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자신감의 중요성』 3
Ⅰ. 자신감(self-confidence)이란? 3
Ⅱ. 자신감 이론 4
1)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이론 4
2) 유능성(Competency)동기이론 4
3) 스포츠자신감 5
Ⅲ. 자신감 있는 선수의 특징 5
Ⅳ. 자신감의 효과 6
Ⅴ. 자신감의 차원 6
Ⅵ. 최적의 자신감 7
Ⅶ. 자신감은 어디에서 오는가? 8
1) 성공경험(mastery experience) 8
2) 대리경험(vicarious experience) 8
3) 사회적 설득(social persuasion) 9
4) 신체적, 정서적 상태(somatic and emotional state) 9
Ⅷ. 자신감에 관한 일반적인 오해들 9
Ⅸ. 자신감을 얻기 위한 선행조건 9
Ⅹ. 자신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 10
Ⅰ. 자신감(self-confidence)이란? 3
Ⅱ. 자신감 이론 4
1)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이론 4
2) 유능성(Competency)동기이론 4
3) 스포츠자신감 5
Ⅲ. 자신감 있는 선수의 특징 5
Ⅳ. 자신감의 효과 6
Ⅴ. 자신감의 차원 6
Ⅵ. 최적의 자신감 7
Ⅶ. 자신감은 어디에서 오는가? 8
1) 성공경험(mastery experience) 8
2) 대리경험(vicarious experience) 8
3) 사회적 설득(social persuasion) 9
4) 신체적, 정서적 상태(somatic and emotional state) 9
Ⅷ. 자신감에 관한 일반적인 오해들 9
Ⅸ. 자신감을 얻기 위한 선행조건 9
Ⅹ. 자신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 10
본문내용
헌하지만, 그 영향력은 한계가 있다. 그러한 설득은 실현 가능한 범위에 있어야 하며 과장되거나 부풀려지면 안 된다.
4) 신체적, 정서적 상태(somatic and emotional state)
선수는 최상수행을 위해서 신체적, 정서적으로 최상의 컨디션을 만들어야 한다. 선수들은 보통 자신의 스트레스 반응과 긴장을 시합에서 실수를 예고하는 징후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으며, 기분도 선수의 자신감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자신감에 대한 믿음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자극에 대한 스트레스 반응을 줄이고 부정적인 생각과 신체적 상태에 대한 그릇된 판단을 긍정적으로 바꿔야한다(Bandura, 1994).
Ⅷ. 자신감에 관한 일반적인 오해들
① 자신감은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인 것이다.
② 오로지 긍정적 피드백만이 자신감을 높일 수 있다.
③ 성공은 항상 자신감을 높인다.
④ 자신감은 겉으로 나타나는 거만함과 같다.
⑤ 실수는 반드시 자신감을 훼손시킨다.
Ⅸ. 자신감을 얻기 위한 선행조건
① 자기의 생각과 수행의 상호작용을 이해하자.
‘나는 이것을 과거에 많이 해냈다.’라고 생각하면 자신감을 갖게 되고, ‘나는 지 금 이용당하고 있어.’라고 생각하면 분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이 연습은 가치 가 없는 것이야.’라고 생각하면 참을 수 없음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감정은 직 접적으로 운동수행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② 정직한 자기인식을 계발하자.
생각과 감정을 조절하려고 하는 노력은 정직한 자기인식을 요구하는 과정이다. 선수들은 ‘나는 성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방법을 진실로 생각하고 있는가?’라 는 물음에 대하여 자발적으로 정직하게 반문해 보아야 한다.
③ 낙관적으로 해석하는 스타일을 개발하자.
해석 스타일(explanatory style)이란 선수가 자신에게 일어난 일련의 사건들에 대해 좋고 나쁘다는 것을 내적으로 반응하고 설명하는 방식이다.
④ 탁월성을 추구하는 심리학적 원리를 받아들이자.
☞ 시합에서 탁월성을 이루기 위한 심리학적 원리의 일부를 제시한 것.
- 다른 사람들이 성취하지 못했던 위대한 일이라 할지라도 가능하다고 믿어라.
- 매일 매일의 성취와 향상 그리고 노력하는 모습을 신중하고 의도적으로 강조 하라.
- 최고의 친구를 사귀고, 훌륭한 팬을 두어야 하며, 위대한 코치를 모셔야 한 다.
- 시합의 초기단계에서 수행이 잘 되지 않았다면, 그것으로 현재의 좋지 못한 모든 동작을 버렸으며, 앞으로 게임이 더 잘 되기를 기대하는 신호로 받아들 여라. 반면에 수행이 좋았다면, 그것은 좋은 습관이고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 라는 신호로 생각하여라.
Ⅹ. 자신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
Weinberg와 Gould(1995)는 자신감을 발달시키는 방법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
① 성공적인 경기수행
- 성공적인 수행은 자신감을 증가시키고 더욱더 성공적인 행동을 유도한다.
② 자신감 있는 행동
- 자신감 있는 행동은 선수에게 더욱더 자신감을 가지게 한다.
③ 자신감 있는 생각
- 자신감은 자신의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이루어진다.
④ 심상
- 성공적인 수행의 심상은 자신감을 발달시키는 중요한 심리적 기술이다.
⑤ 신체의 상태
- 체력을 강화시키는 것은 자신감을 갖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⑥ 마음의 준비
- 어떠한 일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는 하고자 하는 모든 것에 대하여 가능한 한 성공을 보장하게 하는 자신감을 심어준다.
참고문헌
응용 스포츠 심리학 김민현, 정용락 저 도서출판 홍경
스포츠 심리학 한국스포츠 심리학 편저 도서출판 태근
운동행동과 스포츠 심리학 이강헌 외 3인 대한미디어, 2005
4) 신체적, 정서적 상태(somatic and emotional state)
선수는 최상수행을 위해서 신체적, 정서적으로 최상의 컨디션을 만들어야 한다. 선수들은 보통 자신의 스트레스 반응과 긴장을 시합에서 실수를 예고하는 징후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으며, 기분도 선수의 자신감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자신감에 대한 믿음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자극에 대한 스트레스 반응을 줄이고 부정적인 생각과 신체적 상태에 대한 그릇된 판단을 긍정적으로 바꿔야한다(Bandura, 1994).
Ⅷ. 자신감에 관한 일반적인 오해들
① 자신감은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인 것이다.
② 오로지 긍정적 피드백만이 자신감을 높일 수 있다.
③ 성공은 항상 자신감을 높인다.
④ 자신감은 겉으로 나타나는 거만함과 같다.
⑤ 실수는 반드시 자신감을 훼손시킨다.
Ⅸ. 자신감을 얻기 위한 선행조건
① 자기의 생각과 수행의 상호작용을 이해하자.
‘나는 이것을 과거에 많이 해냈다.’라고 생각하면 자신감을 갖게 되고, ‘나는 지 금 이용당하고 있어.’라고 생각하면 분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이 연습은 가치 가 없는 것이야.’라고 생각하면 참을 수 없음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감정은 직 접적으로 운동수행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② 정직한 자기인식을 계발하자.
생각과 감정을 조절하려고 하는 노력은 정직한 자기인식을 요구하는 과정이다. 선수들은 ‘나는 성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방법을 진실로 생각하고 있는가?’라 는 물음에 대하여 자발적으로 정직하게 반문해 보아야 한다.
③ 낙관적으로 해석하는 스타일을 개발하자.
해석 스타일(explanatory style)이란 선수가 자신에게 일어난 일련의 사건들에 대해 좋고 나쁘다는 것을 내적으로 반응하고 설명하는 방식이다.
④ 탁월성을 추구하는 심리학적 원리를 받아들이자.
☞ 시합에서 탁월성을 이루기 위한 심리학적 원리의 일부를 제시한 것.
- 다른 사람들이 성취하지 못했던 위대한 일이라 할지라도 가능하다고 믿어라.
- 매일 매일의 성취와 향상 그리고 노력하는 모습을 신중하고 의도적으로 강조 하라.
- 최고의 친구를 사귀고, 훌륭한 팬을 두어야 하며, 위대한 코치를 모셔야 한 다.
- 시합의 초기단계에서 수행이 잘 되지 않았다면, 그것으로 현재의 좋지 못한 모든 동작을 버렸으며, 앞으로 게임이 더 잘 되기를 기대하는 신호로 받아들 여라. 반면에 수행이 좋았다면, 그것은 좋은 습관이고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 라는 신호로 생각하여라.
Ⅹ. 자신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
Weinberg와 Gould(1995)는 자신감을 발달시키는 방법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
① 성공적인 경기수행
- 성공적인 수행은 자신감을 증가시키고 더욱더 성공적인 행동을 유도한다.
② 자신감 있는 행동
- 자신감 있는 행동은 선수에게 더욱더 자신감을 가지게 한다.
③ 자신감 있는 생각
- 자신감은 자신의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이루어진다.
④ 심상
- 성공적인 수행의 심상은 자신감을 발달시키는 중요한 심리적 기술이다.
⑤ 신체의 상태
- 체력을 강화시키는 것은 자신감을 갖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⑥ 마음의 준비
- 어떠한 일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는 하고자 하는 모든 것에 대하여 가능한 한 성공을 보장하게 하는 자신감을 심어준다.
참고문헌
응용 스포츠 심리학
스포츠 심리학
운동행동과 스포츠 심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