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웹사이트 구축과정의 이해
2. 웹사이트 구축에 필요한 인력 구성
1) 웹사이트 구축에 관한 각종 역할
2) 작업 단계별 담당자
3. 웹사이트 구축과정
1) 1단계 : 웹사이트 기획
2) 2단계 : 웹사이트 설계
3) 3단계 : 웹사이트 제작
4) 4단계 : 웹사이트 운용
*참고문헌
2. 웹사이트 구축에 필요한 인력 구성
1) 웹사이트 구축에 관한 각종 역할
2) 작업 단계별 담당자
3. 웹사이트 구축과정
1) 1단계 : 웹사이트 기획
2) 2단계 : 웹사이트 설계
3) 3단계 : 웹사이트 제작
4) 4단계 : 웹사이트 운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요한 작업항목을 빠짐없이 규정을 만들어 두어야 한다.
① 제작 환경
사이트 구축에 있어서는 우선 인력 구성을 정리한다. 적정 인원과 제작 환경의 정비는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 복수 인원에 의해 데이터 제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와 각종 툴 등 제작 환경을 통일해두는 것이 중요하다.
② 연락 체계
제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정 사항은 세밀한 수정에서부터 사이트 구조와 프로그램 사양의 변경 같은 커다란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작업을 원활히 진행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공유와 연락 체계의 조정이 필요하다.
③ 진행 관리
복수 라인으로 진행되는 사이트 제작 작업은 정확한 스케줄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한쪽에서 진행된 작업이 다른 쪽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엄밀한 진행 관리를 해야 한다.
④ 제작 관리 / 템플릿
사이트의 제작 작업에 있어서는 통일적인 규칙을 책정해 두지 않으면 나중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HTML 태그의 기술규칙, 경로를 정하는 방법과 문자 코드, 줄바꾸기 코드 등의 기본적인 사항에서부터 통일된 스타일 시트의 활용 등 규칙을 확실히 책정해야 한다.
⑤ HTML
HTML 제작은 실제 제작의 중심이 되는 작업이다. 또, 제작 관리 측면에서도 진척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의 진행 방법으로 제작 체제의 좋고 나쁨을 판단 할 수 있다.
⑥ 그래픽카피라이팅
그래픽 제작, 카피 작업은 제작 작업 중에서 자동차로 말하면 부품을 만드는 작업에 해당한다. 부품이 나쁘면 잘 조립해도 외관과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이트 제작에서도 그래픽카피(문구) 작업이 사용자의 평가를 크게 좌우한다.
⑦ 멀티미디어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HTML 제작 방법과는 다르다. 지금 복잡한 애니메이션과 인터랙티브한 조작으로 인기 있는 플래시가 그 예가 된다.
⑧ 프로그램
웹 사이트 개발은 서버 환경의 이동과 도메인 네트워크의 변경, 디자인의 삽입 등 업무계열의 시스템 개발과는 구별되는 요소가 혼재해 있다. 효율적인 개발을 원한다면 변경을 예상한 구조를 처음부터 만들어 두는 것이 필요하다.
⑨ 서버 구축 및 공개
사이트를 구성하는 각종 컨텐츠의 데이터의 제작이 완료되면 드디어 서버의 구축과 공개로 진행된다. 서버 구축은 전문 지식을 많이 필요로 하는데다가 공개후의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서도 미리 대처법을 검토해둬야만 한다. 또, 공개후의 운용확장에 대해서도 검토해야 한다.
⑩ 테스팅(Testing)
컨텐츠와 서버가 구축됐다고 하자, 그러나 그대로 바로 공개할 수는 없다. 실제로 컨텐츠가 올바르게 표시되는지, 링크가 벗어난 것은 아닌지, 프로그램 에러 등이 발생하지 않는지, 여러 가지 사항을 테스팅하여 검증해야만 한다.
4) 4단계 : 웹 사이트 운용
웹 사이트는 인쇄물과 같이 한번 제작하면 끝나는 것이 아니다. 매일 정보를 업데이트하거나 접근자로부터의 문의와 요구에 수시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바로 개발 후 사이트의 업데이트와 유지 보수를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운용 단계는 사이트의 규모와 그 타입에 따라서 다양하다. 일반적으로는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것, 실시간으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 접근자로부터의 요구에 대한 지원 등 꼭 해야만 하는 작업도 많다. 또, 사이트의 이용 확대에 의해 서버를 확장할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것들을 지원하는 응용 체제를 확실히 확립시켜 두어야 할 필요가 있다.
① 운용 항목의 확정
사이트 운용에 있어서는 다양한 컨텐츠 업데이트 작업이 발생하는데, 그 내용은 사이트 구축시에 어느 정도 윤곽이 잡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선은 이 윤곽을 바탕으로 업데이트 작업과 사이트 공개 후에 수행해야 하는 항목을 정리하여 그 스케줄과 작업 볼륨을 파악해둔다.
② 수시 업데이트 / 정기 업데이트
사이트 운용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작업이 컨텐츠의 업데이트 작업이다. 업데이트 작업에는 정기적으로 실행하는 것과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맞춰 수시로 실행하는 것이 있다.
③ 리뉴얼
사이트 운영이 어느 정도 경과한 후의 컨텐츠 재구성과 사용자 네비게이션의 수정이라는 작업에 수반하여 사이트 전체의 디자인 이미지 등을 변경하는 것이 리뉴얼 작업이다.
④ 사용자 지원
사이트 운영에서 업데이트 작업에 이어서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사용자 지원이다. 사용자 문의에 대한 메일, 그 외 수단에 의한 처리, 온라인 앙케이트를 실시한다고 하면, 그 집계 작업과 결과에 대한 대처 작업 등 여러 가지 지원해야 할 직업이 있다. 사용자 지원을 적절히 처리하지 않으면 사이트 이미지를 악화시키고, 결국에는 클라이언트의 이미지를 저하시킬 수 있다.
⑤ 광고
서비스 사이트의 운용 등에서 지속적으로 실행해야만 하는 것이 광고 활동이다.
⑥ 사이트 감시 / 위기관리
인터넷상에 공개된 사이트 서버는 항상 위험에 놓여 있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크래킹에 의한 시스템 파괴 행위는 물론이고 여러 가지 부정 접근에 의해 작동 이상을 일으킬 가능성도 있다. 항상 사이트의 액세스 상황을 감시하고, 만일의 경우에 대비하기 위한 위기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⑦ 접근 통계
사이트의 운영 상황은 사용자의 접근 상황을 감시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웹 서버 시스템에서는 어느 페이지가 어떠한 비율로 열람되고 있는가하는 페이지 뷰를 확인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에 대한 보고와 함께 사이트의 현 상태를 파악하여 보다 좋은 사이트 이미지를 설계하는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⑧ 운용 인력 / 운용 예산
사이트 운영에는 구축 시에 필요한 각 제작 인력 등도 물론 필요하지만, 그 이외에도 사무적인 기능도 요구된다. 또, 한번 공개한 사이트는 항상 계속 발전해야만 하고, 게다가 사용자 요구를 의식한 고품위 컨텐츠 서비스가 요구되므로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예산을 분배한다.
<참고 문헌>
1. “e-비즈니스를 위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이은령 이황규 허계범 공저 이한출판사
2. “웹 기획 & 웹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오종혁 저 영진.com
3. “Web 기획에서 제작까지 WEB DESIGN WORKFLOW" 영진.COM
① 제작 환경
사이트 구축에 있어서는 우선 인력 구성을 정리한다. 적정 인원과 제작 환경의 정비는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 복수 인원에 의해 데이터 제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와 각종 툴 등 제작 환경을 통일해두는 것이 중요하다.
② 연락 체계
제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정 사항은 세밀한 수정에서부터 사이트 구조와 프로그램 사양의 변경 같은 커다란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작업을 원활히 진행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공유와 연락 체계의 조정이 필요하다.
③ 진행 관리
복수 라인으로 진행되는 사이트 제작 작업은 정확한 스케줄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한쪽에서 진행된 작업이 다른 쪽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엄밀한 진행 관리를 해야 한다.
④ 제작 관리 / 템플릿
사이트의 제작 작업에 있어서는 통일적인 규칙을 책정해 두지 않으면 나중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HTML 태그의 기술규칙, 경로를 정하는 방법과 문자 코드, 줄바꾸기 코드 등의 기본적인 사항에서부터 통일된 스타일 시트의 활용 등 규칙을 확실히 책정해야 한다.
⑤ HTML
HTML 제작은 실제 제작의 중심이 되는 작업이다. 또, 제작 관리 측면에서도 진척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의 진행 방법으로 제작 체제의 좋고 나쁨을 판단 할 수 있다.
⑥ 그래픽카피라이팅
그래픽 제작, 카피 작업은 제작 작업 중에서 자동차로 말하면 부품을 만드는 작업에 해당한다. 부품이 나쁘면 잘 조립해도 외관과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이트 제작에서도 그래픽카피(문구) 작업이 사용자의 평가를 크게 좌우한다.
⑦ 멀티미디어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HTML 제작 방법과는 다르다. 지금 복잡한 애니메이션과 인터랙티브한 조작으로 인기 있는 플래시가 그 예가 된다.
⑧ 프로그램
웹 사이트 개발은 서버 환경의 이동과 도메인 네트워크의 변경, 디자인의 삽입 등 업무계열의 시스템 개발과는 구별되는 요소가 혼재해 있다. 효율적인 개발을 원한다면 변경을 예상한 구조를 처음부터 만들어 두는 것이 필요하다.
⑨ 서버 구축 및 공개
사이트를 구성하는 각종 컨텐츠의 데이터의 제작이 완료되면 드디어 서버의 구축과 공개로 진행된다. 서버 구축은 전문 지식을 많이 필요로 하는데다가 공개후의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서도 미리 대처법을 검토해둬야만 한다. 또, 공개후의 운용확장에 대해서도 검토해야 한다.
⑩ 테스팅(Testing)
컨텐츠와 서버가 구축됐다고 하자, 그러나 그대로 바로 공개할 수는 없다. 실제로 컨텐츠가 올바르게 표시되는지, 링크가 벗어난 것은 아닌지, 프로그램 에러 등이 발생하지 않는지, 여러 가지 사항을 테스팅하여 검증해야만 한다.
4) 4단계 : 웹 사이트 운용
웹 사이트는 인쇄물과 같이 한번 제작하면 끝나는 것이 아니다. 매일 정보를 업데이트하거나 접근자로부터의 문의와 요구에 수시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바로 개발 후 사이트의 업데이트와 유지 보수를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운용 단계는 사이트의 규모와 그 타입에 따라서 다양하다. 일반적으로는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것, 실시간으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 접근자로부터의 요구에 대한 지원 등 꼭 해야만 하는 작업도 많다. 또, 사이트의 이용 확대에 의해 서버를 확장할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것들을 지원하는 응용 체제를 확실히 확립시켜 두어야 할 필요가 있다.
① 운용 항목의 확정
사이트 운용에 있어서는 다양한 컨텐츠 업데이트 작업이 발생하는데, 그 내용은 사이트 구축시에 어느 정도 윤곽이 잡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선은 이 윤곽을 바탕으로 업데이트 작업과 사이트 공개 후에 수행해야 하는 항목을 정리하여 그 스케줄과 작업 볼륨을 파악해둔다.
② 수시 업데이트 / 정기 업데이트
사이트 운용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작업이 컨텐츠의 업데이트 작업이다. 업데이트 작업에는 정기적으로 실행하는 것과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맞춰 수시로 실행하는 것이 있다.
③ 리뉴얼
사이트 운영이 어느 정도 경과한 후의 컨텐츠 재구성과 사용자 네비게이션의 수정이라는 작업에 수반하여 사이트 전체의 디자인 이미지 등을 변경하는 것이 리뉴얼 작업이다.
④ 사용자 지원
사이트 운영에서 업데이트 작업에 이어서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사용자 지원이다. 사용자 문의에 대한 메일, 그 외 수단에 의한 처리, 온라인 앙케이트를 실시한다고 하면, 그 집계 작업과 결과에 대한 대처 작업 등 여러 가지 지원해야 할 직업이 있다. 사용자 지원을 적절히 처리하지 않으면 사이트 이미지를 악화시키고, 결국에는 클라이언트의 이미지를 저하시킬 수 있다.
⑤ 광고
서비스 사이트의 운용 등에서 지속적으로 실행해야만 하는 것이 광고 활동이다.
⑥ 사이트 감시 / 위기관리
인터넷상에 공개된 사이트 서버는 항상 위험에 놓여 있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크래킹에 의한 시스템 파괴 행위는 물론이고 여러 가지 부정 접근에 의해 작동 이상을 일으킬 가능성도 있다. 항상 사이트의 액세스 상황을 감시하고, 만일의 경우에 대비하기 위한 위기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⑦ 접근 통계
사이트의 운영 상황은 사용자의 접근 상황을 감시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웹 서버 시스템에서는 어느 페이지가 어떠한 비율로 열람되고 있는가하는 페이지 뷰를 확인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에 대한 보고와 함께 사이트의 현 상태를 파악하여 보다 좋은 사이트 이미지를 설계하는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⑧ 운용 인력 / 운용 예산
사이트 운영에는 구축 시에 필요한 각 제작 인력 등도 물론 필요하지만, 그 이외에도 사무적인 기능도 요구된다. 또, 한번 공개한 사이트는 항상 계속 발전해야만 하고, 게다가 사용자 요구를 의식한 고품위 컨텐츠 서비스가 요구되므로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예산을 분배한다.
<참고 문헌>
1. “e-비즈니스를 위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이은령 이황규 허계범 공저 이한출판사
2. “웹 기획 & 웹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오종혁 저 영진.com
3. “Web 기획에서 제작까지 WEB DESIGN WORKFLOW" 영진.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