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도 하려 하지 않고 어떤 일에 협조를 하거나 질문에 대답하지 않는다.
④ 자살 : 자신을 죽이려고 하거나 시도함.
발작/경련
중점질문
도착전 조치사항
1. 환자가 아직도 떨고 있는가?
2. 환자가 숨을 쉬고 있는가?
3. 환자가 임신한 상태인가?
4. 아이가 열이 높을 때에는?
1. 그렇다면, A. 환자 주위의 물건들을 치워 놓는다.
B. 환자를 구속하지 말 것
C. 환자의 옷을 느슨하게 해준다.
D. 환자에게 먹을 것을 주지 않는다.
그렇지 않다면,
A. 환자의 기도와 호흡을 점검한다.
B. 환자를 옆으로 눕힌다.
C. 호흡이 정상이면 잠을 자게 한다.
2. 머리를 뒤로 젖혀주고, 호흡이 없으면
'심폐소생술'을 참고한다.
3. 환자를 왼쪽으로 눕힌다.(구조대에 알림)
4. 옷을 벗긴다.
* 변화가 있으면 전화하게 한다
보충정보
※ 발작 원인 : 간질, 최근 또는 과거의 머리손상, 두뇌종양, 뇌혈관 색전증, 감염, 고열, 원인 불명
※ 발작 분류: 전신성 - 반복적인 근육 활동 또는 경련
부분성 - 신체의 한 부위 도는 한쪽에 국한된 발작
※ 발작의 처치 :① 손상으로부터 환자 보호
② 옷을 느슨하게 풀어 준다.
③ 환자의 입에 아무것도 넣지 않는다.
④ 발작 후 기도 개방 확인
* 주 : 발작이 끝나고 잠시 후 다시 발작이 시작될 수 있다.
※ 인사불성 상태 원인 : 질병, 손상 (특히 머리), 정서적 흥분 (실신)
환경적 (열/한냉 노출), 중독, 발작, 심장, 호흡 정지
+ 처치 : 인사불성 / 무의식
① 반응을 확인한다.
② 기도 확보 및 유지
③ 필요하면 심폐소생술 시시
④ 숨을 쉬면 환자를 옆으로 돌려 눕힌다.(손상에 의한 환자가 아닐 때)
⑤ 무의식 원인 조사
뇌출혈/뇌경색
중점질문
도착전 조치사항
1. 호흡 곤란이 있는가?
2. 신체부위의 마비증상이 있는가?
3. 말을 분명히 할 수 없는가?
1. 머리를 뒤로 젖혀주고, 호흡이 멈추면
'심폐소생술'을 참고한다.
2. 환자를 마비가 일어난 쪽으로 눕힌다.
먹을 것, 마실 것을 주지말 것.
3. 의사 소통 방법을 찾는다 : 환자는 알아 들으면서도
말을 못한다. 고개를 끄덕 이거나, 눈을 쳐다 보거나,
간단한 움직임 등으로 대답할 수 있게 질문을 한다.
* 변화가 있으면 전화하게 한다.
보충정보
※ 뇌출혈/뇌경색의 원인
①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뇌혈관이 막힌 경우
② 고혈압,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뇌혈관이 터진 경우
③ 신체 다른 부위에서 생긴 핏덩어리가 혈류를 타고 뇌혈관을 막은 경우
※ 뇌출혈/뇌경색 징후 및 증상
① 신체 한쪽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마비
② 의식이 점차 소실
③ 말을 분명히 하지 못한다.
④ 발작
⑤ 음식물을 삼키기 또는 호흡 곤란
⑥ 얼굴 근육 상태의 이완
⑦ 두통
※ 뇌출혈/뇌경색의 처치
① 환자를 마비가 일어난 쪽으로 눕히고
② 기도를 열어 유지시키고
③ 입으로 음식이나 물을 절대 주지 말고
④ 환자를 부드럽고 조심스럽게 다룬다.
손상
중점질문
도착전 조치사항
1. 손상 당한 부위는?
2. 호흡곤란이 있는가?
3. 출혈이 심한가?
4. 쇼크 징후가 있는가? (창백하고 차갑고 촉촉한 피부)
5. 메스꺼움과 구토는 있는가?
6. 골절은 있는가?
1. 머리와 가슴에 손상을 당했으면 - 쇼크 징후(창백하고 차갑고 촉촉한 피부)가 없으면 상체를 일으키게 한다.
2. 턱을 위로 미는 방법 사용, 호흡이 멈추면
'심폐소생술'를 참고한다.
3. 출혈부위를 직접 압박한다.
4. 발과 다리를 높게 올려준다.
5. 척추를 고정시킨 상태로 옆으로 돌려 눕힌다.
6. 환자를 움직이지 말고 발견 당시의 자세로 고정시킨다.
* 변화가 있으면 전화하게 한다.
보충정보
※ 머리손상 :
① 명백한 손상
② 의식이 점차 소실
③ 방향감각의 소실, 불안, 초조, 무기력증이 나타난다.
④ 이전에 의식소실의 병력이 있는지 등을 확인한다.
+ 처치 : 기도를 유지하고 척추를 보호해준다.
※ 복부손상 :
① 명백한 손상을 입었는지
② 복통이 국소적인지 전체적인지
③ 복부가 단단한지 부풀어 올랐는지
④ 쇼zm 징후를 확인한다.
+ 처치: 환자를 눕히고 발과 다리를 높게 올려 준다.
입안을 깨끗이 하고 기도를 유지시켜 준다.
※ 가슴 손상
① 명백한 손상
② 손상당한 부위의 통증
③ 국소통증이 호흡 또는 움직임에 따라 악화 여부
④ 호흡 곤란
⑤ 정상적인 호흡으로는 가슴이 팽창되지 않는지 확인
⑥ 기침을 할 때 피가 나오거나
⑦ 피부에 청색증이 나타나는지 등을 확인한다.
+ 처치: 입안을 깨끗이 하고 기도를 유지시켜 주며, 출혈 부위는 직접 압박하고,
이물질이 박혀있는 경우, 빼지 말아야 한다.
무의식/의식소실 상태
중점질문
도착전 조치사항
1. 호흡곤란이 있는가?
2. 쇼크 징후가 있는가? (창백하고 차갑고 촉촉한 피부)
3. 메스꺼움과 구토는 있는가?
4. 무의식 상태가 계속되는가?
5. 손상, 뇌경색/뇌출혈., 중독, 발작, 자살 등의
특정한 증상이 있는가?
1. 머리를 뒤로 젖혀주고, 호흡이 멈추면
'심폐소생술'을 참고한다.
2. 환자의 발과 다리를 높게 올려 준다.
3. 환자를 옆으로 돌려 눕힌다. 손상을 당한 경우,
척추를 고정시키고 환자를 돌려 눕힌다.
4. 진료경고표(Medic Alert Tag)또는 카드를 점검한다.
* 변화가 생기면 전화하게 한다.
보충정보
※ 의식소실의 원인
질병 - 당뇨병, 머리 손상, 정서적 흥분, 열/한냉 과다 노출, 중독, 발작, 약물/알코올 남용, 물리거나 쏘임
호흡/심장 정지, 뇌출혈/뇌경색, 감전 쇼크, 익사, 스쿠버 다이빙, 감염, 쇼크, 알레르기 반응, 질식(기도폐쇄)
※ 의식 소실시의 조치 :
① 기도를 유지시켜 주고
② 필요하면 심폐소생술을 시행한다.
③ 의식소실의 원인을 찾는다.
④ 손상을 당한 경우는 척수 손상 유무를 확인
⑤ 손상을 당한 것이 아니면 반드시 환자를 옆으로 돌려 눕힌다.
④ 자살 : 자신을 죽이려고 하거나 시도함.
발작/경련
중점질문
도착전 조치사항
1. 환자가 아직도 떨고 있는가?
2. 환자가 숨을 쉬고 있는가?
3. 환자가 임신한 상태인가?
4. 아이가 열이 높을 때에는?
1. 그렇다면, A. 환자 주위의 물건들을 치워 놓는다.
B. 환자를 구속하지 말 것
C. 환자의 옷을 느슨하게 해준다.
D. 환자에게 먹을 것을 주지 않는다.
그렇지 않다면,
A. 환자의 기도와 호흡을 점검한다.
B. 환자를 옆으로 눕힌다.
C. 호흡이 정상이면 잠을 자게 한다.
2. 머리를 뒤로 젖혀주고, 호흡이 없으면
'심폐소생술'을 참고한다.
3. 환자를 왼쪽으로 눕힌다.(구조대에 알림)
4. 옷을 벗긴다.
* 변화가 있으면 전화하게 한다
보충정보
※ 발작 원인 : 간질, 최근 또는 과거의 머리손상, 두뇌종양, 뇌혈관 색전증, 감염, 고열, 원인 불명
※ 발작 분류: 전신성 - 반복적인 근육 활동 또는 경련
부분성 - 신체의 한 부위 도는 한쪽에 국한된 발작
※ 발작의 처치 :① 손상으로부터 환자 보호
② 옷을 느슨하게 풀어 준다.
③ 환자의 입에 아무것도 넣지 않는다.
④ 발작 후 기도 개방 확인
* 주 : 발작이 끝나고 잠시 후 다시 발작이 시작될 수 있다.
※ 인사불성 상태 원인 : 질병, 손상 (특히 머리), 정서적 흥분 (실신)
환경적 (열/한냉 노출), 중독, 발작, 심장, 호흡 정지
+ 처치 : 인사불성 / 무의식
① 반응을 확인한다.
② 기도 확보 및 유지
③ 필요하면 심폐소생술 시시
④ 숨을 쉬면 환자를 옆으로 돌려 눕힌다.(손상에 의한 환자가 아닐 때)
⑤ 무의식 원인 조사
뇌출혈/뇌경색
중점질문
도착전 조치사항
1. 호흡 곤란이 있는가?
2. 신체부위의 마비증상이 있는가?
3. 말을 분명히 할 수 없는가?
1. 머리를 뒤로 젖혀주고, 호흡이 멈추면
'심폐소생술'을 참고한다.
2. 환자를 마비가 일어난 쪽으로 눕힌다.
먹을 것, 마실 것을 주지말 것.
3. 의사 소통 방법을 찾는다 : 환자는 알아 들으면서도
말을 못한다. 고개를 끄덕 이거나, 눈을 쳐다 보거나,
간단한 움직임 등으로 대답할 수 있게 질문을 한다.
* 변화가 있으면 전화하게 한다.
보충정보
※ 뇌출혈/뇌경색의 원인
①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뇌혈관이 막힌 경우
② 고혈압,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뇌혈관이 터진 경우
③ 신체 다른 부위에서 생긴 핏덩어리가 혈류를 타고 뇌혈관을 막은 경우
※ 뇌출혈/뇌경색 징후 및 증상
① 신체 한쪽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마비
② 의식이 점차 소실
③ 말을 분명히 하지 못한다.
④ 발작
⑤ 음식물을 삼키기 또는 호흡 곤란
⑥ 얼굴 근육 상태의 이완
⑦ 두통
※ 뇌출혈/뇌경색의 처치
① 환자를 마비가 일어난 쪽으로 눕히고
② 기도를 열어 유지시키고
③ 입으로 음식이나 물을 절대 주지 말고
④ 환자를 부드럽고 조심스럽게 다룬다.
손상
중점질문
도착전 조치사항
1. 손상 당한 부위는?
2. 호흡곤란이 있는가?
3. 출혈이 심한가?
4. 쇼크 징후가 있는가? (창백하고 차갑고 촉촉한 피부)
5. 메스꺼움과 구토는 있는가?
6. 골절은 있는가?
1. 머리와 가슴에 손상을 당했으면 - 쇼크 징후(창백하고 차갑고 촉촉한 피부)가 없으면 상체를 일으키게 한다.
2. 턱을 위로 미는 방법 사용, 호흡이 멈추면
'심폐소생술'를 참고한다.
3. 출혈부위를 직접 압박한다.
4. 발과 다리를 높게 올려준다.
5. 척추를 고정시킨 상태로 옆으로 돌려 눕힌다.
6. 환자를 움직이지 말고 발견 당시의 자세로 고정시킨다.
* 변화가 있으면 전화하게 한다.
보충정보
※ 머리손상 :
① 명백한 손상
② 의식이 점차 소실
③ 방향감각의 소실, 불안, 초조, 무기력증이 나타난다.
④ 이전에 의식소실의 병력이 있는지 등을 확인한다.
+ 처치 : 기도를 유지하고 척추를 보호해준다.
※ 복부손상 :
① 명백한 손상을 입었는지
② 복통이 국소적인지 전체적인지
③ 복부가 단단한지 부풀어 올랐는지
④ 쇼zm 징후를 확인한다.
+ 처치: 환자를 눕히고 발과 다리를 높게 올려 준다.
입안을 깨끗이 하고 기도를 유지시켜 준다.
※ 가슴 손상
① 명백한 손상
② 손상당한 부위의 통증
③ 국소통증이 호흡 또는 움직임에 따라 악화 여부
④ 호흡 곤란
⑤ 정상적인 호흡으로는 가슴이 팽창되지 않는지 확인
⑥ 기침을 할 때 피가 나오거나
⑦ 피부에 청색증이 나타나는지 등을 확인한다.
+ 처치: 입안을 깨끗이 하고 기도를 유지시켜 주며, 출혈 부위는 직접 압박하고,
이물질이 박혀있는 경우, 빼지 말아야 한다.
무의식/의식소실 상태
중점질문
도착전 조치사항
1. 호흡곤란이 있는가?
2. 쇼크 징후가 있는가? (창백하고 차갑고 촉촉한 피부)
3. 메스꺼움과 구토는 있는가?
4. 무의식 상태가 계속되는가?
5. 손상, 뇌경색/뇌출혈., 중독, 발작, 자살 등의
특정한 증상이 있는가?
1. 머리를 뒤로 젖혀주고, 호흡이 멈추면
'심폐소생술'을 참고한다.
2. 환자의 발과 다리를 높게 올려 준다.
3. 환자를 옆으로 돌려 눕힌다. 손상을 당한 경우,
척추를 고정시키고 환자를 돌려 눕힌다.
4. 진료경고표(Medic Alert Tag)또는 카드를 점검한다.
* 변화가 생기면 전화하게 한다.
보충정보
※ 의식소실의 원인
질병 - 당뇨병, 머리 손상, 정서적 흥분, 열/한냉 과다 노출, 중독, 발작, 약물/알코올 남용, 물리거나 쏘임
호흡/심장 정지, 뇌출혈/뇌경색, 감전 쇼크, 익사, 스쿠버 다이빙, 감염, 쇼크, 알레르기 반응, 질식(기도폐쇄)
※ 의식 소실시의 조치 :
① 기도를 유지시켜 주고
② 필요하면 심폐소생술을 시행한다.
③ 의식소실의 원인을 찾는다.
④ 손상을 당한 경우는 척수 손상 유무를 확인
⑤ 손상을 당한 것이 아니면 반드시 환자를 옆으로 돌려 눕힌다.
추천자료
영유아 예방접종 대상, 시기, 방법, 이상반응, 금기
신경학적 사정(의식수준, GCS, 동공반응, 근력)
영유아 식품알레르기의 종류와 치료법, 대처방안
약물 알레르기 (Drug Allergy)
알레르기 치료제로 항히스타민제
PD case : 간호사정 사정도구 - NANDA 인간반응양상 중심
[기초간호과학]면역에 관여하는 3가지 세포와 면역계 질환 과민반응(4가지), 양성종양과 악성...
[기초간호과학공통] 면역에 관여하는 3가지 세포 4가지형태 과민반응, 악성종양과 양성종양의...
[의학] 면역 - 특이성, 비특이성 면역반응에 관해서
[Dankook Sports Medicine] 03.손상에 대한 조직 반응.pptx
[기초간호학 공통] 1.면역에 관여 세포, 면역과 관련 4가지 형태 과민반응 특징과 질환 및 발...
[생리학,성인간호학] Chapter2 염증과 면역반응
2017년 기초간호과학] 1.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의 특징적인차이, 염증의 형태적분류와 그 예, ...
스트레스(또는 외상후 스트레스)와 관련된 정신장애와 임상증상에 대해 기술하고, 내가 경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