변, 대변, 객담, 물로 오염된 환자 옷은 세균의 성장 배지가 될 수 있음을 명심하도록 함.
간호평가
S)
“이제 괜찮아요!”
“훨씬 좋아졌어요!
O)
관찰/신체검진
수술부위
-시진: 수술부위가 붉고 아직 아물지 않아있음.
-촉진: 단단하지 않고 따뜻하며 촉진 시 약간의 통증이 있음.
foley catheter,baro vac, iv site : 부종과 발적이 없다.
통증양상;
-5점에서 1점으로 감소
V/S
-이상 V/S 없음.
기록자료
-혈액검사결과
수술전
lympocyte : 37.5% (20~44%)
WBC count : 7.9 103/μL (4~10.5 103/μL)
seg. neutrophil : 55.7 % (40-75%)
수술후
lympocyte : 39.5% (20~44%)
WBC count : 8.4 103/μL (4~10.5 103/μL)
seg. neutrophil : 55.7 % (40-75%)
▶모두 정상 범위를 나타냄.
-치료약물:
PRACTAR INJ. (AMP)
COMBIFLEX PERI INJ. 1100ML(BAG)
※참고문헌
김강미자 외(2005).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서울:현문사.
이경혜외 (2004). 여성건강간호학Ⅱ 서울:현문사
대한산부인과학회(2007). 산과학 제 4판. 서울:군자출판사.
고일선외(2003). 최신임상간호메뉴얼 제 7판. 서울:현문사.
강지연 외(2005). Essencials of clinical Nursing, 한우리.
※ 참고 사이트
경희의료원 약제 본부 http://www.khmcpharm.com/
메디버 http://www.mediver.com/
KMLE http://www.kmle.co.kr/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0.12.13
  • 저작시기20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30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