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8
- 오후반 조별 HPLC를 이용한 올리브 잎 분석결과 -
1조와 2조는 호주산 올리브 잎을 사용하였고 3조와 4조는 스페인산 올리브 잎을 사용하여 oleuropein의 농도 값을 구하였다. 조별 실험결과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 조는 호주산 butanol fr.을 사용하였고 2조는 호주산 ethanol fr.을 사용하였는데 실험결과를 보면 butanol fr., ethanol fr.은 oleuropein의 농도 값에 큰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3조와 4조는 각은 스페인 산이지만 3조는 스페인산 ethyl acetate fr.을 통해 실험결과 값을 얻었고 4조는 스페인산 Butanol fr.을 통해 oleuropein의 농도 값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호주산과는 달리 스페인산은 ethyl acetate fr., butanol fr.에 따라 결과 값이 많은 차이를 보였다. 3조와 4조 결과 값을 비교해 보면 스페인산 Butanol fr. 일 때가 ethyl acetate fr.일 때보다 oleuropein의 농도 값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을 하면서 자꾸 주사기에 기포가 생겨서 그 기포를 없애느라고 몇 번 다시 실험하였다. 그리고 우리 조 실험에서 약간의 오차가 생겼을 텐데 그 오차의 이유는 처음 injection하였을 때 injector를 빨리 닫지 않아서 결과 값이 나오지 않았다. 그래서 다시 injection을 하였다. 이렇게 실험을 하면 두 번의 injection을 하여 실제 농도 보다는 약간 높은 농도 값이 나왔을 것이다. 따라서 1조와 2조의 결과 모두 약간의 차이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실험방법>
1) 표준용액의 조제
Fructose, sucrose의 표준용액을 조제한다. 우리 조는 0.5%의 sucrose 표준용액으로 실험하였다. 1mL 주사기로 0.45㎕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후 via에 담는다. 조제한 표준용액을 주입기에 넣기 전에 주사기를 이동상 용액에 여러 번 깨끗이 씻어주고 우리조가 실험할 때 sucrose 0.5% 표준용액으로도 몇 번 씻어준다. 이것은 크로마토그래피의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이다. 표준용액을 주입기에 주입할 때는 주사기에 기포가 생기지 않게 표준용액을 잘 넣은 다음 주입한다.
2) 시료용액의 조제
조별로 나누어 fructose, sucrose의 함량을 구하는데 우리 조는 fructose를 구한다. 희석하지 않은 시료(코카콜라)를 0.45㎕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후 사용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시료용액을 표준용액 때와 같은 동일조건으로 HPLC를 통해 분석한다. Retention time을 통해 정성분석을 하고 나서 Peak의 area값(적분)을 구하여 정량 분석하여 탄산음료 안에 들어있는 fructose의 함량을 구한다.
결론> 표준용액 제조를 통해 검량곡선의 값이 y=2.78987x - 99568 나왔다.
또한 시료용액을 조제하여 peak area값을 구했는데 그 값은 2.334858이였다.
fructose의 함량을 구하기 위해 y=2.78987x - 99568식에 대입하면
2.334858 = 0.38165x-0.99568
0.38165x = 2.334858 + 0.99568
x = 8.7266815
= 8.73
따라서 fructose의 함량은 약 8.73ppm이 된다.
지금까지는 콜라 속에 sucrose가 많이 들어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이번 실험을 통해 설탕 대신 과당이 들어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fructose와 sucrose의 함량을 측정 할 때 농도에 따라 peak area의 높이와 면적이 달라진 다는 것을 알았다.
다른 실험과의 비교 http://mybox.happycampus.com/sdh821010/296928/?agent_type=naver
이 실험을 하면서 fructose를 구할 때 크로마토그래피의 peak area가 두 개 정도 확실히 나와야 하는데 위의 실험에서는 peak area가 여러 개로 겹쳐서 나왔다고 하였다. 그 이유는 당이 순수하지 않거나 또는 당을 녹여줄 때 용기가 깨끗하지 못하여 그 속에 남아있는 당이 검출되었다고 하였다. 우리가 실험 할 때는 이런 결과는 볼 수 없었는데 위의 실험을 통해 새로운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또한 타 실험과 비교하면서 우리와 다른 실험을 한 위의 실험에서 콜라 속에는 과당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우리가 실험한 올리브 잎 분석 외에도 HPLC 기기분석으로 여러 가지를 분석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고 흔히 접하지만 모르고 먹었던 식품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그 식품 속에 들어있는 성분에 대해 알 수 있었고 그 성분들에 대한 역할 또한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새로운 기기분석 법 중 하나인 HPLC 기기를 사용해서 기기가 계산 해 준 peak area를 통해 실제 농도를 쉽게 구할 수 있다는 과학기술에 놀라웠다.
7. Reference
황훈, 2006, 분석화학의 기본개념, 자유아카데미
김강진 외 2명, 1997, 최신분석화학, 자유아케데미
이형근, 1998, 식분분석법, 형설출판사
박기학, 2004, 기기분석, 서울동화
http://www.refee.com/report/view.html?dno=125907
http://blog.joins.com/media/index.asp?uid=alfh99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11&dir_id=110204&docid=46381
http://www.mecasys.co.kr/kor/file/data/02/anal_liquid.pdf
http://world.hanyang.ac.kr/~englab/M003/D010/M003D011.html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1&dir_id=110204&eid=YtQr7lzHFj+lcUgku+5ciBwQqljTI/FR&qb=SFBMQ8DHILHiseLA5cSh
8. Acknowledgment
한 학기 동안 열심히 실험한 조원들, 수업 해 주신 교수님, 조교님 감사합니다.
- 오후반 조별 HPLC를 이용한 올리브 잎 분석결과 -
1조와 2조는 호주산 올리브 잎을 사용하였고 3조와 4조는 스페인산 올리브 잎을 사용하여 oleuropein의 농도 값을 구하였다. 조별 실험결과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 조는 호주산 butanol fr.을 사용하였고 2조는 호주산 ethanol fr.을 사용하였는데 실험결과를 보면 butanol fr., ethanol fr.은 oleuropein의 농도 값에 큰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3조와 4조는 각은 스페인 산이지만 3조는 스페인산 ethyl acetate fr.을 통해 실험결과 값을 얻었고 4조는 스페인산 Butanol fr.을 통해 oleuropein의 농도 값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호주산과는 달리 스페인산은 ethyl acetate fr., butanol fr.에 따라 결과 값이 많은 차이를 보였다. 3조와 4조 결과 값을 비교해 보면 스페인산 Butanol fr. 일 때가 ethyl acetate fr.일 때보다 oleuropein의 농도 값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을 하면서 자꾸 주사기에 기포가 생겨서 그 기포를 없애느라고 몇 번 다시 실험하였다. 그리고 우리 조 실험에서 약간의 오차가 생겼을 텐데 그 오차의 이유는 처음 injection하였을 때 injector를 빨리 닫지 않아서 결과 값이 나오지 않았다. 그래서 다시 injection을 하였다. 이렇게 실험을 하면 두 번의 injection을 하여 실제 농도 보다는 약간 높은 농도 값이 나왔을 것이다. 따라서 1조와 2조의 결과 모두 약간의 차이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실험방법>
1) 표준용액의 조제
Fructose, sucrose의 표준용액을 조제한다. 우리 조는 0.5%의 sucrose 표준용액으로 실험하였다. 1mL 주사기로 0.45㎕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후 via에 담는다. 조제한 표준용액을 주입기에 넣기 전에 주사기를 이동상 용액에 여러 번 깨끗이 씻어주고 우리조가 실험할 때 sucrose 0.5% 표준용액으로도 몇 번 씻어준다. 이것은 크로마토그래피의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이다. 표준용액을 주입기에 주입할 때는 주사기에 기포가 생기지 않게 표준용액을 잘 넣은 다음 주입한다.
2) 시료용액의 조제
조별로 나누어 fructose, sucrose의 함량을 구하는데 우리 조는 fructose를 구한다. 희석하지 않은 시료(코카콜라)를 0.45㎕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후 사용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시료용액을 표준용액 때와 같은 동일조건으로 HPLC를 통해 분석한다. Retention time을 통해 정성분석을 하고 나서 Peak의 area값(적분)을 구하여 정량 분석하여 탄산음료 안에 들어있는 fructose의 함량을 구한다.
결론> 표준용액 제조를 통해 검량곡선의 값이 y=2.78987x - 99568 나왔다.
또한 시료용액을 조제하여 peak area값을 구했는데 그 값은 2.334858이였다.
fructose의 함량을 구하기 위해 y=2.78987x - 99568식에 대입하면
2.334858 = 0.38165x-0.99568
0.38165x = 2.334858 + 0.99568
x = 8.7266815
= 8.73
따라서 fructose의 함량은 약 8.73ppm이 된다.
지금까지는 콜라 속에 sucrose가 많이 들어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이번 실험을 통해 설탕 대신 과당이 들어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fructose와 sucrose의 함량을 측정 할 때 농도에 따라 peak area의 높이와 면적이 달라진 다는 것을 알았다.
다른 실험과의 비교 http://mybox.happycampus.com/sdh821010/296928/?agent_type=naver
이 실험을 하면서 fructose를 구할 때 크로마토그래피의 peak area가 두 개 정도 확실히 나와야 하는데 위의 실험에서는 peak area가 여러 개로 겹쳐서 나왔다고 하였다. 그 이유는 당이 순수하지 않거나 또는 당을 녹여줄 때 용기가 깨끗하지 못하여 그 속에 남아있는 당이 검출되었다고 하였다. 우리가 실험 할 때는 이런 결과는 볼 수 없었는데 위의 실험을 통해 새로운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또한 타 실험과 비교하면서 우리와 다른 실험을 한 위의 실험에서 콜라 속에는 과당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우리가 실험한 올리브 잎 분석 외에도 HPLC 기기분석으로 여러 가지를 분석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고 흔히 접하지만 모르고 먹었던 식품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그 식품 속에 들어있는 성분에 대해 알 수 있었고 그 성분들에 대한 역할 또한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새로운 기기분석 법 중 하나인 HPLC 기기를 사용해서 기기가 계산 해 준 peak area를 통해 실제 농도를 쉽게 구할 수 있다는 과학기술에 놀라웠다.
7. Reference
황훈, 2006, 분석화학의 기본개념, 자유아카데미
김강진 외 2명, 1997, 최신분석화학, 자유아케데미
이형근, 1998, 식분분석법, 형설출판사
박기학, 2004, 기기분석, 서울동화
http://www.refee.com/report/view.html?dno=125907
http://blog.joins.com/media/index.asp?uid=alfh99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11&dir_id=110204&docid=46381
http://www.mecasys.co.kr/kor/file/data/02/anal_liquid.pdf
http://world.hanyang.ac.kr/~englab/M003/D010/M003D011.html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1&dir_id=110204&eid=YtQr7lzHFj+lcUgku+5ciBwQqljTI/FR&qb=SFBMQ8DHILHiseLA5cSh
8. Acknowledgment
한 학기 동안 열심히 실험한 조원들, 수업 해 주신 교수님, 조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