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FTA 의 정의
한국의 FTA 체결현황
한미 FTA의 문제점
해결방안
한국의 FTA 체결현황
한미 FTA의 문제점
해결방안
본문내용
FTA 반대담론
목차
FTA 의 정의
한국의 FTA 체결현황
한미 FTA의 문제점
해결방안
FTA란?
한국의 FTA 체결현황
-체결된 FTA : 한국-칠레 FTA
한국-싱가폴 FTA, 한-EFTA
-협상중인 FTA : 한-일 FTA, 한-멕시코
한-아세안, 한-미, 한- 중-일
FTA
한미 FTA 체결현황
한국-칠레 FTA
: 농산물을 포함한 상품 양허권과 시장접근, 원산지 규정, 투자 및 서비스, 무역규법, 지적 재산권 등의 포괄적 분야에 합의
-한미 FTA
: 상품무역, 농산물, 섬유, 투자 및 서비스, 무역규제, 의약품, 노동 등의 분야에 대해 협상중.
현재 4차 본 협상까지 진행되었고 올해 12월 5차 협상이 진행됨.
한미 FTA 반대담론
FTA 대세론
-FTA는 세계적 대세, 한국은 지각생?
-미국형 FTA는 상품뿐만 아니라, 자국이 초강세를 보이는 상품분야에서의 농산품, 서비스 산업, 투자, 지적 재산권을 매우 강조
-결국 FTA 체결유무 보다 세부조건이 문제
한미 FTA 반대담론
시장선점론
-멕시코 살리나스 정권도 FTA 추진 근거로 시장선점론을
내세움
-현재 대미수출 주도품목 : 자동차, IT
-한국 주력품목에 대한 미국의 관세 : 자동차 2.5%, 반도체
0%, 전자제품 2% 조건에서 시장선점의 효과 기대하기
어려움
한미 FTA 반대담론
서비스 경쟁력 강화론
-새로운 성장동력인 서비스 최대국과 경쟁
-한미 교역에 있어서 서비스산업은 대표적 적자산업, 적자폭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
-IMF의 예
한미 FTA 반대담론
경제동맹론(중국위협론)
-미국식 중국위협론은 미국의 국익=우리의 국익이라는 사고
의 반복
-중국은 한국 최대의 투자국이자 교역대상국
-북중관계의 고착
한미 FTA 반대담론
양극화 해소론
-흘러넘치는 컵의 물을 받아마시자.
-신자유주의를 통한 신자유주의의 치유?
-대미 경쟁력이 ½도 안되는 상태에서 경쟁력 강화?
경쟁탈락자들은 양극화의 하부계층으로 편입
한미 FTA 반대담론
제도선진화론
-교역뿐만 아니라, 법과 제도의 선진화
-사실상의 미국화(AMERICA STANDARD)
-스크린쿼터의 예
한미 FTA 반대담론
소비자 이익론
-미국쌀 : 한국가격의 1/5, 쇠고기 : 1/3~1/2
-국내 농업피해는 결국은 국민 전체의 조세 부담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음
-광우병 문제
한미 FTA 대안
ㅇ선택적 개방의 필요성
-경제주권을 지키기 위함
-내부 경쟁력과 제도를 완비하자
-세계적인 빈부격차 가속화의 위험
-자유주의가 가진 한계의 위험성
한미 FTA 반대
목차
FTA 의 정의
한국의 FTA 체결현황
한미 FTA의 문제점
해결방안
FTA란?
한국의 FTA 체결현황
-체결된 FTA : 한국-칠레 FTA
한국-싱가폴 FTA, 한-EFTA
-협상중인 FTA : 한-일 FTA, 한-멕시코
한-아세안, 한-미, 한- 중-일
FTA
한미 FTA 체결현황
한국-칠레 FTA
: 농산물을 포함한 상품 양허권과 시장접근, 원산지 규정, 투자 및 서비스, 무역규법, 지적 재산권 등의 포괄적 분야에 합의
-한미 FTA
: 상품무역, 농산물, 섬유, 투자 및 서비스, 무역규제, 의약품, 노동 등의 분야에 대해 협상중.
현재 4차 본 협상까지 진행되었고 올해 12월 5차 협상이 진행됨.
한미 FTA 반대담론
FTA 대세론
-FTA는 세계적 대세, 한국은 지각생?
-미국형 FTA는 상품뿐만 아니라, 자국이 초강세를 보이는 상품분야에서의 농산품, 서비스 산업, 투자, 지적 재산권을 매우 강조
-결국 FTA 체결유무 보다 세부조건이 문제
한미 FTA 반대담론
시장선점론
-멕시코 살리나스 정권도 FTA 추진 근거로 시장선점론을
내세움
-현재 대미수출 주도품목 : 자동차, IT
-한국 주력품목에 대한 미국의 관세 : 자동차 2.5%, 반도체
0%, 전자제품 2% 조건에서 시장선점의 효과 기대하기
어려움
한미 FTA 반대담론
서비스 경쟁력 강화론
-새로운 성장동력인 서비스 최대국과 경쟁
-한미 교역에 있어서 서비스산업은 대표적 적자산업, 적자폭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
-IMF의 예
한미 FTA 반대담론
경제동맹론(중국위협론)
-미국식 중국위협론은 미국의 국익=우리의 국익이라는 사고
의 반복
-중국은 한국 최대의 투자국이자 교역대상국
-북중관계의 고착
한미 FTA 반대담론
양극화 해소론
-흘러넘치는 컵의 물을 받아마시자.
-신자유주의를 통한 신자유주의의 치유?
-대미 경쟁력이 ½도 안되는 상태에서 경쟁력 강화?
경쟁탈락자들은 양극화의 하부계층으로 편입
한미 FTA 반대담론
제도선진화론
-교역뿐만 아니라, 법과 제도의 선진화
-사실상의 미국화(AMERICA STANDARD)
-스크린쿼터의 예
한미 FTA 반대담론
소비자 이익론
-미국쌀 : 한국가격의 1/5, 쇠고기 : 1/3~1/2
-국내 농업피해는 결국은 국민 전체의 조세 부담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음
-광우병 문제
한미 FTA 대안
ㅇ선택적 개방의 필요성
-경제주권을 지키기 위함
-내부 경쟁력과 제도를 완비하자
-세계적인 빈부격차 가속화의 위험
-자유주의가 가진 한계의 위험성
한미 FTA 반대
키워드
추천자료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자유무역협정
자유무역협정 (Free Trade Agreement)에 대한 한국의 대응
한국과 칠레간의 자유무역협정
한일자유무역협정의 정책과 시사점
한칠레간 자유무역협정 체결과 당면과제
자유무역협정에 대한 우리의 대응
자유무역협정이란
한일 자유무역협정의 이점과 단점
“자유무역협정”에 대한 나의 견해
북미자유무역협정 비교를 통한 동북아경제협력에 관한 연구
대한민국과 싱가포르자유무역협정
10_한일 자유무역협정의 의의와 방향
[무역학개론] 국제통상 F.T.A(자유무역협정)과 DDA(도하개발아젠다)-정의, 필요성, 주요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