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사회적 의무로서의 솔리다리테(연대의식)
Ⅱ. 연대주의의 연혁과 레옹 부르주아지
Ⅲ.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지식인의 참여
Ⅳ. 사회보장제도로 알아본 연대의식
Ⅱ. 연대주의의 연혁과 레옹 부르주아지
Ⅲ.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지식인의 참여
Ⅳ. 사회보장제도로 알아본 연대의식
본문내용
주목할 만하다.
2003년 초에 제시된 라파랭 총리의 개혁안에 대해 물론 프랑스 노조는 강력한 반대 의사를 표명하고, 5월 중순부터 파업과 시위를 주도해왔다. 그러나 더욱 완고해지는 정부의 원칙 고수와 대중교통 대란에 격분한 여론에 밀리면서 조합원의 파업 참가율은 점점 떨어졌다. 그러자 정부는 노조 대표와의 협상이 끝났다고 선언했고, 결국 이 개혁안은 7월 26일 국회를 통과했다.
이러한 현상을 두고 우리는 프랑스의 연대의식이 퇴조하고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을까? 사실 프랑스 국민은 연금 기금 적자라는 피할 수 없는 현실에 직면해 개혁이 불가피하다는 사실을 어느 정도 납득하면서도, 프랑스 사회를 지탱해온 중요한 가치들 중의 하나인 연대의식이 위협받을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금치 못하는 듯하다. 프랑스 노동연대 사회복지부장관인 프랑수아 피용은 이러한 우려를 의식하고 “자본주의가 우리의 분배 체제를 무너뜨릴 위험은 조금도 없다”고 말하면서, 오히려 그간 불평등하게 적용되어 온 제도상의 결점을 보완해야만 모두가 더 평등하게 복지 보장을 받을 수 있다고 국민을 설득하고 있다.
개혁안을 반대하는 쪽이든 찬성하는 쪽이든 그들이 한결같이 내세우는 것은 공생의 길, 연대의식의 구현이기는 하다. 전 세계가 처해 있는 자본주의 발전의 새 국면에서 우리는, 신자유주의가 내포하고 있는 치유 불가능한 병폐들로부터 최대한 연대의식을 지켜나가겠다는 프랑스 정부의 의지를 여전히 확인할 수 있을까? 공화국 정신에 기반한 연대의식을 바탕으로 사회문제의 해법을 찾아내려 노력해 온 프랑스 정부가 앞으로 어떤 대안을 제시할지 주목해볼만하다.
2003년 초에 제시된 라파랭 총리의 개혁안에 대해 물론 프랑스 노조는 강력한 반대 의사를 표명하고, 5월 중순부터 파업과 시위를 주도해왔다. 그러나 더욱 완고해지는 정부의 원칙 고수와 대중교통 대란에 격분한 여론에 밀리면서 조합원의 파업 참가율은 점점 떨어졌다. 그러자 정부는 노조 대표와의 협상이 끝났다고 선언했고, 결국 이 개혁안은 7월 26일 국회를 통과했다.
이러한 현상을 두고 우리는 프랑스의 연대의식이 퇴조하고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을까? 사실 프랑스 국민은 연금 기금 적자라는 피할 수 없는 현실에 직면해 개혁이 불가피하다는 사실을 어느 정도 납득하면서도, 프랑스 사회를 지탱해온 중요한 가치들 중의 하나인 연대의식이 위협받을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금치 못하는 듯하다. 프랑스 노동연대 사회복지부장관인 프랑수아 피용은 이러한 우려를 의식하고 “자본주의가 우리의 분배 체제를 무너뜨릴 위험은 조금도 없다”고 말하면서, 오히려 그간 불평등하게 적용되어 온 제도상의 결점을 보완해야만 모두가 더 평등하게 복지 보장을 받을 수 있다고 국민을 설득하고 있다.
개혁안을 반대하는 쪽이든 찬성하는 쪽이든 그들이 한결같이 내세우는 것은 공생의 길, 연대의식의 구현이기는 하다. 전 세계가 처해 있는 자본주의 발전의 새 국면에서 우리는, 신자유주의가 내포하고 있는 치유 불가능한 병폐들로부터 최대한 연대의식을 지켜나가겠다는 프랑스 정부의 의지를 여전히 확인할 수 있을까? 공화국 정신에 기반한 연대의식을 바탕으로 사회문제의 해법을 찾아내려 노력해 온 프랑스 정부가 앞으로 어떤 대안을 제시할지 주목해볼만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