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Ⅰ. 서 론
Ⅱ. 본 론
1. 청소년 가출의 개념 및 관점
2. 가출의 몇 가지 유형
3. 가출의 원인
4. 청소년 가출 현황
5. 청소년 가출의 실태와 문제점
6. 가출 청소년을 위한 복지서비스
7. 외국의 가출청소년 사회복지서비스 현황
8. 문제분석
Ⅲ. 결 론
1. 향후 방향 제시
2. 끝내면서(조원들의 생각)
Ⅰ. 서 론
Ⅱ. 본 론
1. 청소년 가출의 개념 및 관점
2. 가출의 몇 가지 유형
3. 가출의 원인
4. 청소년 가출 현황
5. 청소년 가출의 실태와 문제점
6. 가출 청소년을 위한 복지서비스
7. 외국의 가출청소년 사회복지서비스 현황
8. 문제분석
Ⅲ. 결 론
1. 향후 방향 제시
2. 끝내면서(조원들의 생각)
본문내용
점이라고 느낀점은 가출 청소년에 대한 우리의 시각과 정의 이다. 문제아라서 가출한 것이 아니다. 무엇인가 표출할 수 없는 것들이 그들 안에 있고, 가까이는 가족이 멀게는 사회가 그들을 밖으로 내몰아버린 장본인이 될 수 도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청소년 때 가출을 하지 않았다고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이 아니다. 성인이 되서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나중에서야 자신 안에 분노를 터뜨리는 경우도 많다. 우리는 그들을 근본적으로 이해하려는 태도가 절실히 필요하다. 가출을 하고 돈이 없기 때문에 비행을 저지르고, 더 나쁘게는 성매매까지 일삼는 우리의 아이들을 그저 문제아 라고만 단정 지을 것인가. 가출부터가 아이들에겐 악순환의 시작이다. 아이들을 근본적으로 이해하려는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모두 다시 생각해 보았으면 좋겠다.
- 청소년 가출은 흡연과 음주, 약물, 성문제, 유흥업소 취업 등 복잡한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에 매우 심각한 사회문제라는 생각이 든다. 이러한 청소년 가출을 예방하고 대책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우리나라의 실정은 매우 미흡한 것 같다. 핵가족화, 맞벌이 부부, 한부모 가정, 생계형 이산가족 등 종래의 가족 구조가 심각할 정도로 붕괴되면서 가정이 청소년들을 보호할 수 있는 1차적인 테두리의 역할을 하기 힘들어졌는데, 이러한 가정의 역기능과 갈등을 치료해주고 보완해줄 수 있는 사회적 대책들이 마련되어서 가출 청소년을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또한 가출 청소년들의 실체를 인정하고 실태를 파악하여 가출한 청소년의 독립적인 삶도 법적으로 보호해줄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가출을 해 본 청소년들이 낙인찍힌 채 차별받지 않고 청소년의 인격 및 재능, 정신적, 신체적 능력을 최대한 발달시킬 수 있는 균등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질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야 재가출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 첨부1. 기관탐방보고서>
< 기관탐방 보고서 >
1. 기관명: ‘작은 새들의 둥지’(서울YMCA 지정)
2. 탐방일시: 06.11.30
3. 기관설명: 가정집으로서 지상 1,2층의 구조를 하고 있음. 아이들이 가정적이고 안정적인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가정집의 형태를 띄고 있음.
4. 질문과 답변 내용
질문1) 쉼터 프로그램의 원하지 않는 친구들은?
답변- 처음에 들어올 때, 입소동의서를 작성할 때, 모든 프로그램을 참여하겠다라는 동의를 받고 들어옵니다. 하지만, 하루쯤 쉬고 싶다는 아이들에게는 쉬도록 하게 하고, 집단생활이기 때문에 왠만하면 모두 다 참여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질문 2) 화요일과 목요일에 외부프로그램이 있는데 주로 어떤 것이 있는가?
답변- 때마다 다른데, 보통, ‘라파엘의 집’이라는 곳에 자원봉사를 나갑니다. 라파엘의 집은 장애아동들의 생활숙소입니다.
또 박물관에 견학을 가거나, 문화체험을 합니다. 오늘은 외부프로그램으로 나가 있는데, 김장담그기를 하러 갔습니다.
질문 3) 쉼터이용자격은?
답변- 단기이용쉼터이기 때문에 별다른 서류심사나 자격은 없습니다. 하지만 중고등학생 가출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질문 4) 일요일은 외출인데 주로 아이들은 무엇을 하나요?
답변- 무엇을 하는지는 모르지만, 주로 친구들을 만나거나, 교회를 다녀옵니다.
또 일요일은 하루 종일 외출이고, 일주일에 2번 정도는 외출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입소하고 일주일동안은 외출이 안 되는데, 그 이유는 아이가 쉼터에 적응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쉼터에 있다가 다시 가출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서 입니다.
질문 5) 거리상담을 나가시는데, 어떠세요?
여의도와 명동에 상담부스를 설치하고, 먹거리와 상담을 하는데 여의도에는 폭주족 아이들이 많고, 명동에는 노숙하는 아이들이 많다고 하십니다. 자원봉사를 원함.
질문 6) 아이들이 가출을 하게 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입니까
답변- 아이들은 보통 이혼이나 재혼등 가정의 해체로 인해 가출을 많이 합니다.
질문 7) 쉼터에 입소하는 아이들의 마음은?
답변- 아이들이 첫 가출 하는 아이들은 무섭기도 하고, 그래서 쉼터를 많이 찾아옵니다. 또 거리노숙은 왠만한 깡으로는 해결이 되지 않는다고. 또 다시 한번 마음을 잡고 싶어서 찾아오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질문 8) 인터넷 사이트에 보면 선생님 이름 옆에 ‘개구리’라는 닉네임이 있던데..
답변.- 아이들에게 더 친숙하게 다가가기 위해 닉네임을 사용하고 있으며, 아이들도 즐겨 부릅니다.
<첨부- 사진자료>
입구의 모습 아이들이 홈알바한 작품이 전시되어 있음.
<<참고 문헌 및 싸이트>>
참고자료
1. 『가출 청소년의 이해』 김향초, 학지사, 1998.
2. 『내일에 사는 아이, 어제에 사는 어른』권이종, 교육과학사
3. 『동숭동의 아이들』 한준상, 연세대학교출판부, 1997.
4. 『청소년 교육론』 권이종 외 5명, 양서원, 1998.
5. 『청소년 문제 어디서 어떻게 지도하나』 한국청소년 개발원, 1993.
6. 『청소년 문제론』, 한국청소년개발원
7. 『청소년법과 행정』 김사현, 1994.
8. 『통계로 본 청소년 문제와 상담』
9. 전남대학교병원 정신과 학술집담회 자료
10. Your Adolescent,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Harper Resource
11. 논문 여성가출청소년의 사회적 지원방안, 남미애,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1999
12. 논문 청소년의 가출요인과 실태에 관한 연구. 임막례,2000
싸이트
1. http://www.unicef.or.kr/ 유니세프
2. http://www.jikimi.or.kr/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
3. http://shelter.ymca.or.kr/ 서울YMCA 청소년쉼터
4. http://www.police.go.kr/ 사이버 경찰청
5. http://www.youthnet.re.kr/ 한국청소년개발원
6. http://youth.news.go.kr/ 국가청소년위원회
7. http://drchoi.pe.kr/runaway.htm
- 청소년 가출은 흡연과 음주, 약물, 성문제, 유흥업소 취업 등 복잡한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에 매우 심각한 사회문제라는 생각이 든다. 이러한 청소년 가출을 예방하고 대책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우리나라의 실정은 매우 미흡한 것 같다. 핵가족화, 맞벌이 부부, 한부모 가정, 생계형 이산가족 등 종래의 가족 구조가 심각할 정도로 붕괴되면서 가정이 청소년들을 보호할 수 있는 1차적인 테두리의 역할을 하기 힘들어졌는데, 이러한 가정의 역기능과 갈등을 치료해주고 보완해줄 수 있는 사회적 대책들이 마련되어서 가출 청소년을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또한 가출 청소년들의 실체를 인정하고 실태를 파악하여 가출한 청소년의 독립적인 삶도 법적으로 보호해줄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가출을 해 본 청소년들이 낙인찍힌 채 차별받지 않고 청소년의 인격 및 재능, 정신적, 신체적 능력을 최대한 발달시킬 수 있는 균등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질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야 재가출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 첨부1. 기관탐방보고서>
< 기관탐방 보고서 >
1. 기관명: ‘작은 새들의 둥지’(서울YMCA 지정)
2. 탐방일시: 06.11.30
3. 기관설명: 가정집으로서 지상 1,2층의 구조를 하고 있음. 아이들이 가정적이고 안정적인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가정집의 형태를 띄고 있음.
4. 질문과 답변 내용
질문1) 쉼터 프로그램의 원하지 않는 친구들은?
답변- 처음에 들어올 때, 입소동의서를 작성할 때, 모든 프로그램을 참여하겠다라는 동의를 받고 들어옵니다. 하지만, 하루쯤 쉬고 싶다는 아이들에게는 쉬도록 하게 하고, 집단생활이기 때문에 왠만하면 모두 다 참여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질문 2) 화요일과 목요일에 외부프로그램이 있는데 주로 어떤 것이 있는가?
답변- 때마다 다른데, 보통, ‘라파엘의 집’이라는 곳에 자원봉사를 나갑니다. 라파엘의 집은 장애아동들의 생활숙소입니다.
또 박물관에 견학을 가거나, 문화체험을 합니다. 오늘은 외부프로그램으로 나가 있는데, 김장담그기를 하러 갔습니다.
질문 3) 쉼터이용자격은?
답변- 단기이용쉼터이기 때문에 별다른 서류심사나 자격은 없습니다. 하지만 중고등학생 가출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질문 4) 일요일은 외출인데 주로 아이들은 무엇을 하나요?
답변- 무엇을 하는지는 모르지만, 주로 친구들을 만나거나, 교회를 다녀옵니다.
또 일요일은 하루 종일 외출이고, 일주일에 2번 정도는 외출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입소하고 일주일동안은 외출이 안 되는데, 그 이유는 아이가 쉼터에 적응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쉼터에 있다가 다시 가출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서 입니다.
질문 5) 거리상담을 나가시는데, 어떠세요?
여의도와 명동에 상담부스를 설치하고, 먹거리와 상담을 하는데 여의도에는 폭주족 아이들이 많고, 명동에는 노숙하는 아이들이 많다고 하십니다. 자원봉사를 원함.
질문 6) 아이들이 가출을 하게 되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입니까
답변- 아이들은 보통 이혼이나 재혼등 가정의 해체로 인해 가출을 많이 합니다.
질문 7) 쉼터에 입소하는 아이들의 마음은?
답변- 아이들이 첫 가출 하는 아이들은 무섭기도 하고, 그래서 쉼터를 많이 찾아옵니다. 또 거리노숙은 왠만한 깡으로는 해결이 되지 않는다고. 또 다시 한번 마음을 잡고 싶어서 찾아오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질문 8) 인터넷 사이트에 보면 선생님 이름 옆에 ‘개구리’라는 닉네임이 있던데..
답변.- 아이들에게 더 친숙하게 다가가기 위해 닉네임을 사용하고 있으며, 아이들도 즐겨 부릅니다.
<첨부- 사진자료>
입구의 모습 아이들이 홈알바한 작품이 전시되어 있음.
<<참고 문헌 및 싸이트>>
참고자료
1. 『가출 청소년의 이해』 김향초, 학지사, 1998.
2. 『내일에 사는 아이, 어제에 사는 어른』권이종, 교육과학사
3. 『동숭동의 아이들』 한준상, 연세대학교출판부, 1997.
4. 『청소년 교육론』 권이종 외 5명, 양서원, 1998.
5. 『청소년 문제 어디서 어떻게 지도하나』 한국청소년 개발원, 1993.
6. 『청소년 문제론』, 한국청소년개발원
7. 『청소년법과 행정』 김사현, 1994.
8. 『통계로 본 청소년 문제와 상담』
9. 전남대학교병원 정신과 학술집담회 자료
10. Your Adolescent,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Harper Resource
11. 논문 여성가출청소년의 사회적 지원방안, 남미애,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1999
12. 논문 청소년의 가출요인과 실태에 관한 연구. 임막례,2000
싸이트
1. http://www.unicef.or.kr/ 유니세프
2. http://www.jikimi.or.kr/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
3. http://shelter.ymca.or.kr/ 서울YMCA 청소년쉼터
4. http://www.police.go.kr/ 사이버 경찰청
5. http://www.youthnet.re.kr/ 한국청소년개발원
6. http://youth.news.go.kr/ 국가청소년위원회
7. http://drchoi.pe.kr/runaway.htm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청소년문제:비행청소년과 가족 복지
청소년비행예방을 위한 멘터링프로그램의 효과
비행청소년 복지
(청소년 비행 문제) 비행청소년의 원인과 문제점 및 대책 방안
(교정복지) 청소년 비행의 실태와 법적문제 및 비행청소년 문제 해결방안
청소년비행이론의 사회학적접근
[청소년지도A+] 비행청소년 상담과 지도사례
[성희롱 예방교육][인터넷중독 예방교육][흡연 예방교육][청소년비행 예방교육][재난 예방교...
비행청소년 가족의 발생요인과 대책방안에 대해 논하시오
청소년비행문제와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전략
청소년비행의 실태와 대책
[불교, 불교와 선종, 불교와 힌두교, 불교와 향가, 불교와 불구, 삼국시대, 청소년비행, 노인...
[교육학개론] 청소년문제 ‘비행청소년’에 관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