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간도 영유권 분쟁이란?
3. 간도의 구체적인 지역과 면적
4. 간도 명칭의 유래
5. 간도는 왜 우리땅인가?
6. 간도협약이 무효인 까닭은?
7. 간도를 찾을 가능성은 얼마나 되는가?
8. 중국과 국경은 맞대고있는 북한의 입장
9. 간도을 찾기위한 움직임(최근의 동향)
10. 맺음말
# 참고 자료 #
2. 간도 영유권 분쟁이란?
3. 간도의 구체적인 지역과 면적
4. 간도 명칭의 유래
5. 간도는 왜 우리땅인가?
6. 간도협약이 무효인 까닭은?
7. 간도를 찾을 가능성은 얼마나 되는가?
8. 중국과 국경은 맞대고있는 북한의 입장
9. 간도을 찾기위한 움직임(최근의 동향)
10. 맺음말
# 참고 자료 #
본문내용
“만주 진입”이라는 표현을 문제 삼았습니다.
10. 맺음말
지난해 2005년 봄 우연치 않은 기회에 친구를 따라 시청 앞에서 했던 간도 되찾기 행사에 방문에 본적이 있었습니다. 당시에는 처음 보는 문제에 별 생각없이 둘러 보고 왔던 것으로 기억되는데 이번기회를 통해서 다시 한번 상기해볼 수 있는 유익한 경험이였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중국은 북한이 붕괴하면 많은 난민들이 두만강을 넘어 가까운 동북 3성으로 들어와 한민족의 근거지가 되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일제시대 때 간도지역이 독립운동의 기지가 됐던 것처럼 남북통일이 이룩된 뒤에도 이 일대가 한국인의 또다른 근거지가 되는 것을 막으려고 한다고 생각해 봅니다. 당연히 간도를 생각해 본다고 금방 우리땅이 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간도는 우리 선조들의 터전이였고, 여전히 민족의 혼이 남아 있다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하나 더 바램이 있다면 간도 되찾기 행사가 더 이루어지고 책자, 기사 자료 등을 통해 고취심을 더 일으켰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이상입니다. 김경호 교수님 한 학기 수고 많으셨습니다.
#참고 자료#
경향 신문사 “그들의 꿈 간도 되찾기” 2004년
한민족 공동체발전 협회 “통한의 역사” 2004년
경향 신문 2005년 1월 13일
경향 신문 2004년 9월 25일
중앙 일보 2004년 10월 4일
양태진 “우리 영토이야기” 대륙연구소 출판부
네이버 블로그 “간도 되찾기”
주간 조선 2004년 7월29일
백산학회 홈페이지 http://www.paeksan.com/
시노다 지사쿠 “간도는 조선땅이다. : 백두산 정계비와 국경”
10. 맺음말
지난해 2005년 봄 우연치 않은 기회에 친구를 따라 시청 앞에서 했던 간도 되찾기 행사에 방문에 본적이 있었습니다. 당시에는 처음 보는 문제에 별 생각없이 둘러 보고 왔던 것으로 기억되는데 이번기회를 통해서 다시 한번 상기해볼 수 있는 유익한 경험이였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중국은 북한이 붕괴하면 많은 난민들이 두만강을 넘어 가까운 동북 3성으로 들어와 한민족의 근거지가 되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일제시대 때 간도지역이 독립운동의 기지가 됐던 것처럼 남북통일이 이룩된 뒤에도 이 일대가 한국인의 또다른 근거지가 되는 것을 막으려고 한다고 생각해 봅니다. 당연히 간도를 생각해 본다고 금방 우리땅이 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간도는 우리 선조들의 터전이였고, 여전히 민족의 혼이 남아 있다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하나 더 바램이 있다면 간도 되찾기 행사가 더 이루어지고 책자, 기사 자료 등을 통해 고취심을 더 일으켰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이상입니다. 김경호 교수님 한 학기 수고 많으셨습니다.
#참고 자료#
경향 신문사 “그들의 꿈 간도 되찾기” 2004년
한민족 공동체발전 협회 “통한의 역사” 2004년
경향 신문 2005년 1월 13일
경향 신문 2004년 9월 25일
중앙 일보 2004년 10월 4일
양태진 “우리 영토이야기” 대륙연구소 출판부
네이버 블로그 “간도 되찾기”
주간 조선 2004년 7월29일
백산학회 홈페이지 http://www.paeksan.com/
시노다 지사쿠 “간도는 조선땅이다. : 백두산 정계비와 국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