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심장의 구조
(1) 심장의 형태
(2) 심장의 판막
(3) 심장의 벽
(4) 심장의 혈관
2. 심장의 기능
(1) 심장박동의 자동성
(2) 심장주기
(3) 심장의 수축력과 박출량
(4) 박동수와 박동리듬
(5) 심전도
(1) 심장의 형태
(2) 심장의 판막
(3) 심장의 벽
(4) 심장의 혈관
2. 심장의 기능
(1) 심장박동의 자동성
(2) 심장주기
(3) 심장의 수축력과 박출량
(4) 박동수와 박동리듬
(5) 심전도
본문내용
박동수가 계속될 때를 서맥이라 하며, 100번/분 이상일 때를 빈맥이라 한다. 박동수는 운동, 정신적인 흥분, 열이 있을 때 증가하며 수면시에는 감소한다. 심장은 거의 일정한 리듬으로 규칙적인 박동을 하고 있다. 이것은 동방결절이 규칙적으로 활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때로는 심박동의 리듬이 불규칙할 때도 있다. 예를 들어 심호흡을 하면 흡식에서는 동방결적의 활동이 촉진되어 박동수가 증가하고, 호식에서는 반대로 박동수가 감소한다. 이와 같이 불규칙한 박동리듬을 부정맥이라 한다.
(5) 심전도
심장근도 골격근과 마찬가지로 흥분되면 활동전압이 생긴다. 이 활동전압을 신체의 표면에서 기록해 보면 심장의 박동과 함께 상당히 규칙적인 P, QRS, T라는 파형이 나타난다. 이것을 심전도라 한다.
심장에서 나오는 활동전압을 신체 표면에서 측정하면 약 1mV라는 미소한 전압이므로, 이것을 기록하기 위해서는 심전도계라는 특수한 장치가 필요하다. 심전도를 기록하는 데에는 전극을 오른손, 왼손, 왼발에 부착하여 유도하는 사지 유도법과 흉벽에 부착한 전극으로부터 유도하는 흉부 유도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임상에서는 정해진 부위에 전극을 대고 측정하는 6종의 사지유도와 6종의 흉부유도, 합계 12종의 유도를 하는 것이 표준으로 되어 있다. 심장에 질환이 있으면 심전도의 파형에 특이적 변화가 나타날 때가 많으므로 심전도는 박동리듬의 이상(부정맥 등), 심장비대, 심장의 위치 이상, 자극전도계의 이상(특히 블록), 심근의 장애(협심증, 심근경색), 심방의 이상 등 여러 가지 심장질환을 진단하는데 응용할 수 있다.
(5) 심전도
심장근도 골격근과 마찬가지로 흥분되면 활동전압이 생긴다. 이 활동전압을 신체의 표면에서 기록해 보면 심장의 박동과 함께 상당히 규칙적인 P, QRS, T라는 파형이 나타난다. 이것을 심전도라 한다.
심장에서 나오는 활동전압을 신체 표면에서 측정하면 약 1mV라는 미소한 전압이므로, 이것을 기록하기 위해서는 심전도계라는 특수한 장치가 필요하다. 심전도를 기록하는 데에는 전극을 오른손, 왼손, 왼발에 부착하여 유도하는 사지 유도법과 흉벽에 부착한 전극으로부터 유도하는 흉부 유도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임상에서는 정해진 부위에 전극을 대고 측정하는 6종의 사지유도와 6종의 흉부유도, 합계 12종의 유도를 하는 것이 표준으로 되어 있다. 심장에 질환이 있으면 심전도의 파형에 특이적 변화가 나타날 때가 많으므로 심전도는 박동리듬의 이상(부정맥 등), 심장비대, 심장의 위치 이상, 자극전도계의 이상(특히 블록), 심근의 장애(협심증, 심근경색), 심방의 이상 등 여러 가지 심장질환을 진단하는데 응용할 수 있다.
추천자료
맥관계의 구조와 기능
응급구조
한국시의 리듬구조와 실제작품 분석
맥관계 구조와 기능
순환계의 구조와 기능
비뇨기계의 특징과 신장의 구조
경영혁신의 구조 방안 골자
인명구조와 응급처치
골격계와 근육계의 이해 (뼈의 생리적인작용, 뼈의기본적인구조, 뼈의발생과성장, 골격근의 ...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질병 검사 및 약물 치료기구 정리
[중추신경계, 중추신경계 구조, 중추신경계 연결, 시냅스, 선천성장애, 뇌, 카페인]중추신경...
[몸][신체][몸 정의][몸 구조][몸 혈액][몸 단백질대사][몸과 의학사회][혈액][단백질대사][...
[음료][음료수][음료 정의][음료 역사][음료 산업구조][음료 산채]음료(음료수)의 정의, 음료...
[소화기관] 소화기계(소화기)의 구조와 기능(구강, 인두, 식도, 위의 구조와 기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