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성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라의 성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성골출신의 왕
...

본문내용

지위가 굳어졌다. 성골 왕 시대 신라는 중국문명을 직수입하여 그것을 신라에 맞게 변용하여 신라의 문명을 발전시켰다.
Ⅴ. 성골왕 시대의 끝
진덕왕 5년때에 개혁이 있었다. 진덕왕 5년(651) 집사부를 설치하는 등 일련의 정치 조직의 편성이 이루어졌다. 그러한 정치조직의 편성에는 김춘추를 중심으로 김유신을 포함한 칠성우 등의 세력이 있었다. 진덕왕에게는 이미 가까운 종족이 사라진 상태였다. 김춘추는 진덕왕의 6촌으로 당시 실질적인 실력자가 되었다. 결국 김춘추와 김유신 등의 세력은 진덕왕 5년을 기점으로 신라의 정치적 실권을 장악하였다. 그들은 김춘추의 왕위계승을 위한 준비작업을 전개 하였다.
성골 왕은 성골집단에서 나왔으며 성골 집단은 왕과 그 형제의 가족으로 구성되었다. 진평왕을 마지막으로 성골 남자가 소멸되었고 진덕왕을 마지막으로 성골 여자마저 소멸 되었다. 이로써 성골 왕 시대는 끝을 맺었다.
그러나 진덕왕 시대에 이미 성골 왕 이후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갈 세력집단이 형성 되었다. 『삼국유사』 진덕왕조에 나오는 기록 중 왕의 시대에 알천공, 임종공, 술종공, 호림공,염장공, 유신공이 있었는데 그들은 남산 오지암에 모여서 국사를 논하였다고 한다. 알천공은 자리의 우두머리 였으나 공들 모두 유신의 위엄에 복종하였다고 한다. 『화랑세기』에는 보종공을 더하여 칠성우(七星友) 를 이루었는데 통일의 기초가 이들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하고 있다. 이들 칠성우가 바로 진덕왕대에 정치지배세력들이었다. 거기에 더하여 김춘추가 있다.
이들은 진덕왕에게 충성을 바쳤으나 실제는 성골 왕이 소멸되는 상황에서 진골인 김춘추를 왕으로 추대할 세력이 되어 있었다. 특히 그들 중 유신은 춘추와 중복된 혼인 관계를 맺었다. 술종공의 아들인 죽지는 651년 집사부가 설치될때 첫 번째 중시가 되었다.
Ⅵ. 맺음말
성골은 국가의 발전 과정에서 최고 지배자의 권력이 강화되면서 드러날 조짐은 보여왔지만, 결국 신라국의 성립과 국왕의 출현으로 그 실체를 갖추게 되었다. 지증왕은 늙은 나이로 왕위에 올랐고 국왕이 된 왕의 4년 이후에도 왕권에 제약이 있었다. 그리하여 그는 전형적인 성골인 중고기의 왕으로 여겨지지는 않고 마립간으로 인식되었다. 지증왕의 아들 법흥왕은 국왕의 왕자로서 국왕이 되었으며 병부를 설치하여 군사력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하고 율령을 반포하여 통치 질서를 확립하고 불교를 공인하여 사상의 통합과 이를 통한 왕실 신성화의 발판을 마련했으며 상대등을 설치하여 왕의 권위를 귀족들을 초월한 위치에 두었다. 그는 성골의 기본 실체인 거룩한 국왕의 왕권을 확립하였고 마침 공인한 불교의 이데올로기를 차용할 수 있었던 것이다. 선덕여왕의 즉위와 재위과정에서 성골의식은 최고조에 이르렀고 그만큼 성골 왕실은 다시 내려올 수 없는 만큼의 신성화를 추구하여 연이은 여성 왕의 재위와 함께 단절되었다. 중고기의 성골은 현상적으로는 국왕과 왕비의 친족집단이다. 성골은 왕실과 그와 결혼할 수 있는 최고위급 귀족들의 친족집단을 범주로 하는 것이다. 중대에는 성골왕실을 재창조하려는 노력은 크게 드러나지 않았다. 그러나 성골의 기본 조건인 강력한 권한을 가진 왕실이 존재하는 만큼 일반 진골과는 구분되는 그와 결혼하는 최고의 귀족층이 있었으니 성골고 진골이 제1골과 제2골로 존재한다고 보았던 듯 하다. 신라 하대에는 이미 소멸된 중고기 왕실이 가졌던 성골의 신분을 부정할 수는 없었으며 성골이 공식적으로는 폐기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성골에 대한 미련이나 염원은 어느 시기의 왕실에도 있는 것이지만 이데올로기로 왕실의 권위를 높이는 시대는 이미 지나갔다. 다만 왕계 단절의 위기에서 변질된 성골의식이 드러나기도 했다.

키워드

신라,   성골,   골품제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12.30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60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