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인구 & 민족
2.도시 현상
3.고령화하는 일본
4.교육
5.집단
6.남성 & 여성
7.종교
8.神道
9.신토오 의식 & 축제
10.예의
11. 일본술
①일본술에 대해서
②음주문화
12.차문화
①차도는 남성들의 문화였다
②생활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차도
13.사시미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Ⅱ. 본론
1.인구 & 민족
2.도시 현상
3.고령화하는 일본
4.교육
5.집단
6.남성 & 여성
7.종교
8.神道
9.신토오 의식 & 축제
10.예의
11. 일본술
①일본술에 대해서
②음주문화
12.차문화
①차도는 남성들의 문화였다
②생활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차도
13.사시미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매우 다양한 특정 생선 요리용 칼이 있다. 지금은 많이 사라진 모습이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일반 가정의 부엌에도 적어도 3개의 칼은 갖춰져 있었다 한다.
이러한 일본의 사시미에 대해 한국에서는 '회'라고들 한다. 그러나 정확한 의미에서 보자면 사시미와 회는 엄연히 다른 문화를 가진다. 한국의 회(膾)는 육류나 어류를 생으로 또는 살짝 데쳐서 썬 다음 양념 초고추장을 곁들여 먹는 음식을 말한다. 생선회, 육회와 같이 날로 만든 생회(生膾)와 어채와 같이 익혀서 만든 숙회(熟膾)가 있다. 또한 숙회에는 강회, 두릅회, 송이회 등 채소로 만든 것도 있다. 사시미는 어패류를 생식하는 일본의 대표적인 요리이다. 일본의 사시미는 간장으로만 맛의 변화를 주어 생선 자체의 맛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둔다면, 우리의 생선회는 양념으로 맛을 내는 편이다. 생선회에 초고추장, 마늘, 풋고추, 야채 등을 곁들이는 것은 우리 한국인의 식성에 맞게 변형된 요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에서는 흰 생선이 일반적으로 쓰이나, 일본에서는 마구로(참치)와 같은 붉은 생선도 사시미의 재료로 쓰여지고 있다.
Ⅲ. 결론
결과적으로 일본은 고립된 지형으로 인한 자신들만의 독특한 물화를 이루어 나갔다. 그렇기 때문에 세계속에서 일본의 문화가 오직 특이한 문화가 아닌 무언가 본받을 점을 지닌 문화라하여 하나의 트랜드가 되어갔던 것이다. 지금의 일본은 경제적 대국이기도 하지만, 문화의 산지라고도 할 수 잇다.
쉽게 잊혀질 수 잇을 만한 생활의 한부분을 일본은 소중한 의미를 부여하여 지켜왔고, 그런 문화적 특성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없어진 토태미즘을 여전히 간직할 수 잇는 기반을 다져왔던 것이다. 위에서 보았던 요소들은 그런것들을 잘 나타내고 잇는 것이다. 각종 문화의 영향으로 변질되 부분이 많은 한국문화와는 반대인 일본의 문화는 문화자체를 본받을 것은 아니지만, 그 정신만큼은 높이살만 하다.
글쓴이가 좋아하는 일본의 예문화는 분명 한국인에게는 없는 무언가이다. 다소 너무 특이한 문화를 이루지는 않았냐는 비판이 나올 수도 잇겠지만, 자신들의 조상이 이루었던 문화를 소중히 그리고 더욱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는 일본인들에겐 분명 무언가 특별한 것이 있다 생각한다.
Ⅳ. 참고 문헌
박정의 저, 『일본의 사회와 문화』, J&C, 2005.
공의식외, 『새로운 일본의 이해』, 다락원, 2002.
이광준저, 『일본의 그 문화와 사회』, 학문사, 1996.
이러한 일본의 사시미에 대해 한국에서는 '회'라고들 한다. 그러나 정확한 의미에서 보자면 사시미와 회는 엄연히 다른 문화를 가진다. 한국의 회(膾)는 육류나 어류를 생으로 또는 살짝 데쳐서 썬 다음 양념 초고추장을 곁들여 먹는 음식을 말한다. 생선회, 육회와 같이 날로 만든 생회(生膾)와 어채와 같이 익혀서 만든 숙회(熟膾)가 있다. 또한 숙회에는 강회, 두릅회, 송이회 등 채소로 만든 것도 있다. 사시미는 어패류를 생식하는 일본의 대표적인 요리이다. 일본의 사시미는 간장으로만 맛의 변화를 주어 생선 자체의 맛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둔다면, 우리의 생선회는 양념으로 맛을 내는 편이다. 생선회에 초고추장, 마늘, 풋고추, 야채 등을 곁들이는 것은 우리 한국인의 식성에 맞게 변형된 요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에서는 흰 생선이 일반적으로 쓰이나, 일본에서는 마구로(참치)와 같은 붉은 생선도 사시미의 재료로 쓰여지고 있다.
Ⅲ. 결론
결과적으로 일본은 고립된 지형으로 인한 자신들만의 독특한 물화를 이루어 나갔다. 그렇기 때문에 세계속에서 일본의 문화가 오직 특이한 문화가 아닌 무언가 본받을 점을 지닌 문화라하여 하나의 트랜드가 되어갔던 것이다. 지금의 일본은 경제적 대국이기도 하지만, 문화의 산지라고도 할 수 잇다.
쉽게 잊혀질 수 잇을 만한 생활의 한부분을 일본은 소중한 의미를 부여하여 지켜왔고, 그런 문화적 특성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없어진 토태미즘을 여전히 간직할 수 잇는 기반을 다져왔던 것이다. 위에서 보았던 요소들은 그런것들을 잘 나타내고 잇는 것이다. 각종 문화의 영향으로 변질되 부분이 많은 한국문화와는 반대인 일본의 문화는 문화자체를 본받을 것은 아니지만, 그 정신만큼은 높이살만 하다.
글쓴이가 좋아하는 일본의 예문화는 분명 한국인에게는 없는 무언가이다. 다소 너무 특이한 문화를 이루지는 않았냐는 비판이 나올 수도 잇겠지만, 자신들의 조상이 이루었던 문화를 소중히 그리고 더욱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는 일본인들에겐 분명 무언가 특별한 것이 있다 생각한다.
Ⅳ. 참고 문헌
박정의 저, 『일본의 사회와 문화』, J&C, 2005.
공의식외, 『새로운 일본의 이해』, 다락원, 2002.
이광준저, 『일본의 그 문화와 사회』, 학문사, 1996.
추천자료
[노인복지] 일본 개호보험제도의 내용과 향후대책
[사회복지발달사]일본의 골드플랜과 개호보험제도
실버마케팅 - 실버타운 사례분석 (노블카운티,일본,미국사례)
노인수발보험제도의 내용과 외국사례에서 찾을 수 있는 시사점 및 일본 개호보험과의 비교를 ...
[사회복지학과] 일본의 개호보험(도입배경 및 주요 내용/ 개혁 내용 및 개혁의 시사점)
고령친화산업, 개념과 등장배경, 현황, 일본의 고령친화산업과 비교, 전망 보고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문제와 과제 및 독일수발보험과 일본개호보험의 비교
[노인교육][노인복지][노인문제]노인교육의 정의, 노인교육의 의의, 노인교육의 현황, 노인교...
[노인복지시설][노인인력지원기관]노인복지시설의 이념, 노인복지시설의 유형, 노인복지시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급여] [독일 수발보험제도 급여, 일본]
[다문화 사회복지] 일본결혼 이민자에 대하여
선진국의 복지정책 조사 연구(일본 노인복지정책)
[노인복지론] 실버산업은 노인과 관련된 유·무형의 산업을 의미하는데 대표적인 고령사회인 ...
노인건강관리사업 (노인, 노인방문건강관리사업, 일본노인방문간호, 호주노인가정방문지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