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수축의 종류와 에너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근수축의 종류와 에너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서문
근수축이란

(2)본문
1. 근수축
2. 근수축의 종류
1)연축
2)강축
3)긴장
4)강직
5)마비
3.근수축 에너지

본문내용

도 수축할 수 없게 되는 결과 근은 다시 이완되어 해경으로 된다.
사후강직에 의한 수축은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강직된 팔을 펴거나 구부리려면 부러질 정도로 강한 힘을 가해야 한다.
강직이란 불가역의 변화이며 한번 강직이 생시면 본래의 근상태로 회복되지 못한다. 한편 강직은 근육이 과도하게 피로할 경우에도 일어날 수 있다.
5)마비(paralysis)
골격근은 수의적으로 수축을 일으킨다. 즉 대뇌 피질에서 시작된 흥분이 척수의 전각에 있는 운동신경을 거쳐서 골격근에 도달하면 골격근이 수축을 일으킨다. 중추신경계와 운동신경계에 손상을 입으면 흥분의 전달이 차단되어 수축을 일으킬 수 없게 된다. 이것을 마비 라고 한다. 운동신경 장애로 일어난 근육마비는 근육이 마비를 일으킨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위축(atrophy)된다. 위축은 반드시 마비 때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관절 등이 장기간 고정되어서 근육이 수축하지 못할 때도 일어난다. 이 때를 불사용위축(부동작성위축) 이라 한다. 불사용위축에서는 특히 수축성 단백질의 함량이 심하게 감소되고 근육내의 지방 함량은 오히려 증가한다.
소아마비의 경우 근육이 이완상태이기 때문에 외부에서 힘을 들이지 않고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뇌출혈로 인한 근육의 마비는 위축이 오지 않고 그 부위가 유연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의 큰 힘을 가해야만이 움직일 수 있는 것이 한 특징이라 하겠다.
이와 반대로 근육이 과도하게 운동했을 때 근육의 부피가 커지고 수축력도 강대하여지는 비대(hypertrophy)가 있다.
3.근수축 에너지
근육이 수축할 때에는 ATP의 분해로 생기는 에너지가 필요하다. 근육의 수축과 이완 과정에서 ATP로부터 방출되는 에너지가 사용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①수축과정에 있어서 교차교량체의 운동
②이완과정에 있어서 근소포체로 Ca의 회수
③교차교량체와 액틴의 결합 유지 및 주기적 분리과정
근육을 인체에서 분리한 후 충분한 효소와 에너지원(포도당)을 공급해 줄 경우 에너지원은 근육 내에서 분해 되어 ATP를 끊임없이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초 간에 한 번 정도의 자극을 근육에 직접 부여하는 경우에는 연축을 계속 일으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자극의 빈도를 증가시키면 연축의 크기는 자극의 빈도에 비하여 점차로 감소하게 되며 결국 수축을 일으키지 못하게 된다. 장시간의 반복자극에 의하여 근육의 수축력이 약해지는 현상을 근육의 피로(fatigue)라고 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5.26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14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