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자베스시대의 세익스피어 극장과 무대의 종류와 특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엘리자베스시대의 세익스피어 극장과 무대의 종류와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프로극단
2. 극장구조
1) 글로브 극장
2) 조명
3) 관객
4) 의상
3. 소년배우
4. 인물의 전형성
5. 독백과 방백

Ⅲ,결론

본문내용

무대지문을 제공하는 경우는 발견되지 않는다. 단지 우리는 중세의 연극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관객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던 방식의 대사가 플랫포옴 무대의 앞부분에서 이루어진 것을 유추하여 독백이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행하여졌음을 추측할 수 있을 뿐이다.
독백의 사용은 대개 한 인물이 마치 극에서 빠져나와 제3의 청자에게 대사를 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는 관객의 존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관객과의 창조적 관계를 일으킬 수 있는 대표적인 무대관습이라고 할 수 있다.
셰익스피어의 경우 독백의 사용이 주로 비극에서 자주 등장하는 원인도 이러한 이유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햄릿>과 <맥베드>의 경우 대사의 10% 정도가 독백에 할애된다. 다른 작품들의 경우 대개 독백의 사용이 6%이상을 넘지 않는 것을 볼 때 독백의 사용에 대한 셰익스피어의 의도가 드러나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결론
엘리자베스 시대의 연극은 어떤 의미에서 보면 그리스비극의 종교축제와 비교되는 세속적 축제였다. 신비극과 권선징악극이라는 대중 전통에서 유래된 흔적을 추종하면서 동시에 다양한 관습을 통합시켜나간 엘리자베스 시대의 연극은 스스로를 정의하고, 도덕적 가치를 발견함으로써 인간본성에 도달하려는 인류의 노력을 기념하는 행사였다.
직업 극단의 출현, 극장의 발달, 인본주의 사상 등에 의해 영향을 받은 엘리자베스 시대의 연극은 과거 희랍극에서의 제의적 성격을 가지면서도 나아가 인간의 중심의 축제로 발전되었다. 따라서 당시의 연기도 제시적이긴 하나 셰익스피어의 작품에서 볼 수 있듯이 사실적인 것을 강조 하고 있다. 이것은 당시의 시대성으로 비추어 보아 지금의 사실주의와는 큰 차이를 보이긴 하나, 그것이 연극사적으로 사실주의로의 시작이 아니었나 한다.
-참고문헌
Jerry L. Crawford/ Catherine Hurst/ Michael Lugering, 『Acting In person and In style』, WCB Inc, 1976.
Edwin Wilson/ Alvin Goldfarb, 김동욱 역, 『세계연극사』, 한신문화사, 2000.
오스카 G. 브로케트, 김윤철 역, 『연극개론』, 한신문화사, 1998.
최은승,『월리엄 셰익스피어에 나타난 엘리자베스시대 연극의 무대관습에 관한 연구』, 중앙대, 석사논문, 1997.
제리 L. 크로포드/ 조안 스나이더, 양광남 역, 『연기 - 개발과 표현』, 예하, 1999.
John Harrop / Sabin R. Epstein, 『Acting with Style』, Allyn & Bacon, 2000.
Oscar G. Brockett, 김윤철 역, 『연극개론』, 한신문화사, 1997.
Toby Cole / Helen Krich Chinoy, 『Actors on Acting』, 1970.
박재완, 『연기: 훈련모델 및 기초미학』, 예니, 2000.
이대석, 『셰익스피어 극의 이해』,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2.
에두아르트 폭스, 이기웅/박종만 역,『폭풍의 역사 Ⅱ 르네상스』,서울: 까치, 1997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3.26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07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