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귀족의 특색과 영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Ⅰ. 부체제의 변화와 귀족의 출현
1. 신분체계의 차이
2. 귀족의 출현

Ⅱ. 신분구조와 귀족

Ⅲ. 귀족의 존재양상과 권력구조의 변화

Ⅳ. 신라귀족의 특징과 영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執事部)는 신라 시대의 최고 행정 기관으로 국가의 기밀 사무를 맡아 보았는데, 651년(진덕여왕 5) 품주를 개칭하여 설치하였다. 집사부의 장관은 진골 출신의 중시로, 그 아래 전대등(뒤에 시랑으로 고침), 대사(뒤에 낭중으로 고침), 사자 각 2명, 사 14명이 있었다. 집사부는 국가의 기밀 사무를 맡았던 만큼 왕의 지배를 직접 받았으며, 따라서 화백 회의와 귀족 세력의 대표적격인 상대등과는 대립적인 성격을 띨 수밖에 없 었다. 통일 직후 왕권이 전제화되었을 때에는 집사부의 권한이 강화되었고, 그 반대로 상대등의 권한은 약화되었다.
집사부의 장관인 중시직에는 왕과 가까운 왕족이 임명되었고, 그 임무는 왕권을 옹호하는 행정적인 대변자인 동시에 정치적 책임자의 역할을 하였다 중시는 747년(경덕왕 6)에 시중으로 격상되었고, 829년(흥덕 왕 4)에는 집사부가 집사성으로 승격되었다. 이것은 집사성이 점차 여러 관부를 총관하도록 기능이 확대된 데서 생긴 변화였다
참고문헌
김철준, 『한국 고대사회연구』, 지식산업사, 1975
신형식, 『한국 고대사의 신 연구』, 일조각, 1984
김정배, 『한국고대의 국가 기원과 형성』, 고려대출판부, 1986
이기백, 『신라 정치 사회사 연구』, 일조각, 1974
이종욱, 『』신라국가 형성사 연구, 일조각, 1982
윤내현, 『한국고대사 신론』, 일지사, 1986
이기동, 『신라 골품제사회와 화랑도』, 한국연구원, 1980
김영하, 「신라 발전단계와 전쟁」,『한국고대사 연구』4, 지식산업사, 1991
이우태, 「신라의 촌과 촌주」,『한국사론』7, 서울대 국사학과, 1981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4.11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37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