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위 한일합방 조약문>
2. 한일병합이 되기까지
3. 한국의 역사교과서에 기술된 한일병합과 그에 대한 비판
2. 한일병합이 되기까지
3. 한국의 역사교과서에 기술된 한일병합과 그에 대한 비판
본문내용
9년 12월 4일 ‘합방만이 살 길’이라는 선언서를 발표하여 일제를 기쁘게 하였다. 을사조약을 찬성하고 고종 황제의 강제 퇴위, 의병 토벌을 일삼던 일진회로써는 당연한 일이었다. 그리고 국민신보라는 기관지를 통해 온갖 친일적 망발을 서슴지 않았다.
일진회의 합방론은 거센 반발과 비난을 불러일으켰다. 의병들은 일진회를 공격하였으며, 대한매일신보는 논설을 통해 합방론을 비난하다가 압수되었다. 그러나 일제는 한일 병합이 이루어지고 나서 일제에 협력하여 합방을 앞장서서 주장했던 일진회마저도 다른 모든 민간인단체와 함께 해산시켰다.
참고자료) 논문 - 역사와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이해, 김한종 (일본 교과서 바로 잡기 운동 본부)
서적 - 세계의 역사 교과서, 이시와타 노부오 외, 작가정신, 2005.03.25
일진회의 합방론은 거센 반발과 비난을 불러일으켰다. 의병들은 일진회를 공격하였으며, 대한매일신보는 논설을 통해 합방론을 비난하다가 압수되었다. 그러나 일제는 한일 병합이 이루어지고 나서 일제에 협력하여 합방을 앞장서서 주장했던 일진회마저도 다른 모든 민간인단체와 함께 해산시켰다.
참고자료) 논문 - 역사와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이해, 김한종 (일본 교과서 바로 잡기 운동 본부)
서적 - 세계의 역사 교과서, 이시와타 노부오 외, 작가정신, 2005.03.25
추천자료
근현대사
사회복지발달사(일제시대~1970년대)
영화와 문학작품에서 본 재일조선인의 상황
근대 일본의 조선침략과 대아시아주의
몽십야를 통해 본 한일 근대화에 대한 생각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기본권, 일제탄압,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역사서 편찬,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약산 김원봉, 강제 연행, 징용 및 징병 등으로 인한 재일 한국인
고려인(高麗人)의 이주역사에 관한 조사 보고서 (고려인의 이주루트, 스탈린의 강제이주, 흐...
재중한인사회의 형성과 변화 (한인의 만주이주배경 & 한인사회의 성격, 일본제국주의의 ...
일본군 성노예 (정신대, 종군 위안부? 성노예!, 강제동원과 위안소, 성노예가 된 그들의 삶, ...
【이슈 issue】 일본, 강제징용시설 세계문화유산(World Cultural Heritage) 등재추진 논란
프랑스 제국의 조선 진출과 실패 - 그 과정과 원인 {세 번의 기회, 구조적 한계}
한국과 일본의 전통건축이 일제시대에 나타나는 건축의 변화
근현대사의 쟁점 일제 식민지정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