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스티브드 쉐이저와 킴 버그(김인수)
2.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주요내용
3.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목표와 기법
1)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목표
2) 해결중심치료의 기법
(1) 기적 질문
(2) 평가 질문
(3) 예외 발견 질문
(4) 대처 질문
(5) 문제를 다루지 않는 대화
(6) 자원
3) 해결중심치료의 단계와 활용
참고문헌
2.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주요내용
3.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목표와 기법
1)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목표
2) 해결중심치료의 기법
(1) 기적 질문
(2) 평가 질문
(3) 예외 발견 질문
(4) 대처 질문
(5) 문제를 다루지 않는 대화
(6) 자원
3) 해결중심치료의 단계와 활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야기한다. 문제와 관련성이 없는 이러한 삶의 영역을 탐색하면서 내담자의 다양한 강점과 자원을 발견하여 해결책 마련에 활용할 뿐만 아니라 내담자를 편안하게 만들고 라포를 형성할 수 있다.
(6) 자원
자원(resources)은 해결중심치료의 핵심적 개념으로서 내담자가 지니고 있는 기술,능력, 성격강점,인간관계, 사회적 지지원 등을 포함한다. 해결중심치료는 내담자가 자신의 자원을 인식하고 주목하여 자신의 더 나은 삶을 만드는 데 활용하도록 돕는다. 자원을 활용하여 내담자가 유능한 사람으로 자신을 기술하는 이야기(narrative)를 만들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내담자가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방법을 발견하도록 돕는다. 자원은 기술,강점,자질,신념과 같은 내적인 자원과 배우자,가족,종교집단과 같은 외적인 자원으로 구분될 수 있다.
3) 해결중심치료의 단계와 활용
해결중심치료는 매 희기마다 다음과 같은 다섯 단계로 구성된다. 1단계는 문제기술의 단계로서 "내가 당신을 위해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통해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문제를 기술할 기회를 준다. 2단계는 목표 형성의 단계로서 "만약 당신의 문제가 해결되었다면 당신의 삶이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라는 질문을 통해서 내담자와 함께 목표를 구체화한다. 3단계는 예외 탐색의 단계로서 내담자에게 문제가 일어나지 않거나 문제가 덜 심각한 경우에 그의 삶이 어떨 것인가를 묻고 무엇이 그러한 예외를 일어나게 할 수 있는지 묻는다. 4단계는 회기종결의 단계로서 내담자에게 면담의 요약과 피드백을 전해주며 격려하고 원하는 미래를 위해 다음 회기 이전에 내담자가 할 수 있는 해결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5단계는 내담자의 향상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로서 치료자와 내담자는 함께 평정척도를 시용하여 내담자가 만족스러운 해결을 달성한 정도를 평가한다. 해결중심치료자는 단기치료를 지향하며 매 회기가 마지막이자 유일한 희기인 것처럼 면담을 진행한다. 해결중심치료는 특히 알코올이나 약물에 대한 중독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이며 다양한 장면에서 활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천성문 저,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5
천성문, 김진숙 외 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개념 및 사례, CengageLearning 2013
Gerald Corey 저,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CENGAGELEARNING 2013
현정환 저, 상담심리학(상담이론 실제 연습), 양서원 2013
(6) 자원
자원(resources)은 해결중심치료의 핵심적 개념으로서 내담자가 지니고 있는 기술,능력, 성격강점,인간관계, 사회적 지지원 등을 포함한다. 해결중심치료는 내담자가 자신의 자원을 인식하고 주목하여 자신의 더 나은 삶을 만드는 데 활용하도록 돕는다. 자원을 활용하여 내담자가 유능한 사람으로 자신을 기술하는 이야기(narrative)를 만들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내담자가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방법을 발견하도록 돕는다. 자원은 기술,강점,자질,신념과 같은 내적인 자원과 배우자,가족,종교집단과 같은 외적인 자원으로 구분될 수 있다.
3) 해결중심치료의 단계와 활용
해결중심치료는 매 희기마다 다음과 같은 다섯 단계로 구성된다. 1단계는 문제기술의 단계로서 "내가 당신을 위해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통해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문제를 기술할 기회를 준다. 2단계는 목표 형성의 단계로서 "만약 당신의 문제가 해결되었다면 당신의 삶이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라는 질문을 통해서 내담자와 함께 목표를 구체화한다. 3단계는 예외 탐색의 단계로서 내담자에게 문제가 일어나지 않거나 문제가 덜 심각한 경우에 그의 삶이 어떨 것인가를 묻고 무엇이 그러한 예외를 일어나게 할 수 있는지 묻는다. 4단계는 회기종결의 단계로서 내담자에게 면담의 요약과 피드백을 전해주며 격려하고 원하는 미래를 위해 다음 회기 이전에 내담자가 할 수 있는 해결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5단계는 내담자의 향상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로서 치료자와 내담자는 함께 평정척도를 시용하여 내담자가 만족스러운 해결을 달성한 정도를 평가한다. 해결중심치료자는 단기치료를 지향하며 매 회기가 마지막이자 유일한 희기인 것처럼 면담을 진행한다. 해결중심치료는 특히 알코올이나 약물에 대한 중독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이며 다양한 장면에서 활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천성문 저,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5
천성문, 김진숙 외 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개념 및 사례, CengageLearning 2013
Gerald Corey 저,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CENGAGELEARNING 2013
현정환 저, 상담심리학(상담이론 실제 연습), 양서원 2013
추천자료
상담의 개념 고찰을 통한 상담과 심리치료가 나아갈 길
Alfred Adler 상담 및 심리치료
상담 및 심리치료의 이해
도벽증세 미술심리치료 상담사례
상담과 심리치료 - 수업내용중 관심있는 분야에 대한 개인적인 소감과 정리
상담과 심리치료
[심리치료와 상담] 아들러(Alfred Adler)의 정신병리에 대한 관점과 이해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인지적 행동수정의 이해 및 행동치료의 실제(가상대화록)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CBT에 대한 성경적 관점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행동치료법에 대한 성경적 관점에서의 장점과 약점
[상담과 심리치료] 임상적 실제 안에서의 기독교 신앙 및 암시적 통합과 명시적 통합)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인간중심치료의 인간관과 주요 이론적 개념 및 치료적 과정과 관계
상담의 정의(생활지도, 상담, 심리치료)
[심리치료와 상담기법] 정신분석적 치료 및 상담 행동치료와 상담 인본주의적 치료와 상담(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