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몸(신체)의 정의
Ⅲ. 몸(신체)의 구조
1. 뼈
2. 근육
3. 관절
4. 호흡 기관
5. 호흡 기관의 역할
6. 심장과 순환계
7. 순환계
8. 온몸에서 혈액의 순환 과정(대순환)
Ⅳ. 몸(신체)의 혈액
Ⅴ. 몸(신체)의 단백질대사
1. 분해
1) 탈아미노 반응
2) 산화적 탈아미노 과정
2. 합성
Ⅵ. 몸(신체)과 의학사회
Ⅶ. 결론
참고문헌
Ⅱ. 몸(신체)의 정의
Ⅲ. 몸(신체)의 구조
1. 뼈
2. 근육
3. 관절
4. 호흡 기관
5. 호흡 기관의 역할
6. 심장과 순환계
7. 순환계
8. 온몸에서 혈액의 순환 과정(대순환)
Ⅳ. 몸(신체)의 혈액
Ⅴ. 몸(신체)의 단백질대사
1. 분해
1) 탈아미노 반응
2) 산화적 탈아미노 과정
2. 합성
Ⅵ. 몸(신체)과 의학사회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과정에는 당연히 의료직의 전문직화를 향한 끊임없는 노력이 수반되었음은 물론이다.
조직된 전문직으로서 과학주의의 시대의 발전을 표상하게 된 의사와 조직되지 않은 개인으로서 환자가 병원이라는 공간에서 만날 때 그들 사이에 일종의 비대칭적인 권력관계가 형성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우리의 논의 맥락에서 더욱 중요한 사태는 의사-환자 관계가 비대칭성을 띠는 것이 단지 극히 일상적인 수준에서의 권력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진리’의 문제에도 관여하기 때문이다. 이제 의사는 환자에 관한 ‘진리’를 생산한다. 환자의 현존재에 관한 최종적인 규정은 의사의 몫이 되었다. 의사는 환자에게 묻고 듣는다. 하지만 그것은 ‘공통의 규칙을 공유하지 않는 타자들’ 간의 <상호적 대화>가 아니라 진리의 생산자인 의사에 의한 관찰의 일환이다. 그것은 ‘진단’의 한 종류이며, 환자는 그 대화의 과정과 결과에 대해 어떤 종류의 의미있는 영향력도 행사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의사와 환자의 관계는 사실상 사제와 신자의 관계와 상응하게 된다. 신자는 숨겨둔 사실을 고백한다. 그것이 진실임이 확인되는 것은 사제와 그를 둘러싼 고해소라는 ‘고백의 제도’ 속에서만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환자는 자신의 질병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 질병이 의학적 정당성을 얻게 되는 것은 의사와 그를 둘러싼 병원이라는 ‘의학적 제도’ 속에서만 가능하다.
임상의학의 제도화는 의료화라는 새로운 종류의 사회적 현상과 맞물리게 된다. 인간학의 궁극적인 준거로서 의학이 자리 잡게 되자 인간에 대한 지식을 활용해야 하는 모든 종류의 사회적 실천에도 의학적 진단이 요청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출생과 사망, 수용소에의 수용이나 퇴원의 허용에서부터 군대의 입대나 면제와 같은 생애사의 핵심적 과정 속으로 의료는 필수불가결한 유기적 절차로 통합되기 시작한다(당연한 말이지만 오늘날에는 출생 이전부터, 즉 태아의 시기부터 출생과 유아기, 학교생활, 군입대, 취업 및 직장생활, 운전면허의 획득, 보험의 가입, 사망 등에 이르기까지 우리들의 생활은 의료적 관리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게 되었다). 의료는 이제 질병이라는 특수한 상황만이 아니라 전반적인 생애사를 관리하는 규제자의 지위로까지 상승한 것이다. 바로 이러한 현상을 의료화(medicalization)라고 부른다. 의료화란 다양한 사회적 현상이 의학적 관심의 대상이 될 뿐만 아니라 의학적 관점에 의해 평가되고 의료적 절차의 영역 속으로 통합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의학적 관점에서 평가되는 ‘건강’을 획득하지 못하면 비정상으로 낙인찍히게 되는 것이며, 이는 ‘도덕적’ 문제로 전화한다.
푸코는 육체의 고통을 덜기 위한 의사들의 의료 행위가 영혼과 더불어 육체를 구제하려는 교회의 사명감과 부합하였기 때문에 영혼을 감시하는 사제와 육체의 건강을 관리하는 의사의 역할은 일맥상통하는 것이 되었다고 말한다. 영혼을 구원하던 사제를 대신해 육체를 구원하는 의사가 새로운 세계의 중심에 서게 되는 세상이 온 것이다. 더불어 의료는 이제 임상적 기능뿐만 아니라 도덕적 기능까지 수행하게 되었으며, 의료야말로 종교의 침식으로 생긴 공백을 차지하게 된 것이다.
참고문헌
김석완, 문명화이론의 \'몸\' 개념과 그 교육학적 함의, 한국교육철학학회, 2007
대한혈액학회, 혈액학, 범문에듀케이션, 2011
뤼디거 달케, 토르발트 데트레프 저, 염정용 외 2명 역, 몸은 알고 있다, 이지앤, 2006
베르너 바르텐스 저, 유영미 역, 몸의 행복, 올, 2011
스티브 파커 저, 김재면 역, 우리의 몸, 루덴스, 2009
이옥희, 단백질 대사의 기질 함량에 대한 의존성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1997
조직된 전문직으로서 과학주의의 시대의 발전을 표상하게 된 의사와 조직되지 않은 개인으로서 환자가 병원이라는 공간에서 만날 때 그들 사이에 일종의 비대칭적인 권력관계가 형성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우리의 논의 맥락에서 더욱 중요한 사태는 의사-환자 관계가 비대칭성을 띠는 것이 단지 극히 일상적인 수준에서의 권력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진리’의 문제에도 관여하기 때문이다. 이제 의사는 환자에 관한 ‘진리’를 생산한다. 환자의 현존재에 관한 최종적인 규정은 의사의 몫이 되었다. 의사는 환자에게 묻고 듣는다. 하지만 그것은 ‘공통의 규칙을 공유하지 않는 타자들’ 간의 <상호적 대화>가 아니라 진리의 생산자인 의사에 의한 관찰의 일환이다. 그것은 ‘진단’의 한 종류이며, 환자는 그 대화의 과정과 결과에 대해 어떤 종류의 의미있는 영향력도 행사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의사와 환자의 관계는 사실상 사제와 신자의 관계와 상응하게 된다. 신자는 숨겨둔 사실을 고백한다. 그것이 진실임이 확인되는 것은 사제와 그를 둘러싼 고해소라는 ‘고백의 제도’ 속에서만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환자는 자신의 질병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 질병이 의학적 정당성을 얻게 되는 것은 의사와 그를 둘러싼 병원이라는 ‘의학적 제도’ 속에서만 가능하다.
임상의학의 제도화는 의료화라는 새로운 종류의 사회적 현상과 맞물리게 된다. 인간학의 궁극적인 준거로서 의학이 자리 잡게 되자 인간에 대한 지식을 활용해야 하는 모든 종류의 사회적 실천에도 의학적 진단이 요청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출생과 사망, 수용소에의 수용이나 퇴원의 허용에서부터 군대의 입대나 면제와 같은 생애사의 핵심적 과정 속으로 의료는 필수불가결한 유기적 절차로 통합되기 시작한다(당연한 말이지만 오늘날에는 출생 이전부터, 즉 태아의 시기부터 출생과 유아기, 학교생활, 군입대, 취업 및 직장생활, 운전면허의 획득, 보험의 가입, 사망 등에 이르기까지 우리들의 생활은 의료적 관리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게 되었다). 의료는 이제 질병이라는 특수한 상황만이 아니라 전반적인 생애사를 관리하는 규제자의 지위로까지 상승한 것이다. 바로 이러한 현상을 의료화(medicalization)라고 부른다. 의료화란 다양한 사회적 현상이 의학적 관심의 대상이 될 뿐만 아니라 의학적 관점에 의해 평가되고 의료적 절차의 영역 속으로 통합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의학적 관점에서 평가되는 ‘건강’을 획득하지 못하면 비정상으로 낙인찍히게 되는 것이며, 이는 ‘도덕적’ 문제로 전화한다.
푸코는 육체의 고통을 덜기 위한 의사들의 의료 행위가 영혼과 더불어 육체를 구제하려는 교회의 사명감과 부합하였기 때문에 영혼을 감시하는 사제와 육체의 건강을 관리하는 의사의 역할은 일맥상통하는 것이 되었다고 말한다. 영혼을 구원하던 사제를 대신해 육체를 구원하는 의사가 새로운 세계의 중심에 서게 되는 세상이 온 것이다. 더불어 의료는 이제 임상적 기능뿐만 아니라 도덕적 기능까지 수행하게 되었으며, 의료야말로 종교의 침식으로 생긴 공백을 차지하게 된 것이다.
참고문헌
김석완, 문명화이론의 \'몸\' 개념과 그 교육학적 함의, 한국교육철학학회, 2007
대한혈액학회, 혈액학, 범문에듀케이션, 2011
뤼디거 달케, 토르발트 데트레프 저, 염정용 외 2명 역, 몸은 알고 있다, 이지앤, 2006
베르너 바르텐스 저, 유영미 역, 몸의 행복, 올, 2011
스티브 파커 저, 김재면 역, 우리의 몸, 루덴스, 2009
이옥희, 단백질 대사의 기질 함량에 대한 의존성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1997
추천자료
미생물의 대사와 인체에서의 독성
3대영양소의대사
핵산의 대사과 미생물의 혐기성 호흡
당질 대사 장애 : 당뇨병
송대사대부
에너지 대사의 적응과 운동시 연료의 이용PPT
Fat 대사과정
포도당의 무산소성 대사과정, 해당과정에대한 11단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특징,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분야별 활동,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침체, 대한...
감염관리 간호 (감염에 대한 인체의 방어 기전, Infection 감염, 감염회로(chain of infectio...
노년기의 영양소 대사의 변화
술(알코올)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알코올의 체내대사, 알코올이 영양소대사에 미치는 영향,...
탄수화물의 대사 및 기능, 탄수화물 종류, 탄수화물과 건강(질병)
[당뇨병] 당뇨병의 대사(당뇨병 대사이상), 당뇨병의 증상과 특징, 당뇨병의 진단(당뇨병검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