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계몽주의
2. 자유주의
3. 사회계약설
2. 자유주의
3. 사회계약설
본문내용
점에서 불만을 느낀 루소는 다수파가 소수파에 대해 행사하는 전제의 위험을 극복하고자 자신의 '사회계약론'을 주장하였다. 루소도 사회를 구성하기 위한 합의의 필요성은 인정했다. 그런데 로크는 합의를 지배자와 피지배자간의 계약으로 본 반면 루소는 인민들 상호간에 맺는 계약으로 보았다. 사람들은 상호간에 자연적 자유를 양도함으로써 전체가 융합된 일반의지(공동체 자체의 의지)를 만들며 각 개인은 절대로 그 명령에 따라야 한다. 이러한 추상적인 '일반의지'는 바로 주권자이며, 그것은 절대 신성하고 불가침이다. 일반의지는 다수결에 의해 결정되는 수의문제가 아니라. 인민전체를 결합시키는 '공동이익'에 의해 결정된다. 루소의 일반의지 관념은 결과적으로 대의제에 의한 간접 민주정치 및 다수결 원칙 등을 거부하게 된다.
추천자료
[북유럽]19세기 스웨덴의 정치․사회의 변동
서양교육사 - 서양 고대의 교육 (그리스, 로마의 교육)
미디어와 정치
사회철학과 역사철의 주제들에 관하여
[페미니즘][남성 지배문화 이데올로기][페미니즘 이론]페미니즘과 남성 지배문화 이데올로기 ...
고전주의 시대와 베토벤 그리고 그의 음악에 관한 조사, 음악회 감상문
[평생교육] 독일의 평생교육
한국현대문학사 <1910년대 문학>
[여성해방][여성해방론][여성운동][여성권리][여성인권]여성해방(여성해방론)의 목표, 여성해...
[유아교육사와 보육] 근대사회의 유아교육 - 계몽사상기, 로크, 루소, 오베르랑(인간관, 아동...
[철학의이해 A] 나의 동양고전독법에 대한 발췌요약 및 독후감
마르크스 사상 정리와 강의 내용 필기 (서양현대철학)
프랑스 대혁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