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의 역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태권도의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발등걸이: 발등으로 차기
곧은발질: 발등으로 차기
곁치기: 안으로 옆차기
두 발 당상: 두 발 뛰어 차기 날차기: 손집고 몸을 돌려 따재주 넘으며 발로 상대 얼굴차기
칼잽이: 아금손으로 상대 목치기
이마재기: 상대 이마를 장칼바닥으로 치기
낙함: 장칼바닥으로 상대턱을 치며 미는 것
턱걸이: 장칼바닥으로 상대턱을 치며 미는 것
깍끔다리: 상대의 정강이 후려차기
위의 내용으로 우리는 당시에 행해지던 민속경기로서의 동리간 택견 시합방법과 택견의 기술내용ㅇ르 짐잘할 수 있다. '품''굼실굼실'을 빼 14개 기술 중 차기가 5, 손기술4, 딴지걸고 뒤척걸어 넘기기3, 재주넘으며 차기1. 상대의온몸 넘기기1로서 발기술이 네일 많고 다음은 손기술이 많으며 잡아넘기는 기술이 그 다음이고 특이하게 재주넘으며 차는 기술까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우리는 그것으로 우리 옛 택견의 원형을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같이 택견을 했다는 이유만으로도 일제의 주재소(파출소)에 수차례 불려다니며 감시를 당하는 수모를 겪었으니 자연히 쇠퇴하게 되었다.
4.현재의 태권도
해방과 더불어 민족문화와 전통에 대한 주체적 인식과 정리가 되어김에 따라 옛부터 내려오던 민속경기가 되살아나기 시작했다. 옛부터 '태껸'을 수련하던 분들이 나타났고 그 중 송덕기같은 사람은 전 대통령인 이승만의 생일날 우리의 태권도(태견)시범을 보여 한국 태껸과 가라데의 다른점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또한 광복 이후 전문인들에 의해 태권도장이 개설되었고 그 후 6· 25동란까지 초보적 발전단계를 거치다 6· 25후에 시국의 안정과 더불어 점차로 일반인들에게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점차 수련생이 늘고 도잔간의 교류가 이루어지자 1954년에 명칭을 태권도로 통일하고 그 후 1961년 9월 16일에는 태권도협회의 명칭을 대한 태수도협회로 개칭하였다가 1965년 8월 5일 다시 대한 태권도 협회로 바꾸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1962년 6월 20일 대한체육대회의 경기단체로 대한태권도협회가 가입승인을 받았으며 1963년 10월 24일 제 44회 전국체육대회에는 태권도가 시범종목으로 참가한 후 1964년 9월 3ㅇ리 제 45회 전국체욕대회부터는 정식경기종목이 되었다.
그 당시 체급은 플라이(fly)급 부터 헤비급(heavy)꺼자 7체급의 개인전을 실시하였고 기술의 정도에 따라 중기부(1~2단)와 구기부(3단이상)로 구분하였다.
1966년부터는 대통경기쟁탈 전국단체대항태권도대회가 1968년부터는 주한외국인 개인선수권대회, 1970년부터는 전국국민학교태권도개인선수권대회와 함꼐 여자부 태권도개인선수권대회가 개최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또한 1963년부터 협회의 종별선수권대회에 포함되어 있던 대학부를 1974년부터 대학태권도연맹과 국방체육으로서의 가치를 인정하여 정식수련종목으로 선정하였다. 월남전에 참전한 용사들이 태권도 기술을 응용, 실전에서 적을 제압함으로써 한국 군인과 태권도는 세계적인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발전되어 온 태권도는 점차 그 가치를 인정받아 근래에 이르러 '체력은 국력'이라는 정부의 국민 체력 향상 정책과 체육인구의 저변 확대에 발맞추러 전국적으로 보급되었다. 태권도 기술의 우월성은 물론 심신수련, 인격도야, 체력향상이라는 목적이 높이 평가되어 1971년에는 우리나라의 국기로 지정되었다.
태권도는 국방과 치안을 담당하는 군대와 경찰뿐만 아니라 학업에 전념하는 우리의 학생들까지 실시하는 범국민적 운동으로 발전하여 국내에 200년만의 수련생과 50여만의 유단자를 배출하였고 해외에 수많은 사범을 파견하여 지도하고 있어 민간 외교와 국위 선양에 큰 몫을 하고 있다.
1972년에는 태권도 중앙도장 겸 시합장으로서 국기원을 개원하고 1973년 5월 28일에는 새계태권도연맹을 창설하였고 회원국의 수는 계속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또 1973년에는 제1회 세계선수권대외를 창설하여 매 2년마다 대회를 열고 있다. 또한 1975년에는 태권도가 미국체육회(A.A.U)과 국제경기연맹연합회(G.A.I.S.F)에 1976년에는 국제군인체육회(C.I.S.M)에서도 정식경기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또 1979년에는 세계태권도연맹의 김운용총재가 세계비올림필 종목 연합회의 회장에 선임되었고 1980년에는 세계태권도연맹이 IOC의 정식 승인 단체가 되는 동시 태권도 종목이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1981년 미국 산타클라라에서 개최된 제1회 월드게임에서는 태권도가 9개의 메달을 획득, 한국이 종합 2위를 획득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4.13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40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