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지식인이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지식인에 대한 느낌과 생각

2.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의 유신체제정황
2-1. 이에 대한 나의 생각

3. 1980년대 정황
3-1. 이에 대한 나의 생각

4. 1990년대 정황
4-1. 90년대 등장한 신지식인론
4-2. 이에 대한 나의 생각

5. 결론

본문내용

나의 생각
지금까지 70년대, 80년대, 90년대의 시대 흐름에 따른 지식인의 모습을 아주 간략하고 피상적으로 알아보았다. 시대가 변하면서 지식인의 모습이 많이 달라졌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고 지식인이 있음으로써 이 사회가 움직이고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여러 모습을 종합해 볼 때 내가 생각하는 지식인은 신 지식인의 모습과 결부시켜서 이렇게 요약할 수 있다.
⑴ 언제나 사회에 문제의식과 비판적인 사고를 가지고 자신의 의견을 피력할 수 있는 사람.
- 굳이 교수나 정치인이 아니더라도 평소에 늘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다가 무언가 잘못되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으면 자신의 의견을 떳떳하게 피력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지식인이라고 생각된다. 가령 자신의 몸담고 있는 분야에서의 상황과 주변의 모습을 진실 되게 신문에 투고하는 사람들 역시 모두 지식인이라고 생각한다. 자신들의 삶의 모습과 상황을 투고함으로써 사회가 전반적으로 어떻게 돌아가는 지를 알릴 수 있는 공유성이 그 근거라고 새각한다.
⑵ 학력에 구애 관계없이 자신이 몸담고 있는 분야에 새로운 노하우나 혁신적인 방법이나 물품 등을 고안해낸 사람.
- 청소부, 배달원, 파출부와 같은 사람들이 예를 들면 청소를 더 편하고 깨끗이 할 수 있는 노하우를 공개했다든지, 혹은 이러한 것들을 하는데 더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나 물건까지도 개발했다면 그는 분명한 지식인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노하우나 방법을 고안해낸 것이 곧 창의력이고 이것을 바탕으로 실천에 옮긴 것이며, 이러한 것들이 파급되면 더욱 생산적이고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4.03
  • 저작시기200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20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