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험의 정의
2. 시험의 기능
1) 시험의 교육적 기능
2) 시험의 사회적 기능
2. 시험의 기능
1) 시험의 교육적 기능
2) 시험의 사회적 기능
본문내용
시험방법이 사회질서 및 문화와 어떻게 관련되는가를 간단히 분석하면─
현재의 시험방법에는 근간을 이루는 것이 객관식, 그 가운데서도 4지 택1식 방법이다. 4지 택1식 평가의 기본적 특징은 주어진 조건 하에서 어느 하나만이 정답이고, 나머지 모두 오답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주어진 조건이란 대게의 경우에 일반적 상황은 아니고 특정적인 상황이다. 그 특정적 상황은 출제자에 의하여 또는 교과서 저자에 의하여 규정된다. 만약 관점을 달리하면 다른 것이 정답이 될 수도 있겠지만 시험사태에서는 출제자에 의하여 규정된 조건 하에서만 정답을 골라야 한다. 그러므로 수험생은 개방적인 모든 가능성에 비추어 정답을 고르는 것이 아니라 출제자가 규정한 조건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 조건 내에서만 답을 골라야 한다. 수험생은 있을 수 있는 다른 여러 관점과 가능성은 무시하여야 한다. 즉 자유로운 사고를 통하여 여러 관점을 동원하는 일은 허용되지 않으며, 오히려 오답을 고를 가능성만 높아진다. 되도록 빨리 출제자의 관점을 간취하는 것만이 정답을 고르는 최선의 길이다. 이러한 시험의 연속은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관점과 입장을 자유롭게 발전시키지 못하도록 가로 막는다. 자유로운 주체적 관점을 발전시키는 것은 시험 준비에 가장 해로운 길이기 조차 하다. 항상 주어진 문제의 전제조건 내에서만 폐쇄적으로 사고하는 훈련을 끊임없이 쌓아야 한다.
이처럼 4지 택1평가가 지배하는 교육은 자유롭게 개방적으로 사고하는 주체적 인간을 길러내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능동적이며 자주적이기 보다는 수동적이고 의존적인 자세, 지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보다는 독선적이고 감정적인 사고, 안정된 성격보다는 충동적 성격을 배양할 가능성이 높다. 매사를 정답 아니면 오답, 진이 아니면 위, 혹이 아니면 백으로 구분하는 사고가 길러진다.
한국사회에 특히 젊은이들 사이에 퍼져 있는 이러한 사고방식은 그들이 학교에서 훈련받은 것이다. 우리 사회의 지적 풍토를 황폐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의 하나가 바로 4지 택1식 입학시험방법이 양성해내는 정신적 폐쇄성이다.
이러한 폐쇄적 교육이 성공만 할 수 있다면 권위주의적 정치체제에 가장 적합한 사람을 길러낼 수 있다. 정부 또는 상급자의 지시를 맹목적으로 기다리는 수동적 인간을 기를 수 있다. 각 개인이 독립심과 창의성을 가지고 독자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는 사람이 아니라 상급자의 뜻에 따라 행동하는 것을 편안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길러진다.
현재의 시험방법에는 근간을 이루는 것이 객관식, 그 가운데서도 4지 택1식 방법이다. 4지 택1식 평가의 기본적 특징은 주어진 조건 하에서 어느 하나만이 정답이고, 나머지 모두 오답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주어진 조건이란 대게의 경우에 일반적 상황은 아니고 특정적인 상황이다. 그 특정적 상황은 출제자에 의하여 또는 교과서 저자에 의하여 규정된다. 만약 관점을 달리하면 다른 것이 정답이 될 수도 있겠지만 시험사태에서는 출제자에 의하여 규정된 조건 하에서만 정답을 골라야 한다. 그러므로 수험생은 개방적인 모든 가능성에 비추어 정답을 고르는 것이 아니라 출제자가 규정한 조건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 조건 내에서만 답을 골라야 한다. 수험생은 있을 수 있는 다른 여러 관점과 가능성은 무시하여야 한다. 즉 자유로운 사고를 통하여 여러 관점을 동원하는 일은 허용되지 않으며, 오히려 오답을 고를 가능성만 높아진다. 되도록 빨리 출제자의 관점을 간취하는 것만이 정답을 고르는 최선의 길이다. 이러한 시험의 연속은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관점과 입장을 자유롭게 발전시키지 못하도록 가로 막는다. 자유로운 주체적 관점을 발전시키는 것은 시험 준비에 가장 해로운 길이기 조차 하다. 항상 주어진 문제의 전제조건 내에서만 폐쇄적으로 사고하는 훈련을 끊임없이 쌓아야 한다.
이처럼 4지 택1평가가 지배하는 교육은 자유롭게 개방적으로 사고하는 주체적 인간을 길러내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능동적이며 자주적이기 보다는 수동적이고 의존적인 자세, 지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보다는 독선적이고 감정적인 사고, 안정된 성격보다는 충동적 성격을 배양할 가능성이 높다. 매사를 정답 아니면 오답, 진이 아니면 위, 혹이 아니면 백으로 구분하는 사고가 길러진다.
한국사회에 특히 젊은이들 사이에 퍼져 있는 이러한 사고방식은 그들이 학교에서 훈련받은 것이다. 우리 사회의 지적 풍토를 황폐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의 하나가 바로 4지 택1식 입학시험방법이 양성해내는 정신적 폐쇄성이다.
이러한 폐쇄적 교육이 성공만 할 수 있다면 권위주의적 정치체제에 가장 적합한 사람을 길러낼 수 있다. 정부 또는 상급자의 지시를 맹목적으로 기다리는 수동적 인간을 기를 수 있다. 각 개인이 독립심과 창의성을 가지고 독자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는 사람이 아니라 상급자의 뜻에 따라 행동하는 것을 편안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길러진다.
소개글