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내에서의 면역반응 실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ose gel에 loading하여 전기영동한다 (80-100 V로 1시간정도).
5. 1 x TBE 150 ml에 10 mg/ml의 EtBr 용액을 10 μl 넣은 염색용액에 gel을 담근 후 5-30분 후 UV illuminator위에 놓고 관찰한다.
3-1. 면역반응 시 생성되는 항체를 제외하고 반응에 관여하는 물질들은?
☞ 항체는 B 림프구가 항원을 인지하여 분화되어서 분비되는 물질인데 반하여, T 림프구는 항원을 인지하여 림포카인을 분비하거나 항원에 감염된 세포를 죽인다. 분비된 림포카인은 백혈구를 활성화하여 식작용을 돕기도 한다.
3-2. 유전자가 발현되는 과정을 설명하시오.
☞ DNA에서 RNA로 전사되며 전사된 mRNA를 이용하여 단백질이 합성되는 (DNA RNA protein) 과정은 central dogma로 불릴 정도로 생물체에서 일어나는 법칙과 같은 순서이다.
3-3. PCR 방법의 원리 및 특징은?
☞ 특정 DNA 부위를 특이적으로 반복 합성하여 시험관내에서 원하는 DNA 분자를 증폭시키는 방법으로서 아주 적은 양의 DNA를 이용하여 많은 양의 DNA 합성을 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virus에서 밝혀낸 역전사효소 (reverse transcriptase)는 DNA RNA의 과정을 역행하는 효소, 즉 RNA DNA 과정에 관여한다. RT-PCR은 이 효소를 이용하여 합성된 cDNA (mRNA에서 합성되었으므로 intron 부분을 가지고 있지 않고 coding되는 exon만을 가지는)를 PCR를 이용해 증폭하는 것이다.
3-4. 생체 내에서 특정한 항원에 의해서 일어나는 면역반응을 종합해 보시오.
☞ (ex. 체액성 면역반응, 세포성 면역반응)
면역반응은 면역작용을 수행하는 기작이 세포나 단백질에 의해서 나타나는 지에 따라 세포성 면역반응과 체액성 면역반응으로 구분한다. 세포성 면역반응은 세포독성 T 세포나 자연 살해세포의 경우처럼 세포가 직접 항원을 제거하는 경우를 말한다. 반면에 체액성 면역반응은 항체나 보체처럼 체액이나 혈액에 녹아 있는 물질, 즉 세포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단백질에 의하여 나타나는 면역반응을 말한다. 비록 체액성 면역반응이 세포와는 독립적이긴 하지만, 항체를 만들기 위하여 여러 가지 세포들의 상호작용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항체와 반응한 항원을 제거하는 데에도 다른 면역 세포가 관여하기 때문에 체액성 면역반응이 세포와는 완전히 독립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4.06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27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