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우리나라 상례의 일반적 성격
장례식의 의의
우리나라 전통적 상례의 성립
우리나라 장례식의 변천에 영향을 끼친 요소들
오늘날 우리 장례식의 특성
매장 장례에 대한 우리의 전통 의식
발인부터 시작해서 초상의 끝까지는 총 7번의 제사가 있었다.
고구려 시대의 불교 화장 장례문화의 영향 / 불교적 사후 세계관, 철학이
장례문화에 미친 영향
장례식의 의의
우리나라 전통적 상례의 성립
우리나라 장례식의 변천에 영향을 끼친 요소들
오늘날 우리 장례식의 특성
매장 장례에 대한 우리의 전통 의식
발인부터 시작해서 초상의 끝까지는 총 7번의 제사가 있었다.
고구려 시대의 불교 화장 장례문화의 영향 / 불교적 사후 세계관, 철학이
장례문화에 미친 영향
본문내용
활양식은 현세와 동일하다고 여겼다. 오늘날 전해지는 거대한 고분은 그러한 내세관에 따라 축조된 것이다. 현세에서 사자(死者)가 누린 지위와 신분을 저 세상에서도 그대로 누릴 수 있는 유택(幽宅)으로 큰 무덤을 짓고 많은 부장품을 묻었던 것이다. 또한 현실에서의 차등성과 신분 질서는 내세에까지도 이어지는 절대적인 것으로, 불변의 사항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런데 불교 교리에선 죽은 자는 현세에서 행한 업(業)과 공덕에 따라, 즉 인과응보에 따라 내세에서 일정한 형태로 윤회전생하거나 왕생극락한다는 것이다. 이런 윤회전생설은 현세의 삶에 대한 당시인들의 태도에 양면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한편으로는 현세의 사회적 지위와 화복(禍福)이 과거세의 업의 소산으로 여겨 기존의 질서를 근본적으로 긍정했기 때문에, 사람들이 이를 숙명적으로 받아들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내세의 삶은 현세의 질서와는 다른 차원에 의해 결정되며, 왕생하게 될 극락세계는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가능성의 세계라고 봄에 따라, 사람들은 내세에 대해 좀더 적극적인 사고를 하게 되었다. 나아가 그런 사고는 인간의 본원적인 평등에 관한 의식을 내재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또한 비단 내세에서뿐 아니라 현세에서 일어난 일도 앞서 있었던 행위의 인과응보로 이해하게 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개인들로 하여금 현세와 내세에서의 화복은 결국 자신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생각을 가지게 하였다. 이에 사람들은 자신의 행위를 불교의 계율에 입각해 성찰하게 하였다. 그에 따라 불교적 가치관은 당대인의 생활 속에 실천윤리로 깊숙히 자리잡아 갔다. 불교 교리 중 고구려인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은 인과응보설과 윤회전생설이었다. 고분벽화에서 많이 보이는 연화전생도(蓮花轉生圖) 등은 그런 사실을 말해준다. 고구려 하대에는 일체의 중생은 누구나 불성(佛性)을 가지고 있음을 강조하는 열반종이 널리 퍼졌다. 보덕(普德)이 도교의 불로장생 사상에 대항해 열반종을 내세워 교세를 떨쳤다. 그리고 만유(萬有)의 실상(實相)은 공(空)이라고 주장하는 삼론종(三論宗) 또한 고구려에서 깊이 연구되었다. 구체적으로 5세기 말 요동지역 출신인 승랑(僧朗)은 중국 강남으로 건너가 삼론학의 대가로 활약하였다. 또한 7세기 초에 고구려 승려에 의해 삼론종이 일본에 전해졌다. 혜관(慧灌)·도증(道澄)·의연(義淵) 등은 고구려 삼론종의 대표적 승려였다. 고구려 후기에는 천태종(天台宗)에 대한 이해도 깊었다. 파약(波若)은 천태종 승려로서 유명하였다. 천태종의 부소(扶疎) 경전인 열반경의 연구가 성했고, 그런 가운데 보덕을 중심으로 열반종이 성행했다. 불교의 수용과 확산은 비단 종교적·사상적인 측면에서만 큰 의의가 있는 게 아니라, 불교의 수용과 전파 과정에서 동아시아 여러 나라와의 문화교류를 증진시켰다. 불교와 불교 승려는 당시 국제적 교류의 주요한 매개체였다. 불교와 함께 서역 및 중국문화가 광범위하게 유입되었고, 불교 신앙의 토착화에 따라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끼쳐 한국 고대 문화의 주요 기반을 형성하였다.
<출처 - 이창호의 역사교육>
<출처 - 이창호의 역사교육>
추천자료
현대호의 함장 정몽헌 회장의 투신자살충격에 관한 심층적 분석... - 현대아산 현대그
한중일 결혼문화비교
정신질환자에 대한 사례 및 연구
색채에 나타난 이미지와 표현
■ 빈곤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 ■ - 사회보장제도를 중심으로
전통통과의례와 상차림
『한국사회의 유교적 변환』을 읽고
탈의 종류와 특징-역사,형상,그림,정의
일본 신도(神道)의 이중적 성격에 대한 고찰
남북한 독립운동사 비교
김치, 김치박물관을 다녀와서, 그 세계화에 관하여
화장의 역사(세계 화장의 역사)
[불탑][불탑의 연원][불탑의 전개][불탑의 흐름][불탑의 양식][불탑의 신라시대불탑][불탑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