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서 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기간 및 방법
Ⅱ. 본 론
▶문헌고찰
Ⅲ.간호과정
▶ 간호사정
▶간호과정 적용
IIII. 결론
느낀점
참고 문헌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기간 및 방법
Ⅱ. 본 론
▶문헌고찰
Ⅲ.간호과정
▶ 간호사정
▶간호과정 적용
IIII. 결론
느낀점
참고 문헌
본문내용
, 두개내 출혈
hepatamin
효능/효과
급 만성 간장애에 의한 뇌졸중의 개선, 간장애환자의 아미노산 보급
MVH
효능/효과
수술시, 중화상, 골절, 심한 감염증, 혼수상태의 응급환자의 영양보급
⑨ 약물요법-약명, 작용, 용법용량, 부작용, 금기
▶간호과정 적용
1) 기계호흡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S:"숨쉬기가 힘들어..."
O: 의식상태: alert와 Drowsy를 겸함
환자는 Ventilator을 이용하여 호흡하고 suction 하여 가래 배출함
기계와 호흡이 맞지 않아 기침을 자주 하심
간호진단: 기계호흡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목표
환자는 Ventilator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호흡하며 ABGA가 정상 범위를 유지한다.
간호계획
(의학적 근거)
- 대상자의 호흡상태를 4시간마다 check한다.
(비효율적인 기도청결은 호흡수와 리듬의 변화를 가져온다.)
-V/s을 3시간마다 사정한다.
-매일 체위를 변경하여 상지를 지지해주며 호흡과 가슴확장을 돕는다.
(호흡과 가슴을 확장을 돕는다.)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며 필요시 가습기와 O2를 제공한다. (적절한 습도는 분비물을 묽게 한다.)
-필요에 따라 suction을 제공하여 깨끗한 기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suction은 기침을 자극하고 기도청결을 유지하게 한다.)
- 환자가 기계호흡에 맞게 숨쉴 수 있도록 도와준다.
-ABGA결과를 Check 한다.
수행
-대상자의 호흡상태를 4시간마다 check하였다.
-V/s을 3시간마다 사정한다.
-대상자를 semi-fowler체위를 취하게 하였다.
-가습기를 제공하여 적절한 습기를 유지하였다.
-O2 3l/min를 공급하였다.
-suction을 시행 하였다.
-환자가 기계호흡에 맞게 숨쉴수 있게 옆에서 호흡방법을 알려드렸다.
-ABGA 결과를 측정 하였다.
(4/24 PO₂:85.5 4/25 PO₂:70.0 4/26 PO₂:120.8)
평가
환자는 Ventilator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호흡을 하고 있으며 ABGA가 정상 범위를 유지하고 있다.
2)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S:" "
O: 의식상태: alert와 Drowsy를 겸함
많은 시간을 침대에 누워있다.
기저귀 착용하고 있으며 변은 무른변과 설사를 보시며 옷과 시트가 땀에 젖어 구겨져 있으며 피부는 땀에 젖어있다.간호진단: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목표
환자의 피부가 정상이며 환자의 침상은 깨끗하다.
간호계획
(의학적 근거)
-1~2시간마다 체위변경 및 등 마사지를 실시한다.
(체위 변경은 한 조직에 압력이 계속 가해지는 것을 감소시키며 피부 순환을 증진 시킨다.)
-쉽게 보이지 않는 신체부위의 욕창을 발견하기 위해 침상교환 시 매일 피부를 관찰한다.
(피부변화의 조기 발견은 피부손상을 최소화 한다.)
-발꿈치와 뼈 돌출부위를 보호하는 (물주머니, 패드, 베개, 담요)를 사용한다.
-피부를 건조하고 깨끗하게 유지하며 옷과 이불의 구김이 없게 유지한다.
-욕창의 증상에 대하여 교육한다.
-용변후 깨끗이 처리하도록 한다.
수행
-하루 3-4회 체위변경과 등마사지를 실시하였다.
-체위변경과 등마사지시 환자의 피부를 관찰하였다.
-발꿈치 부위에 물주머니를 사용하였다.
-하루에 한번 침상 정리를 하였다.
-욕창의 증상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용변후 물티슈로 깨끗하게 닦아 드렸으며 피부를 건조하게 하였다.
평가
욕창이 발견되지 않았다.
환자의 침상은 깨끗하고 주름이 없으며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3) 환경변화와 관련된 불안
S:" 불안해요.. 옆에 같이 있어요 "
O: 불안함을 글로 표현하시고 조그만 자극에도 긴장하시며 주위 의식을 많이 하시고 안절부절 한 모습을 보이시며 불안감이 높아질때는 V/S 이 상승하고 SpO가 감소 한다.
수면을 취하시면서도 무의식적으로 손짓으로 사람을 부른다.
불안정도 측정:1-5중 4
간호진단: 환경변화와 관련된 불안
목표
환자의 불안감이 완화되고 초조해 하지 않고 심리적 안정을 취한다.
간호계획
(의학적 근거)
-환자의 상태와 치료과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심박동수, 혈압, 호흡수의 증가 같은 불안에 대한 증후가 나타나는지 잘 관찰한다.
-환자를 지지해주며 환자가 자신의 요구나 필요를 표현하도록 한다.
-필요시 억제대를 사용한다.
-아늑하고 안정된 환경을 조성해 준다.
-필요시 Dr notify 후에 안정제나 수면제를 투여한다.
수행
-환자의 상태와 치료과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심박동수, 혈압, 호흡수의 증가같은 불안에 대한 증후가 나타나는지 잘 관찰하였다.
-환자가 불안해 하지 않도록 이야기도 많이하고 환자가 필요로 하는 요구를 해결할수 있는 범위내에서 해드렸다.
-필요시 억제대를 사용하였다.
-아늑하고 안정된 환경을 조성해 주었고 환자가 평소에 즐겨듣던 노래와 자주쓰던 물건을 가져다 주었다.
-필요시 Dr notify 후에 안정제나 수면제를 투여하였다.
(4/25~: midazolam, Peridol사용)
평가
환자가 옆에 누군가가 있고 이야기하면 불안감이 감소한다고 하였고 초조한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불안정도 측정: 2로 줄어듬
IIII. 결론
느낀점
이 연구를 통하여 중환자실 환자에 대한 간호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또한 중환자실에서만 느낄수 있는 분위기와 환자상태에 대하여도 많이 알수 있었다. 실습기간중에 간이식수술을 하신 분이 있었는데 가까이서 보지는 못하였지만 이식수술후의 간호에 대하여 볼수 있는 좋은 기회였던 것 같다. 이 대상자 사례연구를 통하여 환자에게 알맞은 간호를 배울 수 있었고 간호의 참 보람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앞으로 보다 나은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나갈 것이다.
참고 문헌
http://new.kaids.or.kr/Article/view.php?bbs_id=Counsel_Comm01&doc_num=1206
http://blog.naver.com/disterms?Redirect=Log&logNo=100033754652
http://www.kimsonline.co.kr
서울대학교병원(2002),간호진단과 계획
이광옥외(1997),최신 임상간호메뉴얼,수문사
전시자외(2005),성인간호학-상/하,현문사
hepatamin
효능/효과
급 만성 간장애에 의한 뇌졸중의 개선, 간장애환자의 아미노산 보급
MVH
효능/효과
수술시, 중화상, 골절, 심한 감염증, 혼수상태의 응급환자의 영양보급
⑨ 약물요법-약명, 작용, 용법용량, 부작용, 금기
▶간호과정 적용
1) 기계호흡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S:"숨쉬기가 힘들어..."
O: 의식상태: alert와 Drowsy를 겸함
환자는 Ventilator을 이용하여 호흡하고 suction 하여 가래 배출함
기계와 호흡이 맞지 않아 기침을 자주 하심
간호진단: 기계호흡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목표
환자는 Ventilator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호흡하며 ABGA가 정상 범위를 유지한다.
간호계획
(의학적 근거)
- 대상자의 호흡상태를 4시간마다 check한다.
(비효율적인 기도청결은 호흡수와 리듬의 변화를 가져온다.)
-V/s을 3시간마다 사정한다.
-매일 체위를 변경하여 상지를 지지해주며 호흡과 가슴확장을 돕는다.
(호흡과 가슴을 확장을 돕는다.)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며 필요시 가습기와 O2를 제공한다. (적절한 습도는 분비물을 묽게 한다.)
-필요에 따라 suction을 제공하여 깨끗한 기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suction은 기침을 자극하고 기도청결을 유지하게 한다.)
- 환자가 기계호흡에 맞게 숨쉴 수 있도록 도와준다.
-ABGA결과를 Check 한다.
수행
-대상자의 호흡상태를 4시간마다 check하였다.
-V/s을 3시간마다 사정한다.
-대상자를 semi-fowler체위를 취하게 하였다.
-가습기를 제공하여 적절한 습기를 유지하였다.
-O2 3l/min를 공급하였다.
-suction을 시행 하였다.
-환자가 기계호흡에 맞게 숨쉴수 있게 옆에서 호흡방법을 알려드렸다.
-ABGA 결과를 측정 하였다.
(4/24 PO₂:85.5 4/25 PO₂:70.0 4/26 PO₂:120.8)
평가
환자는 Ventilator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호흡을 하고 있으며 ABGA가 정상 범위를 유지하고 있다.
2)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S:" "
O: 의식상태: alert와 Drowsy를 겸함
많은 시간을 침대에 누워있다.
기저귀 착용하고 있으며 변은 무른변과 설사를 보시며 옷과 시트가 땀에 젖어 구겨져 있으며 피부는 땀에 젖어있다.간호진단: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목표
환자의 피부가 정상이며 환자의 침상은 깨끗하다.
간호계획
(의학적 근거)
-1~2시간마다 체위변경 및 등 마사지를 실시한다.
(체위 변경은 한 조직에 압력이 계속 가해지는 것을 감소시키며 피부 순환을 증진 시킨다.)
-쉽게 보이지 않는 신체부위의 욕창을 발견하기 위해 침상교환 시 매일 피부를 관찰한다.
(피부변화의 조기 발견은 피부손상을 최소화 한다.)
-발꿈치와 뼈 돌출부위를 보호하는 (물주머니, 패드, 베개, 담요)를 사용한다.
-피부를 건조하고 깨끗하게 유지하며 옷과 이불의 구김이 없게 유지한다.
-욕창의 증상에 대하여 교육한다.
-용변후 깨끗이 처리하도록 한다.
수행
-하루 3-4회 체위변경과 등마사지를 실시하였다.
-체위변경과 등마사지시 환자의 피부를 관찰하였다.
-발꿈치 부위에 물주머니를 사용하였다.
-하루에 한번 침상 정리를 하였다.
-욕창의 증상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용변후 물티슈로 깨끗하게 닦아 드렸으며 피부를 건조하게 하였다.
평가
욕창이 발견되지 않았다.
환자의 침상은 깨끗하고 주름이 없으며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3) 환경변화와 관련된 불안
S:" 불안해요.. 옆에 같이 있어요 "
O: 불안함을 글로 표현하시고 조그만 자극에도 긴장하시며 주위 의식을 많이 하시고 안절부절 한 모습을 보이시며 불안감이 높아질때는 V/S 이 상승하고 SpO가 감소 한다.
수면을 취하시면서도 무의식적으로 손짓으로 사람을 부른다.
불안정도 측정:1-5중 4
간호진단: 환경변화와 관련된 불안
목표
환자의 불안감이 완화되고 초조해 하지 않고 심리적 안정을 취한다.
간호계획
(의학적 근거)
-환자의 상태와 치료과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심박동수, 혈압, 호흡수의 증가 같은 불안에 대한 증후가 나타나는지 잘 관찰한다.
-환자를 지지해주며 환자가 자신의 요구나 필요를 표현하도록 한다.
-필요시 억제대를 사용한다.
-아늑하고 안정된 환경을 조성해 준다.
-필요시 Dr notify 후에 안정제나 수면제를 투여한다.
수행
-환자의 상태와 치료과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심박동수, 혈압, 호흡수의 증가같은 불안에 대한 증후가 나타나는지 잘 관찰하였다.
-환자가 불안해 하지 않도록 이야기도 많이하고 환자가 필요로 하는 요구를 해결할수 있는 범위내에서 해드렸다.
-필요시 억제대를 사용하였다.
-아늑하고 안정된 환경을 조성해 주었고 환자가 평소에 즐겨듣던 노래와 자주쓰던 물건을 가져다 주었다.
-필요시 Dr notify 후에 안정제나 수면제를 투여하였다.
(4/25~: midazolam, Peridol사용)
평가
환자가 옆에 누군가가 있고 이야기하면 불안감이 감소한다고 하였고 초조한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불안정도 측정: 2로 줄어듬
IIII. 결론
느낀점
이 연구를 통하여 중환자실 환자에 대한 간호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또한 중환자실에서만 느낄수 있는 분위기와 환자상태에 대하여도 많이 알수 있었다. 실습기간중에 간이식수술을 하신 분이 있었는데 가까이서 보지는 못하였지만 이식수술후의 간호에 대하여 볼수 있는 좋은 기회였던 것 같다. 이 대상자 사례연구를 통하여 환자에게 알맞은 간호를 배울 수 있었고 간호의 참 보람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앞으로 보다 나은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나갈 것이다.
참고 문헌
http://new.kaids.or.kr/Article/view.php?bbs_id=Counsel_Comm01&doc_num=1206
http://blog.naver.com/disterms?Redirect=Log&logNo=100033754652
http://www.kimsonline.co.kr
서울대학교병원(2002),간호진단과 계획
이광옥외(1997),최신 임상간호메뉴얼,수문사
전시자외(2005),성인간호학-상/하,현문사
추천자료
신생아/ 신생아실/ 신생아 중환자실/ 신생아 병동에 관한 전반적인 설명
방광손상
지주막하출혈 케이스(중환자실)
미숙아, 선천성 매독, C형 간염 수직감염(신생아 중환자실 case study)
뇌수막종 Case Study (중환자실 실습)
전방십자인대 , 후방십자인대 손상 및 치료
안면 신경의 손상과 치료
뇌성마비, 척추손상, 뇌졸중, 관절염, 당뇨, 암, 장기이식, 만성신부전과 신대체 요법 질병개관
아동간호실습 NICU(신생아중환자실 신생아 집중 치료실) 케이스
[간호]Dx - CVA (Lt. Rt. total MCA infarction due to SAH) 중환자실실습
[간호학과] 신생아중환자실(NICU) 황달, 태아수신증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기본간호학][간호술기 정리][관장, 산소요법, 신생검, 기관절개관, ABGA, 중환자실 기구,Eme...
[환자간호사례연구지침] 중환자실 케이스 Post CPR (Cardio Pulmonary esuscitation) (진단명...
간호,사전 학습,신생아 중환자실,NICU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