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탑][불탑의 연원][불탑의 전개][불탑의 흐름][불탑의 양식][불탑의 신라시대불탑][불탑과 부도][불교][탑]불탑의 연원, 불탑의 전개, 불탑의 흐름, 불탑의 양식, 불탑의 신라시대불탑, 불탑과 부도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불탑][불탑의 연원][불탑의 전개][불탑의 흐름][불탑의 양식][불탑의 신라시대불탑][불탑과 부도][불교][탑]불탑의 연원, 불탑의 전개, 불탑의 흐름, 불탑의 양식, 불탑의 신라시대불탑, 불탑과 부도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불탑의 연원
1. 6-7C
2. 7C후-8C초
3. 100여년(8C 경덕왕. 김대성)

Ⅲ. 불탑의 전개

Ⅳ. 불탑의 흐름

Ⅴ. 불탑의 양식
1. 백제식 탑
2. 신라식 석탑
3. 통일 신라식 석탑
4. 고려 시대 석탑

Ⅵ. 불탑의 신라시대불탑

Ⅶ. 불탑과 부도

참고문헌

본문내용

운 기운이 일게 되자 이 궁터에 신라최대의 사찰인 황룡사를 짓고 절 한가운데에는 9층목탑을 세우고 법당에는 장육삼존불상을 안치했다고 한다. 그런데 황룡사의 9층 목탑은 높이가 226척에 해당하는 큰 탑으로 이 탑과 수백 칸에 이르는 건물들을 세우는 대공사를 계획하면서 신라왕실은 이 사업을 감당하기 어렵게 되다 결국 아비지를 비롯한 백제의 장인들을 초빙하여 공사를 진행하게 되었고, 실로 60여년의 세월이 흘러 신덕여왕대에 이르러서야 건물들과 탑이 모두 제격을 갖추게 되었다. 오늘날에도 경주 황룡사터의 탑자리에는 사방으로 계단을 올린기단 위로 사방 일곱 칸에 해당하는 탑신의 기둥을 세웠던 수십 개의 육중한 주춧돌들이 남아있어 황룡사구층목탑의 규모를 짐작케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신라에서도 불탑의 주류를 이루었던 목탑의 전통은 통일신라시대까지 이어지게 된다.
그런데 신라에서도 7세기에 들어 석탑이 선보이게 된다. 현재 경주에 일부가 남아있는 분황사 모전석탑은 선덕여왕 3년에 조성된 것으로, 이 탑은 목탑을 모델로 한 백제의 석탑과는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전례를 찾을 수 없는 중국의 전탑을 모방하여 일일이 돌을 벽돌처럼 잘라서 이를 포개고 짜 맞추어 세운 것이다. 지금은 3층까지만 남아 있으나 원래는 5층탑으로 여겨지며 규모가 제법 큰 탑에 속하고 있다. 탑의 기단 위에는 네모충이에 돌사자를 배치하고 1층탑신의 내벽에는 돌로 문틀을 짜고 널찍한 돌로 출입문도 달아 내부로 통할 수 있게 하였는데. 문의 양옆에는 인왕상이 조각되어 험상궂은 표정으로 문을 지키고 있다. 또 벽돌모양의 석재로 탑을 만들다보니 탑에는 전혀 기둥이 없고 처마 밑과 지붕 위의 경사면은 자연히 층이 지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국의 전탑을 모방한 모전석탑이 신라에서 처음석탑으로 등장하게 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Ⅶ. 불탑과 부도
부도란 ‘Budda\'를 번역한 것으로 ‘浮屠’, ‘浮頭’, ‘蒲圖’, ‘佛圖’등 여러 가지로 표현하며 ‘Stupa\' 堵婆, 즉 塔婆의 轉音으로서도 쓰여지고 있다. 그러나 佛塔과 浮屠는 엄격히 구별되어 부도는 승려의 墓塔으로서 외양적으로 형태를 달리하고 있다. 즉, 크기가 법당 앞에 세워져 있는 탑보다 작으며 세워진 위치도 사찰의 중심지인 금당 앞이 아닌 절 입구나 또는 외진 한 구석에 세워지며 부도가 여럿 서 있는 곳을 ‘부도밭’이라고 일컫는다.
부도의 상륜은 9세기의 현존 최고의 廉居和尙塔을 비롯해서 그 이후 만들어진 시대에 따른 변화는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첫째, 水烟龍車는 부도에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 이것은 석가모니의 舍利를 모시는 塔墓로서 출발된 탑파와 승려의 墓塔인 부도와는 그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最高의 王을 뜻하는 龍車와 같은 것을 만들 수 없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둘째, 露盤에서는 옥개 정상부 위에 주로 8각의 伏蓮을 조식해 상륜을 받거나, 각호로 상륜 받침을 만들고 있음은 탑파와 다른 점이라 하겠다.
셋째, 상륜에 놓여진 순서에 있어서 覆鉢과 仰花의 순서가 바뀌고 있는 점,
넷째, 覆鉢은탑파에서 조식이 없거나 부도에서는 이러한 조식 이외에도 복발 상하단에 앙련 또는 복련을 조식한 예가 보이고 있는 것이 다르고,
다섯째, 寶珠가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특히 金剛針과 같은 형태는 十 자형으로 동서남북 4방이 한 곳으로 모여지는 四方世界 즉 十方世界와 통하는 의미로 보여진다.
참고문헌
김희강(1982), 탑, 열화당
고유섭(1975), 한국탑파의 연구, 동화출판공사
이원순(1980), 역사 교육론, 삼영사
정의행(1991), 한국불교통사, 한마당
장충식(1989), 한국의 탑, 일지사
황수영(1974), 불탑과 불상,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키워드

불탑,   신라시대불탑,   부도,   불교,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9.3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51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