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비교군 설정이 필요한 경우
2. 비교군의 종류
3. 비교군이 갖추어야 할 조건 : 비교성
4. 무작위배정 (random allocation, randomization)
2. 비교군의 종류
3. 비교군이 갖추어야 할 조건 : 비교성
4. 무작위배정 (random allocation, randomization)
본문내용
정확률을 조정하여 주는 방법(biased coin method) 등을 들 수 있다. 기존의 임상시험연구의 결과로 특정한 질병에 대한 유의한 예후요인이 알려져 있는 경우에는, 유의성이 큰 예후요인을 선정하여 그 요인에서의 계층을 나눈 다음, 각 계층별로 블럭화 무작위배정법을 시행하는 계층화 무작위배정법 (stratified randomization)을 적용하므로써, 보다 적은 수의 환자로서 타당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 경우에 예후요인의 수는 3개 이내가 적당하며 그 수가 많아질수록 계층의 수가 급격히 늘게 되어 연구수행이 어렵게 되고, 오히려 더 심한 불균형을 초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예후요인을 선정하고, 각 요인별로 세 계층으로 나눈다면 모두 3*3*3*3*=81개의 계층이 생긴다.
추천자료
칼 로저스의 카운슬링의 이론과 실제
알코올 중독에 관한 조사와 논의
운동과 정신건강
주요 우울증
[FTA]한 미 FTA 타결, 앞으로 우리가 나가야 할 방향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한 올리브 잎 분석
Alcohol Dependence Case Study
[사회복지] 사회복지 재정의 재원에 대한 고찰
호텔&외식업체주방의 원가경영관리.ppt
우리나라 역량중심의 인적자원 경영 연구 분석
[사업계획서]고추장 사업계획서
[언어발달검사] 언어학습능력 진단검사(ITPA), 피바디 그림어휘검사(피바디 그림어휘력검사),...
[기업][기업 경영][경영]기업 지식정보공유시스템, 기업 신용위험평가시스템, 기업 전자상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