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장의 기능, 해부학적 위치,구조
2. 신세포 암이란?
3. 신세포암의 원인
4. 암의 진단
5. 신세포 암의 치료
대상자가 했던 검사
2. 신세포 암이란?
3. 신세포암의 원인
4. 암의 진단
5. 신세포 암의 치료
대상자가 했던 검사
본문내용
동안, 움직이지 않는 것이 중요하므로 환자의 협조가 필요하다.
* 가능하면 환자에게 미리 검사기기의 사진을 보여주고 환자의 느낌이나 공포를 표현하게 한다. 어떤 환자는 자신의 신체가 기계에 둘러싸일 때 협소 공포증 때문에 고통을 받기도 한다.
*환자는 검사 전 4시간 동안 금식한다. 위나 십이지장에 음식이 차있으면 상에 혼동을 일으킬 수도 있다.
요오드나 수산물에 알러지가 있는지 사정하고 알러지가 의심되면 방사선과 의사에게 알린다. 의사는 알러지가 의심되면 검사 전에 diphenhydramine과 스테로이드를 처방할 수 있다.
검사 후에는 수분섭취를 격려한다. 경구로 조영제를 섭취한 후에도 설사를 할 수 있다고 알린다. 조영제에 대한 지연반응(호흡곤란, 빈맥, 발진, 두드러기)이 나타나는지 관찰한다. 이 지연반응은 검사 후 2~6시간에 나타난다.
4. 신장, 요관, 방광 방사선 촬영 술 (KUB)
검사형태 : 방사선 검사
정상 : 결석 증거가 없다. 정상적 위장관 가스 양상
신장, 요관, 방광 방사선 촬영은 복통환자 혹은 복부 외상환자의 복부를 신속히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크린용 방사선 검사이다. 또한 요로 혹은 위장관계의 병리상태도 발견할 수 있다. KUB는 복부를 단순히 방사선 촬영하는 검사이다. 이 검사는 복부의 단순촬영 또는 스커우트 필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 검사는 복부 시리즈중 와위 촬영과 유사하며 이 검사를 통해 신장, 방광의 크기, 모양, 위치 및 기형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KUB는 이들 장기와 요관 내의 결석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다. 이 검사는 장 폐색 , 연조직 종괴, 내장의 파열 등 복강 내 질환을 진단 시 다른 검사를 실시하기 전에 가장 처음으로 실시하는 검사이기도 하다. 또한 KUB는 위장관내의 가스와 복수가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었는지 확인할 때 도움이 된다. 이 검사를 실시하기 위해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환자에게 부과되는 위험은 없다.
방해요인
선행검사에서 사용된 바륨이 장내 남은 경우 영상을 흐리게 할 수 있다.
검사과정
금식이나 진정제 사용이 필요하지 않다. 환자를 방사선과로 보내어 양팔을 머리위로 올리게 한 채 와위를 취하게 한다. 하복부의 X-선 사진을 촬영한다. 그 외에도 환자를 앉힌 채 또는 옆으로 누인 채 찍기도 한다. 이검사와 관련된 불편감은 없다. 이 검사는 방사선 기사가 촬영하며 몇분 내에 완료된다. 경정맥 신우촬영술 혹은 위장관 시리즈가 계획된 경우에는 KUB 후에 실시해야 한다.
금기사항
태아에게 방사선이 노출될 수 있으므로 임신부에게는 실시하지 않는다.
간호중재
검사 전 간호
*환자에게 검사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금식이나 진정제 투여가 필요하지 않다고 말해준다.
*적절한 방사선 사진을 관찰하기 위하여 바륨검사보다 먼저 실시하도록 검사 스케줄을 정한다.
* 남자환자인 경우 고환의 방사선 조사를 막기 위하여 납으로 된 차폐물로 성선을 덮어주고 여자환자의 난소는 신장, 요관, 방광에 가까이 있으므로 가릴 수 없다.
검사 후 간호
*필요한 경우 KUB를 완료한 뒤 IVP 혹은 위장 관 시리즈 스케줄을 정한다.
5. 흉곽 X-선 검사
정상 :
정상적인 폐와 주위 구조를 보인다.
흉곽 X선 검사는 폐와 심장의 중요한 검사이다. 이 검사는 성인 환자의 입원이 실시되는 정규검사들 중 하나이다. X선 검사에 의해 많은 정보가 얻어지며 다음과 같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폐 종양(일차적 폐종양, 전이된 폐종양), 심장종양 (점액종), 흉곽벽종양(연조직 육종), 흉곽 골조직 종양(종형성성 육종), 폐렴증, 늑막염증, 심낭염증, 늑막 삼출액 축적, 신망 삼출액 축적, 폐 삼출액 축적, 폐 종기 축적(COPD)시와 늑막의 공기 축적(기흉), 흉고가 뼈 골절, 횡격막 탈장-
검사과정 :
흉곽 X선 검사는 방사선과에서 수행되지만 환자가 움직일 수 없는 상태에선 이동식 흉곽 x선 카메라고 검사할 수 있다. 환자는 윗옷을 벗고 면가운을 입는다. 목걸이, 시계, 핀과 같은 금속성 물질은 흉곽 X선 필름 상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제거한다. 대부분의 흉곽 X선 필름은 환자에서 6미터 거리에서 찍는다. 환자가 앉은 자세나 앙와위를 취한 상태에서 짝을 수 있지만 앙와위에서는 흉곽 내 삼출물의 약을 확인할 수 없다. 보통은 신체의 후면에서 신체의 전면으로 X선을 방사하는 외측 조사법을(posteroanterior view)먼저 시행하고 환자의 측면에서 외측 조사법을(lateral view) 시행하기도 한다. 떠한 사위 조사법은(oblique view) 특정 각도로 경사지게 해 방사선을 방사해 찍은 방법이며, 전측 조사법은(lordotic view) 보통 결핵을 발견하기 위해 행해지며, 폐첨 부위를 잘 보기위한 방사법이다. 와위 조사법은(decubitus view) 늑막 강 내에 고인 삼출물을 확인하기 위해 촬영하는 것으로, 환자를 측면으로 눕게 해 액체를 모이게 한 후 사진을 찍는 방법이다. 환자가 정확한 자세를 취한 후 깊은 숨을 쉬고 X선 사진이 찍힐 때까지 참고 있어야 한다. 사진을 찍는 시간은 몇 분 걸리며 사진을 찍는 동안 환자는 불편감이 없다.
금기사항 :
임신 중 X선 검사는 금해야 하나 만약 꼭 찍어야 할 경우엔 납으로 된 보호대로 자궁위를 가리고 찍는다.
간호진단 :
검사 목적준비준비 과정등과 관련된 지식부족 위험성, 검사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각과 관련된 불안의 위험성, 검사 결과와 관련된 불안의 위험성
간호중재 :
환자에게 검사과정을 설명한다. 허리 우이의 윗옷을 벗어야 한다. 그리고 면 가운으로 갈아입는 다는 것을 환자에게 말한다. 만약 병식에서 방사선과로 가서 사진을 찍게 될 경우에는 미리 윗옷을 벗기고 방사선 촬영 복으로 갈아입힌 후 보낸다. 금속 물질은 미리 제고하게 한다. X선 사진이 찍힐 동하는 깊은 숨을 들이 마신 채 참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가르쳐 준다. 가임기 여성으로 월경주기가 정상이 아닌 상태의 여성의 경우는 혹시 임신 초기에 있을 가능성을 고려해 복부 기관위에 납으로 된 앞치마를 입는다. 남성은 고환을, 여성은 난소를 납으로 된 보호대로 가려 미래의 기형아 출산을 예방한다.
* 가능하면 환자에게 미리 검사기기의 사진을 보여주고 환자의 느낌이나 공포를 표현하게 한다. 어떤 환자는 자신의 신체가 기계에 둘러싸일 때 협소 공포증 때문에 고통을 받기도 한다.
*환자는 검사 전 4시간 동안 금식한다. 위나 십이지장에 음식이 차있으면 상에 혼동을 일으킬 수도 있다.
요오드나 수산물에 알러지가 있는지 사정하고 알러지가 의심되면 방사선과 의사에게 알린다. 의사는 알러지가 의심되면 검사 전에 diphenhydramine과 스테로이드를 처방할 수 있다.
검사 후에는 수분섭취를 격려한다. 경구로 조영제를 섭취한 후에도 설사를 할 수 있다고 알린다. 조영제에 대한 지연반응(호흡곤란, 빈맥, 발진, 두드러기)이 나타나는지 관찰한다. 이 지연반응은 검사 후 2~6시간에 나타난다.
4. 신장, 요관, 방광 방사선 촬영 술 (KUB)
검사형태 : 방사선 검사
정상 : 결석 증거가 없다. 정상적 위장관 가스 양상
신장, 요관, 방광 방사선 촬영은 복통환자 혹은 복부 외상환자의 복부를 신속히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크린용 방사선 검사이다. 또한 요로 혹은 위장관계의 병리상태도 발견할 수 있다. KUB는 복부를 단순히 방사선 촬영하는 검사이다. 이 검사는 복부의 단순촬영 또는 스커우트 필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 검사는 복부 시리즈중 와위 촬영과 유사하며 이 검사를 통해 신장, 방광의 크기, 모양, 위치 및 기형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KUB는 이들 장기와 요관 내의 결석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다. 이 검사는 장 폐색 , 연조직 종괴, 내장의 파열 등 복강 내 질환을 진단 시 다른 검사를 실시하기 전에 가장 처음으로 실시하는 검사이기도 하다. 또한 KUB는 위장관내의 가스와 복수가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었는지 확인할 때 도움이 된다. 이 검사를 실시하기 위해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환자에게 부과되는 위험은 없다.
방해요인
선행검사에서 사용된 바륨이 장내 남은 경우 영상을 흐리게 할 수 있다.
검사과정
금식이나 진정제 사용이 필요하지 않다. 환자를 방사선과로 보내어 양팔을 머리위로 올리게 한 채 와위를 취하게 한다. 하복부의 X-선 사진을 촬영한다. 그 외에도 환자를 앉힌 채 또는 옆으로 누인 채 찍기도 한다. 이검사와 관련된 불편감은 없다. 이 검사는 방사선 기사가 촬영하며 몇분 내에 완료된다. 경정맥 신우촬영술 혹은 위장관 시리즈가 계획된 경우에는 KUB 후에 실시해야 한다.
금기사항
태아에게 방사선이 노출될 수 있으므로 임신부에게는 실시하지 않는다.
간호중재
검사 전 간호
*환자에게 검사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금식이나 진정제 투여가 필요하지 않다고 말해준다.
*적절한 방사선 사진을 관찰하기 위하여 바륨검사보다 먼저 실시하도록 검사 스케줄을 정한다.
* 남자환자인 경우 고환의 방사선 조사를 막기 위하여 납으로 된 차폐물로 성선을 덮어주고 여자환자의 난소는 신장, 요관, 방광에 가까이 있으므로 가릴 수 없다.
검사 후 간호
*필요한 경우 KUB를 완료한 뒤 IVP 혹은 위장 관 시리즈 스케줄을 정한다.
5. 흉곽 X-선 검사
정상 :
정상적인 폐와 주위 구조를 보인다.
흉곽 X선 검사는 폐와 심장의 중요한 검사이다. 이 검사는 성인 환자의 입원이 실시되는 정규검사들 중 하나이다. X선 검사에 의해 많은 정보가 얻어지며 다음과 같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폐 종양(일차적 폐종양, 전이된 폐종양), 심장종양 (점액종), 흉곽벽종양(연조직 육종), 흉곽 골조직 종양(종형성성 육종), 폐렴증, 늑막염증, 심낭염증, 늑막 삼출액 축적, 신망 삼출액 축적, 폐 삼출액 축적, 폐 종기 축적(COPD)시와 늑막의 공기 축적(기흉), 흉고가 뼈 골절, 횡격막 탈장-
검사과정 :
흉곽 X선 검사는 방사선과에서 수행되지만 환자가 움직일 수 없는 상태에선 이동식 흉곽 x선 카메라고 검사할 수 있다. 환자는 윗옷을 벗고 면가운을 입는다. 목걸이, 시계, 핀과 같은 금속성 물질은 흉곽 X선 필름 상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제거한다. 대부분의 흉곽 X선 필름은 환자에서 6미터 거리에서 찍는다. 환자가 앉은 자세나 앙와위를 취한 상태에서 짝을 수 있지만 앙와위에서는 흉곽 내 삼출물의 약을 확인할 수 없다. 보통은 신체의 후면에서 신체의 전면으로 X선을 방사하는 외측 조사법을(posteroanterior view)먼저 시행하고 환자의 측면에서 외측 조사법을(lateral view) 시행하기도 한다. 떠한 사위 조사법은(oblique view) 특정 각도로 경사지게 해 방사선을 방사해 찍은 방법이며, 전측 조사법은(lordotic view) 보통 결핵을 발견하기 위해 행해지며, 폐첨 부위를 잘 보기위한 방사법이다. 와위 조사법은(decubitus view) 늑막 강 내에 고인 삼출물을 확인하기 위해 촬영하는 것으로, 환자를 측면으로 눕게 해 액체를 모이게 한 후 사진을 찍는 방법이다. 환자가 정확한 자세를 취한 후 깊은 숨을 쉬고 X선 사진이 찍힐 때까지 참고 있어야 한다. 사진을 찍는 시간은 몇 분 걸리며 사진을 찍는 동안 환자는 불편감이 없다.
금기사항 :
임신 중 X선 검사는 금해야 하나 만약 꼭 찍어야 할 경우엔 납으로 된 보호대로 자궁위를 가리고 찍는다.
간호진단 :
검사 목적준비준비 과정등과 관련된 지식부족 위험성, 검사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각과 관련된 불안의 위험성, 검사 결과와 관련된 불안의 위험성
간호중재 :
환자에게 검사과정을 설명한다. 허리 우이의 윗옷을 벗어야 한다. 그리고 면 가운으로 갈아입는 다는 것을 환자에게 말한다. 만약 병식에서 방사선과로 가서 사진을 찍게 될 경우에는 미리 윗옷을 벗기고 방사선 촬영 복으로 갈아입힌 후 보낸다. 금속 물질은 미리 제고하게 한다. X선 사진이 찍힐 동하는 깊은 숨을 들이 마신 채 참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가르쳐 준다. 가임기 여성으로 월경주기가 정상이 아닌 상태의 여성의 경우는 혹시 임신 초기에 있을 가능성을 고려해 복부 기관위에 납으로 된 앞치마를 입는다. 남성은 고환을, 여성은 난소를 납으로 된 보호대로 가려 미래의 기형아 출산을 예방한다.
추천자료
소화기계 A형 간염(Hepatitis A) 문헌고찰 간호과정
Malignant melanoma 케이스 - 자료 및 방법, 문헌고찰, 간호과정, 결론 및 제언
위암(Gastric cancer)에 관한 문헌고찰 및 병태생리
CASE STUDY(COPD) - 자료 및 방법, 문헌고찰, 간호과정, 결론 및 제언
[모성간호] 자궁경부암(Cervix cancer) 문헌고찰, 케이스
[기본간호학] 임종간호에 대한 문헌고찰
[정신간호학] 양극성장애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문헌고찰, 간호사정, 간호과정, 결론
[성인간호학][Anemia][악성빈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ICH(Intracerebral hemorrhage) ; 뇌내출혈 문헌고찰
STEMI, 심근경색증 케이스 (간호사정, 검사결과, 간호진단, 문헌고찰, 간호계획, 약물조사포함)
만성신부전 케이스(연구의 필요성부터 ~ 문헌고찰,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느낀점 ) A...
A++++ 급성신장질환(Acute renal disease) 케이스: 연구의 필요성부터 ~ 문헌고찰,간호과정, ...
성인간호학) 과민성대장증후군IBS A++(사전학습자료, 문헌고찰, 레포트)
중환자실 ICU LOC, GCS, RSS 사정 문헌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