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월마트
1) 한국시장 진입전략
2) 월마트의 운영형태
3) 월마트의 실패요인
2. 까르푸
1) 까르푸는
2) 까르푸의 실패요인
1) 한국시장 진입전략
2) 월마트의 운영형태
3) 월마트의 실패요인
2. 까르푸
1) 까르푸는
2) 까르푸의 실패요인
본문내용
국계 기업에 대한 거부감 등을 들 수 있다. 문제점을 차례대로 분석해보도록 하자.
① 토착화 미비의 문제를 들 수 있겠다. 까르푸가 국내에 들어왔을 때 해외에서의 위상 반으로 해서 국내의 환경여건을 분석이 미미한 채로 들어왔다는데 문제가 있다. 실례로 소비패턴을 무시한 상품배치 문제를 들 수 있다. 신선도와 편의성을 고려하여 식품 매장을 출구 쪽에다가 배치했으나, 소비자들은 풍만하게 쌓인 식품들을 보고 매장을 찾는 경향이 농후하기 때문에 오히려 역효과를 주게 된 것이다. 또한 하이퍼마켓 컨셉이 셀프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건비를 줄이는 효과를 노리는 것이기 때문에 상품을 높게 쌓아두고 고객이 알아서 꺼내 가도록 배치를 했으나, 백화점과 같이 점원을 두고 서비스를 하는 패턴에 익숙해져 있는 고객들에게는 오히려 불편만 가중하는 듯한 인상을 준 것도 그 실례이다.
② 공격적인 확장전략에 치우치다 보니, 세부적인 마케팅이 미흡한 것도 문제로 들수 있다. 당시 환경에서 매장의 수를 늘리는 것도 중요한 전략이었지만 질적인 측면에서 까르푸만의 Brand equality를 살리지 못하고, 일반 할인점과의 차별화에 실패했다.
③ 까르푸는 이마트보다 국내에 늦게 들어왔기 때문에 입지 선정에 있어서도 한발 늦은감이 없지 않다. IMF로 인해 입지확보에 도움을 받긴 했지만 이마트의 선점을 따라잡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④ 뚜렷한 유통전략이 부족한 것도 문제점으로 들 수 있다. 국내 기업은 상품판매로 얻는 이익 외에도, 어음결제를 통한 현금 회전을 통해 가격절감 효과를 얻어내는 반면, 까르푸는 해외에서 어음 결제를 해본 적이 없어서, 이 부분에서 국내 업체에 비해 뒤떨어지는 면이 있었다.
⑤ 전 세계적인 유통기술과 지식을 가지고 들어왔지만, 이를 국내에 적용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우리나라는 까르푸가 진출할 당시, 유통업에서 기술인프라가 미흡한 상태이었고, 따라서 까르프가 가지고 있는 전략이 그대로 적용될 수 없었다.
⑥ 유통전문인력의 부족의 문제이다. 할인점 매장 인력이 3D 업종으로 분류되어 이직률이 높다는 점은 앞에서 제시했지만, 그 외의 유통업에 정통한 관리 인력 확보에도 어려움이 있다.
⑦ IMF 이후 신자유주의에 대한 반발로 등장한 외국계 기업에 대한 반발 심리도 까르푸가 토종 할인점에 비해 소비자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기 어려운 점으로 작용한다. 이는 국내 할인점들의 교묘한 마케팅에 의해서 촉발된 면도 없지 않다.
① 토착화 미비의 문제를 들 수 있겠다. 까르푸가 국내에 들어왔을 때 해외에서의 위상 반으로 해서 국내의 환경여건을 분석이 미미한 채로 들어왔다는데 문제가 있다. 실례로 소비패턴을 무시한 상품배치 문제를 들 수 있다. 신선도와 편의성을 고려하여 식품 매장을 출구 쪽에다가 배치했으나, 소비자들은 풍만하게 쌓인 식품들을 보고 매장을 찾는 경향이 농후하기 때문에 오히려 역효과를 주게 된 것이다. 또한 하이퍼마켓 컨셉이 셀프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건비를 줄이는 효과를 노리는 것이기 때문에 상품을 높게 쌓아두고 고객이 알아서 꺼내 가도록 배치를 했으나, 백화점과 같이 점원을 두고 서비스를 하는 패턴에 익숙해져 있는 고객들에게는 오히려 불편만 가중하는 듯한 인상을 준 것도 그 실례이다.
② 공격적인 확장전략에 치우치다 보니, 세부적인 마케팅이 미흡한 것도 문제로 들수 있다. 당시 환경에서 매장의 수를 늘리는 것도 중요한 전략이었지만 질적인 측면에서 까르푸만의 Brand equality를 살리지 못하고, 일반 할인점과의 차별화에 실패했다.
③ 까르푸는 이마트보다 국내에 늦게 들어왔기 때문에 입지 선정에 있어서도 한발 늦은감이 없지 않다. IMF로 인해 입지확보에 도움을 받긴 했지만 이마트의 선점을 따라잡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④ 뚜렷한 유통전략이 부족한 것도 문제점으로 들 수 있다. 국내 기업은 상품판매로 얻는 이익 외에도, 어음결제를 통한 현금 회전을 통해 가격절감 효과를 얻어내는 반면, 까르푸는 해외에서 어음 결제를 해본 적이 없어서, 이 부분에서 국내 업체에 비해 뒤떨어지는 면이 있었다.
⑤ 전 세계적인 유통기술과 지식을 가지고 들어왔지만, 이를 국내에 적용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우리나라는 까르푸가 진출할 당시, 유통업에서 기술인프라가 미흡한 상태이었고, 따라서 까르프가 가지고 있는 전략이 그대로 적용될 수 없었다.
⑥ 유통전문인력의 부족의 문제이다. 할인점 매장 인력이 3D 업종으로 분류되어 이직률이 높다는 점은 앞에서 제시했지만, 그 외의 유통업에 정통한 관리 인력 확보에도 어려움이 있다.
⑦ IMF 이후 신자유주의에 대한 반발로 등장한 외국계 기업에 대한 반발 심리도 까르푸가 토종 할인점에 비해 소비자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기 어려운 점으로 작용한다. 이는 국내 할인점들의 교묘한 마케팅에 의해서 촉발된 면도 없지 않다.
키워드
추천자료
대구 지역의 마트
신세계 e-mart의 중국 진출 사례 분석
할인점에 대하여
이마트의 해외 진출 전략
이마트 마케팅 성공사례
이마트의 swot 분석을 중심으로한 마케팅 전략
유통업계 대표주자 이마트의 성공경영전략
한국기업의 對중국 투자 성공 및 실패사례
이마트(E-Mart)의 해외시장진출과 유통전략
소매상 마케팅전략의 모델
코스트코(costco)의 서비스마케팅 성공사례
SAP와 Oracle의 비교 분석
테스코 (홈플러스) [Tesco (Home Plus)] vs 코스트코 [COSTCO] 기업분석과 SWOT분석 및 테스...
Costco 미국보다 한국에서 더성공한 코스트코(양재점 세계매장중 1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