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변동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기변동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경기변동의 국면과 특성
1) 경기변동
2) 경기변동의 특성

2. 경기변동의 유형

3. 경기판단지표
1) 경기종합지수
2) 경기동향지수
3) 기업실사지수

4. 경기변동이론
1) 고전적 경기변동이론
2) 케인즈학파의 경기변동이론
3) 현대적 경기변동이론
4) 기타의 경기변동이론

본문내용

재의 노동공급 증가 → 총공급 증가
a. 총공급(AS)곡선은 우상향한다. → 단기 총공급곡선으로 이해
b. 작용 경로 : 현재와 미래의 시점간 노동의 대체
ㄴ) 총수요(AD) : 이자율 상승 → 소비투자 감소 → 총수요 감소
∴ 총수요(AD)곡선은 우하향한다.
ㄷ) 물가(P) : 총수요(AD)와 총공급(AS)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가 아니다.
이자율(r)
AS(단기의 총공급곡선)
r0
AD
O
Y0
국민소득(Y)
<그림-3>
다) 기술충격 :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 등 → 노동자본생산성 향상 → 노동자본수요증가, 총공급증가 → 총공급곡선의 우측이동 (→ 이자율 하락 → 총수요증가)
ㄱ) AD곡선의 우측이동 → 투자증가에 의한 자본생산성 하락
ㄴ) 기술진보에 의한 자본생산성 향상효과 < 투자증가에 의한 자본생산성 하락효과 → 이자율 상승 → 현재의 노공공급증가 → 고용증가, 실질임금 상승
ㄷ) 실질임금 상승 이유 : 기술충격에 의한 노동생산성향상에 의한 임금상승 효과 > 노동공급증가에 의한 임금하락 효과
4) 경기변동에 대한 정책처방
가) 금융정책 : 금융정책은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무효하다. → 화폐공급을 증가시키면 기업은 가격을 비례적으로 상승시키기 때문이다.(화폐의 중립성)
나) 재정정책 :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다. → 정부지출은 자원을 민간소비로부터 정부로 이전시키기 때문이다.
ㄱ) 완전고용을 가정하므로, 재정정책이 실질실업률에 대해서는 효과를 갖지 못한다.
ㄴ) 재정지출만이 중요하며, 재정적자는 금융정책과 같이 무효하다. : 정부가 재정적자를 차입하는 경우, 납세자는 최종적으로 자신들이 부담해야 할 것을 인식하고, 일정 금액을 저축하므로 재정적자는 무효하다. → 케인즈는 재정적자가 경제를 자극한다고 보았다.
3. 새케인즈학파의 경기변동이론
1) 특징 : 전통적인 경기변동이론과 실물경기변동이론의 중간적인 입장 → 경제에는 외생적이며, 예측할 수 없는 충격을 증폭하고 큰 변동으로 변환시키는 과정과 초기의 교란을 제거해도 그 효과를 지속시키는 힘이 존재한다. → 교란의 요인은 외생적이지만, 변동을 충족하거나 교란의 효과를 지속시키는 내생적인 메카니즘이 있다.
2) 경기변동의 요인 : 공급측면의 교란과 화폐적 교란 모두 → 경제는 완전고용이 유지되고, 시장경제가 외생적 충격을 흡수하지 못한다고 생각했다.
3) 외생적 충격에 의한 경기변동의 장단기효과
가) 단기효과(증폭효과)
ㄱ) 경제에 대한 부(-)의 충격으로 기업의 판매량이 감소하는 경우 : 투자는 그 이상으로 감소 → 승수과정을 통해 국민소득을 더 크게 감소시킨다.
ㄴ) 경제에 대한 정(+)의 충격으로 수출수요가 증가하는 경우 : 기업의 이윤 증가 → 투자 증대 → 국민소득 증가 등 경제를 더욱 자극하게 된다.
나) 장기효과(지속효과)의 요인
ㄱ) 실직상태에 있던 노동자들 : 경험이나 직능상의 기능을 오랫동안 활용하지 못했으므로, 그들이 다시 취업할 경우 생산성이 떨어진다.
ㄴ) 경기후퇴 기간 중에는 기업의 기계나 공장에 대한 투자가 감소하며, 연구개발 투자도 감소하기 때문이다.
< 경기변동에 대한 각 학파의 견해 비교 >
학 파
변동의 규칙성
변동의 원인
전통적 경기변동론
경기변동은 규칙적예측가능
내생적인 힘으로부터 발생한다
통화주의새고전파
경기변동은 대개 불규칙적이며 예측불가능
금융정책의 변화로 인한 총수요에 대한 충격
실물경기변동이론
공급측에 대한 외생적 측면, 기술변화
새케인즈학파
총수요총공급 양측에서의 외생적 충격 → 경제내부구조를 통해 증폭지속된다.
4) 기타의 경기변동이론
1. 정치적 경기변동이론(W.Nordhaus) : 정치인들이 자신의 입지를 유지하기 위해 선거에 임박해서 확대정책(통화량 증대, 정부지출 증대, 조세삭감)을 실시하고, 선거가 끝난 후 과열된 경기를 진정시키기 위해 긴축재정을 실시함으로써 경기변동이 야기된다.
2. 불균형 경기변동이론(Minsky) : 투자와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에서 경기변동의 원인을 찾는다. → 불안정한 이윤기대가 투자를 유발하고, 이에 따라 화폐공급이 증가되고 경기가 팽창한다. 그러나 경기의 팽창은 장기적으로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을 초래하여 불황을 야기한다.
3. 불규칙충격이론(R.Friesch)
1) 가정 : 투자는 소득과 소비의 시간적 변동률의 함수이다. → 경제는 사무엘슨의 감쇠진동형, 국민소득은 정상상태에 머물지 않고 계속적으로 경기변동을 반복한다.
2) 경기변동의 요인 : 기술혁신, 정치적 변혁, 국제적 원자재 파동, 전쟁 등의 불규칙한 충격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5.02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76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