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의 세 가지 주요 패러다임, 번스타인, 기능론, 갈등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사회학의 세 가지 주요 패러다임, 번스타인, 기능론, 갈등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아 이 : “싫어요. 내가 좋아하는 그 새 옷을 찾아 입혀주세요.”
어머니 : “얘가 왜 이럴까? 아줌마가 흉보신다. 얘들은 어른들 말씀하실 때 끼어 들면 안돼. 그리고 엄마 말씀을 잘 들어야 착한 아이지.
2. 인성적 통제
⑴ 중산층 가정에서 아동을 훈육하는 방식. 아동의 지위보다는 동기, 의도, 성향 등의 개인적이고, 내재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아동을 훈육하는 방식. 최종적인 선택은 아동의 자발적인 이해와 결정에 달려 있다.
⑵ 정교한 어법과 관계가 있다.
어머니 : “너, 엄가가 엄마 친구랑 이야기하니까, 심심한가보구나. 하지만 엄마 친구가 가실 때까지, 말씀하시는 것을 방해하지 말아야지. 너 혼자 놀든가, 옆집 친구를 데려와서 놀고 있거라.”
아 이 : “저는 엄마랑 놀고 싶어요. 그리고 엄마가 며칠 전에 사주신 새 옷을 입고 싶단 말이예요. 친구랑만 이야기하지 마시고, 이리로 오세요.”
어머니 : “네가 옆집 진희랑 재미있게 놀 때, 엄마가 네게 와서는 급하지도 않은 심부름을 당장 하든지, 아니면 엄마와 동화책 같이 읽자고 하면, 그러고 싶으니?”
아 이 : “아니요. 진희랑 노는 것이 재미있으니까, 심부름은 나중에 했으면 좋겠어요. 동화책도 나중에 읽어 주시면 좋겠구요.
어머니 : “엄마도 오랜만에 엄마 친구와 얘기를 하면 노는 것이 무척 재미있구나. 너도 급한 일만 아니라면, 엄마가 노는 것을 방해하지 않았으면 좋겠는데...”
아 이 : “네 친구분 가신 다음에 새 옷을 입혀주세요.”
※ 번스타인은 언어를 중심으로 문화, 계급, 교육에 접근한다. 그도 교육을 통한 계급 구조의 재생산에 관해 연구했으나 학교 교육에 대해 더 중시했다. 모든 인간은 언어라는 창조적 행위에 접근하는 동일한 방법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다양한 문맥을 사용할 때 선택의 규약을 문화적체계 속에서 받는다. 문화체계 안에서 사용하는 언어만이 언어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게 된다. 이러한 언어의 형식은 또한 각 문화체계 안에서 결정지어 진다. 즉, 부르디어와 마찬가지로 번스타인 역시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언어의 습득 또한 계급구조 안에서 지배계급의 이익이 반영되고 있음을 말한다. 또 계급구조는 직업, 교육, 가정내의 생활경험에 까지도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그래서 번스타인은 어떤 조건에서 주어진 언어의 형식이 그것을 구체화시킨 사회구조로부터 자유로와 질 수 있고 그것을 통하여 실현되는 의미체계가 궁극적인 현실 즉 인간들의 궁극적인 제도를 지향할 수 있는 것인가에 의문을 가졌다. 특히 계급구조는 극소수의 사람들만이 ‘Particularistic’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교육을 받게하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Universalistic’언어를 사용할 수밖에 없도록 교육하였다. 이는 지배 계급의 의도가 피지배 계급에 당연시 받아들여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 번스타인은 집단을 이루고 있는 한사람 한사람은 자기 힘으로 자기의 해석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사가 학생들에게 사회적 편견을 가지고 교육하고 있는지 끊임없이 생각하기를 권하고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4.13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40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