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목표
Ⅱ. 영양의 중요성
Ⅲ. 발달단계에 따른 영양
Ⅳ. 영양문제
Ⅱ. 영양의 중요성
Ⅲ. 발달단계에 따른 영양
Ⅳ. 영양문제
본문내용
록 권장함.
3) 아연
ㆍ단백질합성에 관여하며 성장과정에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역할을 함. 청소년기는 신체의 급속한 성장과 성적 성숙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므로 특히 아연의 섭취가 중요함.
ㆍ체내 아연 보유량의 증가는 근육조직의 증가와 관련이 있음. 세포분열이 왕성하게 이루어지는 영아, 청소년 및 임산부에 있어서는 아연 결핍의 위험성이 큼.
ㆍ우리나라에서는 10세 이후 남자에게는 12mg, 여자에게는 10mg의 아연 섭취를 권장하고 있음.
5. 비타민
ㆍ사춘기의 급속한 성정을 위해 추가로 필요한 비타민들이 충분히 공급되어야함.
ㆍ비타민 A는 시력, 성장, 세포의 분화와 증식, 생식, 면역능력 등에 반드시 필요함.
ㆍ비타민 D는 골격의 석회질화와 관련하여 칼슘과 인의 항상성 유지에 관여함.
ㆍ비타민 C는 콜라겐 합성에 필수적인 성분으로서 성장을 위한 필요량과 흡연 및 경구용 피임약 복용 시의 요구량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음.
ㆍ엽산은 DNA합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청소년기에는 이 영양소의 섭취가 매우 중요함.
ㆍ비타민 B6는 급격한 세포성장을 위해 필요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질소대사와 관련되는 수많은 효소계의 작용을 위해서도 요구됨.
ㆍ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등은 에너지대사에 필수적임.
연령(세)
비타민A(μg RE)
비타민D
(μg)
비타민E
(μg a-TE)
비타민B1
(mg)
비타민B2
(mg)
나이아신
(mg NE)
비타민B6
(mg)
엽산
(μg)
비타민C
(mg)
남
13-15
700
10
10
1.3
1.5
17
1.4
250
70
16-19
700
10
10
1.4
1.6
18
1.5
250
70
여
13-15
700
10
10
1.1
1.3
14
1.4
250
70
16-19
700
10
10
1.1
1.3
14
1.4
250
70
**청소년의 식사습관
1. 불규칙한 식사와 결식
외적인요인
내재적요인
ㆍ가족단위, 가족특성
ㆍ부모의 식습관
ㆍ우상적 인물
ㆍ사회적, 문화적 규범과 가치관
ㆍ대중매체
ㆍ패스트푸드
ㆍ영양지식
ㆍ개인적 경험
ㆍ생리적인 특성
ㆍ생리적 요구량
ㆍ신체상
ㆍ개인적인 가치관과 믿음
ㆍ자아개념
ㆍ기호
ㆍ심리발달
ㆍ건강
2. 패스트푸드의 이용
ㆍ패스트푸드에는 열량, 지방, 소디움의 함량이 많고 엽산과 섬유소는 거의 없는 편이다. 또한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의 함량이 적고 특히 칼슘, 처분, 리보플라빈, 비타민A의 함량이 낮으므로 패스트푸드는 우유와 함께 먹는 것이 바람직함. 또한 과일주스나 샐러드를 선택하여 함께 먹는다면 패스트푸드의 영양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음.
Ⅳ. 영양문제
**영양과 관련된 문제
1. 성장부진
ㆍ영아기에 이유가 지연되면 표준 이하의 성장률을 보임
ㆍ체력이 약화
2. 빈혈증
ㆍ영아기에 이유가 늦어지면 체내 철분 고갈로 빈혈증이 나타남
ㆍ연령 면에서는 1~23개월의 어린이들이 가장 많음
ㆍ이유기 영아의 증가된 철분 필요량을 충족시키지 못해서 발생한 것
<영아의 빈혈 진단을 위한 Hemoglobin과 Hematocrit의 표준치>
개월
성별
Hemoglobin(g/dl)
Hematocrit(%)
결핍
정상치
결핍
정상치
5-12
남, 녀
<11.0
≥11.0
33
33
3. 이식증(Pica)
→(모래, 흙, 숯, 재들을 먹는 것)
ㆍ식욕에 기복이 많음
ㆍ빈혈증과 같이 나타남
ㆍ아동은 점차 안정과 온유를 잃게 됨
4. 인공 영양아의 특이적 충치
ㆍ주로 2세 이전의 유아에서 나타남
ㆍ주로 앞쪽 윗니가 썩어서 빠지거나, 위쪽 첫 번째 어금니가 썩는 등의 특징을 가진 충치가 발생
ㆍ영아가 젖병을 입에 문채 잠들게 되는 습관에서 비롯됨 (잠자는 동안 타액의 분비가 감소되어 치아 표면에 존재하는 박테리아의 작용이 활발)
ㆍ예방하기 위해서는 젖병을 입에 문채 잠들지 않도록 하는 것
쥬스 등의 음료는 컵에 따라 마시도록 습관을 들이는 것
5. 아동기의 비만
ㆍ영아기보다 아동기에 시작된 비만이 성인의 비만에 더 결정적인 영향을 줌
ㆍ비만은 영아기, 5~6세 , 청소년기에 가장 흔히 나타남
ㆍ부모의 비만. 연로하거나 독신인 부모, 핵가족 내의 독자 아동은 역학적 면에서 아동기 비만과 관련
ㆍ특히 부모의 비만은 절대적인 요인
ㆍ비만한 부모를 가진 아동의 비만율은 정상부모를 둔 아동에 비해 3배 이상 됨
ㆍ부모와 아동의 비만유형이 같지는 않지만 비슷하므로 자녀의 비만 형태가 유전적인 것
ㆍ영아비만을 초래하는 식습관; 우유를 먹는 영아가 모유를 먹는 영아보다 체중 증가 속도가 더 빠르다는 사실→양육자가 젖병이 빌 때까지 아이에게 우유를 먹이는 반면 모유를 먹이는 어머니는 아이가 젖을 빨지 않으면 더 이상 먹이지 않기 때문
6. 비타민 D 결핍성 구루병
ㆍ비타민 D 결핍은 골격 성장에 필요한 무기질 부족과 구루병을 일으킴
ㆍ대개 4개월에서 2세까지의 아동에게 흔함
ㆍ6개월 미만 영아의 구루병 초기증상은 두개연화증→후두골 부분의 구개골이 얇거나 연해지는 것(생후 6개월 이후에 전두골과 측두골의 융기를 볼 수 있고 천문폐쇄가 지연
후기단계에서 가슴부분은 흉골의 돌출로 새가슴으로 변하고, 가슴 아랫부분은 움푹 들어감
척추측만증, 척추후만증, 척추전만증을 포함하는 척주의 기형이 구루병의 진전단계에서 발생
ㆍ체중부하로 대퇴골, 경골, 비골이 구부러져 외반슬(Knock knee)과 내반슬(Bowleg)을 초래
Ⅴ. Reference
1. 홍경자외, 아동간호학Ⅱ, 수문사, 2003년
2. 영유아건강 연구회편, 아동의 건강관리, 현문사, 2003년
3. 조결자외 가족중심의 아동간호학Ⅰ, 현문사, 2005년
4. 김영혜외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2005년
5. 김영혜외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2005년
6. 김계숙외 아동간호학, 신광출판사, 1995년
7. 허혜경외 유아건강 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00년
8. 홍경자외 아동간호학(上), 수문사, 1993년
9. 정영강외 유아영양과 건강, 양서원, 2003년
10. 김은경외, 생활주기영양학, 신광출판사, 2002년
11. 모수미외, 생활주기영양학, 효일문화사, 1998년
목차>
Ⅰ. 목표
Ⅱ. 영양의 중요성
Ⅲ. 발달단계에 따른 영양
Ⅳ. 영양문제
Ⅴ. Reference
3) 아연
ㆍ단백질합성에 관여하며 성장과정에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역할을 함. 청소년기는 신체의 급속한 성장과 성적 성숙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므로 특히 아연의 섭취가 중요함.
ㆍ체내 아연 보유량의 증가는 근육조직의 증가와 관련이 있음. 세포분열이 왕성하게 이루어지는 영아, 청소년 및 임산부에 있어서는 아연 결핍의 위험성이 큼.
ㆍ우리나라에서는 10세 이후 남자에게는 12mg, 여자에게는 10mg의 아연 섭취를 권장하고 있음.
5. 비타민
ㆍ사춘기의 급속한 성정을 위해 추가로 필요한 비타민들이 충분히 공급되어야함.
ㆍ비타민 A는 시력, 성장, 세포의 분화와 증식, 생식, 면역능력 등에 반드시 필요함.
ㆍ비타민 D는 골격의 석회질화와 관련하여 칼슘과 인의 항상성 유지에 관여함.
ㆍ비타민 C는 콜라겐 합성에 필수적인 성분으로서 성장을 위한 필요량과 흡연 및 경구용 피임약 복용 시의 요구량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음.
ㆍ엽산은 DNA합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청소년기에는 이 영양소의 섭취가 매우 중요함.
ㆍ비타민 B6는 급격한 세포성장을 위해 필요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질소대사와 관련되는 수많은 효소계의 작용을 위해서도 요구됨.
ㆍ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등은 에너지대사에 필수적임.
연령(세)
비타민A(μg RE)
비타민D
(μg)
비타민E
(μg a-TE)
비타민B1
(mg)
비타민B2
(mg)
나이아신
(mg NE)
비타민B6
(mg)
엽산
(μg)
비타민C
(mg)
남
13-15
700
10
10
1.3
1.5
17
1.4
250
70
16-19
700
10
10
1.4
1.6
18
1.5
250
70
여
13-15
700
10
10
1.1
1.3
14
1.4
250
70
16-19
700
10
10
1.1
1.3
14
1.4
250
70
**청소년의 식사습관
1. 불규칙한 식사와 결식
외적인요인
내재적요인
ㆍ가족단위, 가족특성
ㆍ부모의 식습관
ㆍ우상적 인물
ㆍ사회적, 문화적 규범과 가치관
ㆍ대중매체
ㆍ패스트푸드
ㆍ영양지식
ㆍ개인적 경험
ㆍ생리적인 특성
ㆍ생리적 요구량
ㆍ신체상
ㆍ개인적인 가치관과 믿음
ㆍ자아개념
ㆍ기호
ㆍ심리발달
ㆍ건강
2. 패스트푸드의 이용
ㆍ패스트푸드에는 열량, 지방, 소디움의 함량이 많고 엽산과 섬유소는 거의 없는 편이다. 또한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의 함량이 적고 특히 칼슘, 처분, 리보플라빈, 비타민A의 함량이 낮으므로 패스트푸드는 우유와 함께 먹는 것이 바람직함. 또한 과일주스나 샐러드를 선택하여 함께 먹는다면 패스트푸드의 영양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음.
Ⅳ. 영양문제
**영양과 관련된 문제
1. 성장부진
ㆍ영아기에 이유가 지연되면 표준 이하의 성장률을 보임
ㆍ체력이 약화
2. 빈혈증
ㆍ영아기에 이유가 늦어지면 체내 철분 고갈로 빈혈증이 나타남
ㆍ연령 면에서는 1~23개월의 어린이들이 가장 많음
ㆍ이유기 영아의 증가된 철분 필요량을 충족시키지 못해서 발생한 것
<영아의 빈혈 진단을 위한 Hemoglobin과 Hematocrit의 표준치>
개월
성별
Hemoglobin(g/dl)
Hematocrit(%)
결핍
정상치
결핍
정상치
5-12
남, 녀
<11.0
≥11.0
33
33
3. 이식증(Pica)
→(모래, 흙, 숯, 재들을 먹는 것)
ㆍ식욕에 기복이 많음
ㆍ빈혈증과 같이 나타남
ㆍ아동은 점차 안정과 온유를 잃게 됨
4. 인공 영양아의 특이적 충치
ㆍ주로 2세 이전의 유아에서 나타남
ㆍ주로 앞쪽 윗니가 썩어서 빠지거나, 위쪽 첫 번째 어금니가 썩는 등의 특징을 가진 충치가 발생
ㆍ영아가 젖병을 입에 문채 잠들게 되는 습관에서 비롯됨 (잠자는 동안 타액의 분비가 감소되어 치아 표면에 존재하는 박테리아의 작용이 활발)
ㆍ예방하기 위해서는 젖병을 입에 문채 잠들지 않도록 하는 것
쥬스 등의 음료는 컵에 따라 마시도록 습관을 들이는 것
5. 아동기의 비만
ㆍ영아기보다 아동기에 시작된 비만이 성인의 비만에 더 결정적인 영향을 줌
ㆍ비만은 영아기, 5~6세 , 청소년기에 가장 흔히 나타남
ㆍ부모의 비만. 연로하거나 독신인 부모, 핵가족 내의 독자 아동은 역학적 면에서 아동기 비만과 관련
ㆍ특히 부모의 비만은 절대적인 요인
ㆍ비만한 부모를 가진 아동의 비만율은 정상부모를 둔 아동에 비해 3배 이상 됨
ㆍ부모와 아동의 비만유형이 같지는 않지만 비슷하므로 자녀의 비만 형태가 유전적인 것
ㆍ영아비만을 초래하는 식습관; 우유를 먹는 영아가 모유를 먹는 영아보다 체중 증가 속도가 더 빠르다는 사실→양육자가 젖병이 빌 때까지 아이에게 우유를 먹이는 반면 모유를 먹이는 어머니는 아이가 젖을 빨지 않으면 더 이상 먹이지 않기 때문
6. 비타민 D 결핍성 구루병
ㆍ비타민 D 결핍은 골격 성장에 필요한 무기질 부족과 구루병을 일으킴
ㆍ대개 4개월에서 2세까지의 아동에게 흔함
ㆍ6개월 미만 영아의 구루병 초기증상은 두개연화증→후두골 부분의 구개골이 얇거나 연해지는 것(생후 6개월 이후에 전두골과 측두골의 융기를 볼 수 있고 천문폐쇄가 지연
후기단계에서 가슴부분은 흉골의 돌출로 새가슴으로 변하고, 가슴 아랫부분은 움푹 들어감
척추측만증, 척추후만증, 척추전만증을 포함하는 척주의 기형이 구루병의 진전단계에서 발생
ㆍ체중부하로 대퇴골, 경골, 비골이 구부러져 외반슬(Knock knee)과 내반슬(Bowleg)을 초래
Ⅴ. Reference
1. 홍경자외, 아동간호학Ⅱ, 수문사, 2003년
2. 영유아건강 연구회편, 아동의 건강관리, 현문사, 2003년
3. 조결자외 가족중심의 아동간호학Ⅰ, 현문사, 2005년
4. 김영혜외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2005년
5. 김영혜외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2005년
6. 김계숙외 아동간호학, 신광출판사, 1995년
7. 허혜경외 유아건강 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00년
8. 홍경자외 아동간호학(上), 수문사, 1993년
9. 정영강외 유아영양과 건강, 양서원, 2003년
10. 김은경외, 생활주기영양학, 신광출판사, 2002년
11. 모수미외, 생활주기영양학, 효일문화사, 1998년
목차>
Ⅰ. 목표
Ⅱ. 영양의 중요성
Ⅲ. 발달단계에 따른 영양
Ⅳ. 영양문제
Ⅴ. Referenc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