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심괴물은 누구인가?
2. 강박관념은 무엇인가?
3. 강박관념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4. 쓰리몬스터의 영화적 효과에 대하여
♣ 주제
♣ 전체적인 색채
♣ 촬영
♣ 조명
♣ 의상
♣ 셋트
♣ 편집
♣ 음향과 음악
5. 마지막으로
2. 강박관념은 무엇인가?
3. 강박관념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4. 쓰리몬스터의 영화적 효과에 대하여
♣ 주제
♣ 전체적인 색채
♣ 촬영
♣ 조명
♣ 의상
♣ 셋트
♣ 편집
♣ 음향과 음악
5. 마지막으로
본문내용
하게 흘러나오며 극의 긴장을 고조시키거나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또 피아니스트 아내의 손가락을 테르리스트가 그냥 싹둑 잘라버린다면 감독은 그 장면을 더욱 잔인하게 직접 보여줘야 했겠지만 피아노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아내의 손가락을 피아노 위에 올려놓고 자름으로서 꽝~ 하는 피아노 음만으로도 충분히 효과적으로 손가락이 잘려나가는 상황을 표현해낼 수 있었다.
5. 마지막으로
<쓰리몬스터>를 보고 난 이후 나는 혼란에 빠졌다. 알듯말듯한 줄거리와 연출의 의도는 내가 과연 맞게 이해한 것인지 의문을 갖게 하였다. 그래서 나는 여러 곳에서 자료를 찾아 보려 하였으나 <쓰리몬스터>가 흥행에 성공하지 못한 탓인지 연출기법이나 연출의도에 대한 세밀한 자료는 찾기 힘들었다.
결국 혼돈 속에서 쓰리 몬스터 비디오를 몇 번이고 되감아 보며 쓰기 시작하였는데 신기하게도 레포트가 끝날 무렵이 되니 머릿속이 정리가 되기 시작하는 느낌이다.
나는 사실 표현적 영화보다는 사실주의적 영화를 더 좋아한다. 사실주의 영화가 주는 진실성이 좋고 표현적 영화는 가끔 너무 어렵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박찬욱 감독은 그만의 색깔로 영화를 매우 잘 만들어낸다. 언제나 다양한 촬영과 편집을 보여주며 그가 의도하는 바를 관객에게 매우 강렬하게 보여준다. 그의 영화에서 보여지는 색감 또한 뛰어나며 소품 하나하나 말 하나하나에 깊은 의미가 들어있다는 것도 박찬욱 감독 영화의 묘미이다. 나는 그가 매우 뛰어난 연출가라고 생각하며 그의 그런 오만하리만큼 자유스러움이 좋다. 물론 이번 <쓰리 몬스터>는 조금 속이 매슥거리고 머리가 아픈 느낌이 들지만 말이다.
또 피아니스트 아내의 손가락을 테르리스트가 그냥 싹둑 잘라버린다면 감독은 그 장면을 더욱 잔인하게 직접 보여줘야 했겠지만 피아노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아내의 손가락을 피아노 위에 올려놓고 자름으로서 꽝~ 하는 피아노 음만으로도 충분히 효과적으로 손가락이 잘려나가는 상황을 표현해낼 수 있었다.
5. 마지막으로
<쓰리몬스터>를 보고 난 이후 나는 혼란에 빠졌다. 알듯말듯한 줄거리와 연출의 의도는 내가 과연 맞게 이해한 것인지 의문을 갖게 하였다. 그래서 나는 여러 곳에서 자료를 찾아 보려 하였으나 <쓰리몬스터>가 흥행에 성공하지 못한 탓인지 연출기법이나 연출의도에 대한 세밀한 자료는 찾기 힘들었다.
결국 혼돈 속에서 쓰리 몬스터 비디오를 몇 번이고 되감아 보며 쓰기 시작하였는데 신기하게도 레포트가 끝날 무렵이 되니 머릿속이 정리가 되기 시작하는 느낌이다.
나는 사실 표현적 영화보다는 사실주의적 영화를 더 좋아한다. 사실주의 영화가 주는 진실성이 좋고 표현적 영화는 가끔 너무 어렵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박찬욱 감독은 그만의 색깔로 영화를 매우 잘 만들어낸다. 언제나 다양한 촬영과 편집을 보여주며 그가 의도하는 바를 관객에게 매우 강렬하게 보여준다. 그의 영화에서 보여지는 색감 또한 뛰어나며 소품 하나하나 말 하나하나에 깊은 의미가 들어있다는 것도 박찬욱 감독 영화의 묘미이다. 나는 그가 매우 뛰어난 연출가라고 생각하며 그의 그런 오만하리만큼 자유스러움이 좋다. 물론 이번 <쓰리 몬스터>는 조금 속이 매슥거리고 머리가 아픈 느낌이 들지만 말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