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향상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책 선택
혼자 독서하기 보다 독서회등을 통해 책선정, 발표, 토론 함
Ⅲ. 생활지도와 상담
1. 생활지도
1) 생활지도의 의의
① 학생이 대상
② 학생의 자율성과 책임 강조
③ 처벌이 아닌 지도 노력
④ 치료보다는 예방적
⑤ 심리학적이고 과학적인 기초위에서 이루어짐
⑥ 인지적 학습보다 정의적 학습에 더 역점
2) 생활지도의 필요성
①전통적인 교육관 → 아동중의 전인적 존재로서의 인간성 교육
②19c 이후 급속한 발달 →직업, 생활의 전환이 요구
③지식의 양적 증가 → 학습자의 개별적 성 고려, 능력 소질 발휘
④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진출 → 정체기 아동들이 직면한 문제 해결
3) 생활지도의 목표
① 아동의 능력과 소질을 발견, 신체적·지적·정서적·사회적으로 조화로운 삶을 누려 사회에 공헌 할 수 있게 한다.
② 아동을 정확히 이해한 전문가와 교사, 학교, 학부모, 지역사회가 서로 연계하여 교육계획 수립에 도움을 준다.
4) 생활지도 활동
(1) 학생조사활동 - 가정환경, 학교생활기록, 지능, 인성, 흥미, 학교내외의 활동, 장래희망 등 조사.
(2) 정보수집 및 제공활동 - 아동의 장래계획 수립에 필요한 주위환경 조건 및 이해, 평가, 정보제공
(3) 상담활동 - 직접적인 생활지도 활동
(4) 정치활동 - 진로를 정확히 이해, 능력과 흥미에 맞는 분야찾기에 도움
(5) 추후지도활동 - 지도 수행후 계속적인 상태 살피기
(6) 특수아동에 대한 지도
(7) 교육연구 및 교직원의 협의활동 - 교직원들의 분담 업무
(8) 학부모 및 지역사회와의 유대강화 - 기회제공 (정보 제공)
2. 상담
1) 상담의 의의
-자신과 환경을 이해하여 발전적인 수준으로 나아가도록 돕는 과정
2) 상담관계 성립조건 -인간적인 신뢰감 형성
①우호적인 분위기
②허용적인 자세
③서로 상대에 대한 공감
④상호 의사소통을 보다 명료하게 수행
⑤초기 단계의 신뢰감을 계속 유지.
3) 상담접근방법
(1) 개인상담
가. 의사결정적 상담 - 장래, 진학, 교육문제 (정보결핍시)
나. 자아이론적 상담 -정화와 명료화로 스스로 통찰력을 높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방법.
다. 정신분석적 상담 - 자유연상, 꿈의 분석, 전이와 같은 기술 이용
라. 학습이론적 상담 - 행동장애치료에 효과적, 공포 극복에 활용
(2) 집단상담
가. 가족상담 - 가족구성원들 사이의 갈등 상담
나. 집단상담 - 유사한 문제의 피상담자들로 구성된 상담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책 선택
혼자 독서하기 보다 독서회등을 통해 책선정, 발표, 토론 함
Ⅲ. 생활지도와 상담
1. 생활지도
1) 생활지도의 의의
① 학생이 대상
② 학생의 자율성과 책임 강조
③ 처벌이 아닌 지도 노력
④ 치료보다는 예방적
⑤ 심리학적이고 과학적인 기초위에서 이루어짐
⑥ 인지적 학습보다 정의적 학습에 더 역점
2) 생활지도의 필요성
①전통적인 교육관 → 아동중의 전인적 존재로서의 인간성 교육
②19c 이후 급속한 발달 →직업, 생활의 전환이 요구
③지식의 양적 증가 → 학습자의 개별적 성 고려, 능력 소질 발휘
④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진출 → 정체기 아동들이 직면한 문제 해결
3) 생활지도의 목표
① 아동의 능력과 소질을 발견, 신체적·지적·정서적·사회적으로 조화로운 삶을 누려 사회에 공헌 할 수 있게 한다.
② 아동을 정확히 이해한 전문가와 교사, 학교, 학부모, 지역사회가 서로 연계하여 교육계획 수립에 도움을 준다.
4) 생활지도 활동
(1) 학생조사활동 - 가정환경, 학교생활기록, 지능, 인성, 흥미, 학교내외의 활동, 장래희망 등 조사.
(2) 정보수집 및 제공활동 - 아동의 장래계획 수립에 필요한 주위환경 조건 및 이해, 평가, 정보제공
(3) 상담활동 - 직접적인 생활지도 활동
(4) 정치활동 - 진로를 정확히 이해, 능력과 흥미에 맞는 분야찾기에 도움
(5) 추후지도활동 - 지도 수행후 계속적인 상태 살피기
(6) 특수아동에 대한 지도
(7) 교육연구 및 교직원의 협의활동 - 교직원들의 분담 업무
(8) 학부모 및 지역사회와의 유대강화 - 기회제공 (정보 제공)
2. 상담
1) 상담의 의의
-자신과 환경을 이해하여 발전적인 수준으로 나아가도록 돕는 과정
2) 상담관계 성립조건 -인간적인 신뢰감 형성
①우호적인 분위기
②허용적인 자세
③서로 상대에 대한 공감
④상호 의사소통을 보다 명료하게 수행
⑤초기 단계의 신뢰감을 계속 유지.
3) 상담접근방법
(1) 개인상담
가. 의사결정적 상담 - 장래, 진학, 교육문제 (정보결핍시)
나. 자아이론적 상담 -정화와 명료화로 스스로 통찰력을 높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방법.
다. 정신분석적 상담 - 자유연상, 꿈의 분석, 전이와 같은 기술 이용
라. 학습이론적 상담 - 행동장애치료에 효과적, 공포 극복에 활용
(2) 집단상담
가. 가족상담 - 가족구성원들 사이의 갈등 상담
나. 집단상담 - 유사한 문제의 피상담자들로 구성된 상담
추천자료
[심리치료와 상담] 해결중심 가족치료 - 스티브드 쉐이저(Steve de Shazer)와 킴 버그(김인수...
[심리치료와 상담] 인간중심치료(person-centered therapy)의 실제(치료의 진행과정과 역할)...
[심리치료와 상담] 게슈탈트(Gestalt) 치료 이론의 치료목표와 치료원리 및 치료기제와 치료기법
[심리치료와 상담] 인간중심치료이론(Person-centered therapy)의 치료목표와 치료원리 및 치...
[심리치료와 상담] REBT(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의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이론 - ...
[심리치료와 상담] 인지치료 이론 cognitive therapy (치료목표, 치료원리, 치료기법)
[심리치료와 상담] Minuchin(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Structural Family Therapy) - 살바...
[심리치료와 상담] 현실치료(reality therapy)의 실제(치료적 환경 조성하기, 내담자의 행동 ...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한 현대적인 접근들(자아심리, 대상관계...
[기독교와 심리치료] 융 치료에 대한 기독교적 평가 - 철학적 전제, 성격모델, 건강모델, 이...
[기독교와 심리치료] 아들러치료에 대한 기독교적 평가(철학적 전제, 성격모델, 건강모델, 이...
[기독교와 심리치료] 실존주의치료에 대한 기독교적 평가(철학적 전제, 성격모델, 이상모델, ...
[기독교와 심리치료] 게슈탈트치료에 대한 기독교적 평가(철학적 전제, 성격모델, 건강모델, ...
[기독교와 심리치료] 인지행동치료에 대한 기독교적 평가(철학적 전제, 성격모델, 건강모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